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lity of the mathematics problem-solving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blem Solving of Korean and American 3rd Grade Students i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Natural Numbers)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177-191
    • /
    • 2016
  • 자연수의 덧셈과 뺄셈은 학교수학을 해 나가는데 기본기능이며, 학생들은 다양하고 효율적인 전략을 활용하여 덧셈과 뺄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환경과 문화가 다른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덧셈과 뺄셈 수식문제와 문장제 모두에서 한국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생들이 문제해결에 이용한 방법 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합병과 구잔 상황의 문장제 해결 방법의 수에서도 한국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두 나라 학생들이 계산 학습에서 익히고 활용하는 방법의 차이와 각 나라의 계산 수업에서 강조점 및 교실 수업 문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자연수 혼합계산에서 처방 프로그램의 개발.적용에 대한 효과 분석 (An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scribed Program for the Mixed Calculation of Natural Numbers)

  • 정기근;김민정;노은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71-485
    • /
    • 200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가 단계 이전의 교육과정 중에서 연산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27차시 분량의 혼합계산에 대한 처방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 후, 학습자의 사고와 행동 특성, 교사가 느끼는 긍정적인 점과 어려운 점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4학년 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한 결과, 첫째, 혼합계산에 대한 처방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혼합계산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며, 둘째, 혼합계산에 대한 처방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서 학생들이 보다 더 문제에 집중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혼합계산에 대한 처방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은 학생들의 혼합계산 문제 해결 능력을 발달시키고 문제에 집중하는 힘을 길러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숙련된 교사의 문장제 문제해결 지도 전략 - 미국 교사들을 중심으로 (Exemplary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Teaching Word Problems)

  • 이광호;신현성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33-452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의 숙련된 수학 교사들의 문장제 문제 해결 지도 전략에 대한 연구이며 그것들이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 해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관찰된 미국 교사들은 문장제 문제 해결 지도과정에 있어 공통적으로 문제의 배경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는 공통점을 지녔고, 학생들이 문제 자체에 대해 분명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더 나아가 학생들 자신이 다양한 해결 전략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을 것이 가능케 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 그리고 학생과 학생의 '의사소통'을 강조하여 언제든 자신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제공하였다. '의사소통'은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들이 문제 풀이 자체에만 얽매이지 않고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이해하는 과정을 가능케 하였고, 끊임없는 질문과 의문을 통해 문제 해결전략을 세우고 그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정리하고 반성하는 전반에 걸친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또한 이 연구는 Polya의 문제해결 전략 4단계를 보완하는 모델을 제공하였다.

  • PDF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직관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Intuitive Thinking of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 유대현;강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2권1호
    • /
    • pp.1-20
    • /
    • 2009
  • 초등학생들의 수학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는 오류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강력한 문제해결 방법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에 초등학생의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를 관찰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문제의 계산 절차나 알고리즘을 알고 있는 경우, 직관적 사고에 의존하기보다는 알고리즘에 의한 풀이에 의존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학생들은 직관적 사고를 통한 시각적 모델을 구안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떨어지며, 시각적 모델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답에 대한 확신감이 떨어진다. 셋째,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관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 사이에 상호 보완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확률의 개념과 확률에 관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주관적 해석을 통한 인식론적 장애를 일으켰다.

  • PDF

문제해결 학습법(WCSNA) 기반 온라인 학습시스템 개발 및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blem-solving learning method(WCSNA) based online learning system)

  • 홍희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9-44
    • /
    • 2022
  • 수학 프랜차이즈 교육기업들은 다양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학습자에게 온-오프 통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에게 한 방향의 강의 콘텐츠 전달과 학습 결과에 대한 양적인 문제풀이 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 마다 학업 성취 역량이 다르며 수학문제를 해결할 때 정확히 어느 부분에서 이해도가 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WCSNA 학습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학습시스템을 구축하여 학습자의 취약한 부분을 발견하고 효율적인 학습자 관리방안을 제안한다. 개발된 학습법과 시스템을 통하여 학습자에게는 균형 잡힌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프랜차이즈 기업에게는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수학에서 계산기 활용에 대한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ffective on Using Calculators in Elementary Mathematics)

  • 안병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1호
    • /
    • pp.17-32
    • /
    • 2005
  •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수학에서 계산기 사용은 수학적 개념의 이해, 수학적 사고,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 기르기에 사용하도록 하였고, 실제 처음으로 교과서에 활용도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도 초등수학에서 계산기 활용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발표된 국내연구물은 정의적 영역에 관한 것이 많고, 인지적인 영역에 관련된 것은 적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계산기 활용에 대하여 국내 외 연구물에 제시된 장점 상황 중에서 수 감각과 수학적 개념, 문제해결, 패턴탐구와 추론능력의 3가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 문제 구성은 본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물에 제시된 문제들 중 설문지 조사와 초등수학교육전문가의 자문을 통하여 더 효과적인 문제를 선택한 후, 실제 수업활동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 PDF

문제 중심 학습(PBL)에 기반한 수업 지도 내용 탐색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관련 이론을 대상으로- (Investigation on the Instructional Content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College)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29-251
    • /
    • 2020
  • Problem Based learning(PBL)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mathematical ability and help achiev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problem solving using the learner's mathematical prerequisite knowledge. In addition, the recent instructional situations or environments have focused on the learner's self construction of his learning and its process. In spite of such a quite attention, it is not easy to apply and execute PBL program actually in class. Especial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actually applying and practicing PBL in the area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not only secondary school but also in college. Its reason is that in order to conduct PBL instruction constantly in real or experimental class there is no more concrete and detailed instructional content during the consistent and long period. However, to whom i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instructors called scaffolders, investigation and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the learner's acquisi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is an very important work. By the reason,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content was to be explored and developed to be conducted during 15 weeks in one semester, which wa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relevant to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수행평가 과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 유현주;정영옥;류순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203-241
    • /
    • 2000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of task development for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develop performance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on the basis of this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he following inquiry questions were set up: (1) to develop open-ended tasks and projects for the fifth graders, (2) to develop checklists for measuring the abilities of mathematical reasoning, problem solving, connection, communication of the fifth graders more deeply when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re implemented and (3)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and to modify them when is needed through applying these tasks to pupils. The consequences of applying some tasks and analysing some work samples of pupils are as follows. Firstly, pupils need more diverse thinking ability. Secondly, pupils want in the ability of analysing the mea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in relation to real world. Thirdly, pupils can calculate precisely but they want in the ability of explaining their ideas and strategies. Fourthly, pupils can find patterns in sequences of numbers or figures but they have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se patterns, predicting and demonstrating. Fifthly, pupils are familiar with procedural knowledge more than conceptual knowledge. From these analyses, it is concluded that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pupils, and that we should improve mathematics instruction for pupil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deeply, solve problems, reason mathematically, connect mathematics to real world and other disciplines, and communicate about mathematics.

  • PDF

문제중심 학습의 모델 설정 (A Study on Constructing the Model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View of Situated Learning)

  • 신현성;윤재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01-413
    • /
    • 2007
  • 이 연구는 변화하는 산업사회의 요구에 알맞은 창의적이면서 자기 주도적인 교실의 수업환경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보다 구체적인 목표는 학교에 알맞은 문제중심 학습의 모델을 만들고, 이를 실험하여 그 효과를 논하는데 있었다. 기존의 PBL 모델을 파일럿 실험을 거쳐 우리 교실 환경에 알맞게 수정하고, 이 모델을 중학교 심화 반 36을 대상으로 8주간 실험했다. 그 결과 이 모델을 적용한 실험 반 학생이 문제해결 검사지 와 문제해결 태도 검사지에서 비교 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양한 상황 선정을 해석하여 상황의 단순화(수학적 의미부여)로 가는 능력이 탁월했다. 또, 이해를 생성하는 기법이 독특했으나, 문제 설정활동에서 학교성적 중간수준의 학생의 효과는 부정적이었다.

  • PDF

대학 입학 예정자들의 함수 및 미분의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 분석 (An analysis of errors i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oncepts of function and differentiation for matriculants)

  • 임연휘;표용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35-45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수시모집 입학전형에 합격한 대학 입학예정자를 대상으로 P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초수학 특강에서 학습지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기초수학 진단평가에서의 사전 검사를 통해 함수, 함수의 연속 및 미분가능에 대한 기초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와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초수학 특강 최종평가에서의 사후 검사를 통해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유형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연구대상 학생 전체에 대한 오류유형의 변화는 물론, 각 검사문항에 대한 동일 학생의 오류유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