•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chievements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생들의 창의성 측정을 위한 TTCT의 적용과 학업성취 요소들 간의 관계 (Applying TTCT for Measuring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s)

  • 정지범;박정선;백윤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40-51
    • /
    • 2005
  • 본 연구는 주로 공과대학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측정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창의성의 공학적 응용 기반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창의성의 측정방법으로 제안된 TTCT의 주요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대학생 집단의 창의성 지수에 대한 규준표의 제시, 창의성 점수의 성별, 전공별, 연령별 특성 분석, 창의성 점수와 성적과의 관계 분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창의성의 정량적 측정을 위한 도구로서 TTCT의 활용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관용어의 친숙도, 성별, 학업성취도가 관용어 이해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miliarity for Idiom, Gender Difference,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bilities of Idiom Comprehension)

  • 이진숙;박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66-476
    • /
    • 2010
  • 본 연구는 관용어의 친숙도, 성별, 학업성취도가 관용어 이해하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관용어 친숙도를 조사하여 50개의 관용어를 친숙한 관용어와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에서 대학교 1학년 학생 63명을 대상으로 관용어 이해과제를 실시하고, 학업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첫째, 관용어의 친숙도에 따라서 관용어 이해하기에는 차이가 있어 친숙한 관용어를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에 비해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 관용어 이해하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따라서 관용어 이해하기에는 차이가 있어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관용어를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용어 특성 이해, 관용어 교육 및 외국인 우리말 교육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Structural Analyses on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Learning Environments with e-Learning Contents)

  • 강민석;임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014-1023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온라인을 통한 교육 콘텐츠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이버대학 등 새로운 형태의 대학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대학의 교육 콘텐츠는 오프라인 대학의 수업과 다소 상이한 모습을 지니며, 이에 따라 학습효과 제고를 위해서 여러 변인들이 새롭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의 경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만족도와 교육요구도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 김진현;김성재;방경숙;고진강;이남주;유주연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27-13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34 senior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clinical practicums.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consisted of three parts: 1) academic achievement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2)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3) demands on th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um. Results: The mean scores on the achievement level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of the students were $3.68{\pm}0.53$, $3.69{\pm}0.59$, and $3.77{\pm}0.56$, respectively. The low rated domains were 'understanding and delivering culturally competent nursing' and 'competence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their levels of achievements. Overal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eir satisfaction scores for the hours and arrangements of the clinical practicum, and the ratios and arrangements of lectures and clinical practicum were relatively low.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to redesign nursing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graduates for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s. We need to try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ies of students by designing a curriculum based on social change and student needs.

  • PDF

LMS를 활용한 온라인 강의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학습행태와 성취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in Online Learning Using LMS)

  • 최영미;박남제;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85-95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LMS로써 MS Teams를 도입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학습행태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MS Teams와 연동된 MS Insights가 제공하는 MS Teams 방문일수, 과제 제출 기한 엄수, 소통에 대한 변인을 중심으로 수강성적과의 상관관계 및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학습행태 변인과 학업성취도 간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 예비교사의 학업성취도는 MS Teams 방문 일수 및 온라인 과제 제출 기한의 엄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MS Teams내 질문, 게시글, 답변 작성 빈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련성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MS Teams의 학습행태 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과제 제출 기한의 관리 변인에 있어서 학업성취도를 설명할 수 있었다.

중ㆍ고등학생의 다중지능 및 창의성과 가정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Intelligence, Creativity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of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 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1-64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Intelligence(MI). Creativity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of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of this study are performed as follows Subject of this study were 142 middle school student & 127 girls' high school. And The “Creativity Test” developed by Korean Creativity Research Institute(1998). Multiple Developmental Assesment scale were administrated as data gathering tools And end-term exam scores on 9 subject were collected as the measure of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 Home Economics achievement were collected with Written test and performance assesment. The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MI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Musical. Interpersonal, Intrapersonal) and high school students(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Interpersonal) were found.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nother 8 subjects. 2) In middle school stud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reativity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were found But in high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reativity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were not found 3) In MI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correlation.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written test and performance assesment.

  • PDF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팀 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BL(Team based lear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장우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55-666
    • /
    • 2016
  •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대학전공 수업이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회복지학과 학생 46명으로 1~3주차는 강의식 수업과 TBL에 대한 소개를 하였으며 4~14주차까지 팀 기반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후 효과 측정은 설문지 및 인터뷰, 자유기술형 응답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팀 기반 학습을 통한 학업성취도는 강의식 수업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충실한 학습, 흥미롭고 원활한 상호작용, 능동적인 학습과 참여, 발표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함께 학습만족도 역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팀 기반 학습을 다른 교과목에도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농수산대학 학생의 입학전형 성적과 학업성적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Entrance Exam Scor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NCAF Students)

  • 박석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101-11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y differences in academic records of students after they got into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through the entrance exam. The target group was the students of 1,035 who enrolled from the year of 2012 to 2014 by the exams respectively, and this study compared those first year's record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With regard to the result, we could recognize that the average achievements of students are arithmetically high, who were accepted by admission officer's interview(talented student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regular admission procedure to which the scholastic test result is applied. Accordingly, it is more desirable that we should rather focus on measures to improve the admission procedure that could contribute to academic achievements of students who are mostly accepted through the nonscheduled admission. It is pointless to focus on discussion that the achievement of students selected by a particular procedure is low. That kind of criticism proved groundless. Secondly,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admission records and after admission records of the freshmen in 2012 shows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does not exist whereas those of in 2013 and 2014 has a slightly different statistically, thoug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a mere 0.17. It account for this result that KNCAF has increased the applied-rate of highschool transcript from 33.3% to 50.0.% in admission procedure from the year of 2013. However, lowering the applied-rate of farming and fishing background is not everything as we consider the graduates' easy settling into rural area. It is a well-known fact that after graduation,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have applied for a grace period of the delay in performing the obligation of farming and fishing, and of students who have paid the school expenses back came from ones with no sufficient foothold. This means that we should formulate a supporting policy for the students to settle into rural area smoothly after graduation if we keep the regulation of lowing the applied-rate of farming and fishing.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69-379
    • /
    • 2013
  • 최근 대학에 진학하는 이공계 신입생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인 전공과목이수가 어려울 만큼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수학능력이 심각한 수준으로 저하되어 기초수학능력 및 대학 수학과목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2학년도 M대학교 이공계열 신입생 66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공계 신입생의 모집전형별 고교내신등급, 대학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좋은 수시모집 학생들보다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시모집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대학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이공계열 전체 뿐만 아니라 각 모집전형별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학 1학기 성적이 대학 2학기 성적에 매우 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학력보충교육 통과자들과 미통과자들의 기초보충교육 성적과 대학 1학기와 대학수학 1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대학 2학기와 대학수학 2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보다 높게 나타나 기초보충학습이 2학기 성취도 보다 1학기 성취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