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M Cortex-M3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ARM Cortex-M3 상에서 부채널 공격에 강인한 곱셈 연산 구현 (Secure Multiplication Method against Side Channel Attack on ARM Cortex-M3)

  • 서화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943-949
    • /
    • 2017
  • 경량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상에서의 암호화 구현은 정확하고 빠르게 연산을 수행하여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공격자가 해당 경량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는 연산 특징을 분석하여 비밀정보를 추출해 낼 경우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공격자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신 ARM Cortex-M3의 경우 곱셈연산이 입력의 크기에 따라 수행 속도가 달라지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안전한 곱셈 구현기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최신 곱셈기법을 최적화하는 방안에 대해 확인해 본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 방식의 속도를 최대 28.4% 향상시킨다.

ARM Cortex-M4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한 유도전동기의 저가형 벡터제어 인버터 설계 (The Design of Low-Cost Vector-Controlled Inverter for Induction Motor Using ARM Cortex-M4 Microcontroller)

  • 김동기;윤덕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816-821
    • /
    • 2013
  • 본 논문은 ARM Cortex-M4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여 3상 유도전동기용의 저가형 벡터제어 인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MCU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존의 값비싼 DSP 소자를 대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 제어에 필요한 Cortex-M4의 주요 기능들을 정리하고, 이를 사용하여 벡터제어 인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실험용 벡터제어 인버터를 설계 제작하여 200[W]의 3상 유도전동기에 적용하였고, 이를 사용한 실험 결과는 기존의 TMS320F28335 DSP와 유사한 수준의 제어 성능을 보였다.

ARM Cortex-M3 프로세서 상에서의 LEA 암호화 고속 구현 (High Speed Implementation of LEA on ARM Cortex-M3 processor)

  • 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133-1138
    • /
    • 2018
  • 경량 블록암호화 (LEA: 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는 암호화 연산의 효율성과 높은 보안성으로 인해 국내에서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블록암호화 알고리듬이다. 지금까지 많은 LEA 구현 연구가 진행 되었지만 다양한 플랫폼과의 보안 통신이 필요한 사물인터넷 환경에 활용 가능한 일체형 구현 기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플랫폼과 효율적으로 보안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구현 기법을 이용하여 LEA를 ARM Cortex-M3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한다. 이를 위해 키생성과 암호화 과정에 필요한 인자들을 가용 가능한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저장하였으며 바렐쉬프터 (Barrel-shifter)를 활용하여 회전 연산을 최적화하였다. 해당 기법은 라운드키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저사양 프로세서 상에서 RAM의 사용량을 최소화한다. 구현 결과물은 ARM Cortex-M3 프로세서 상에서 평가되었으며 34 cycles/byte 안에 수행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RM Cortex-M3 상에서 곱셈 연산 최적화 구현 (Compact Implementation of Multiplication on ARM Cortex-M3 Processors)

  • 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257-1263
    • /
    • 2018
  • 경량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상에서의 암호화 구현은 정확하고 빠르게 연산을 수행하여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곱셈 연산은 RSA, ECC, 그리고 SIDH와 같은 공개키 암호화에 활용되는 핵심 연산으로 최적화된 구현이 요구된다. 하지만 최신 저전력 프로세서인 ARM Cortex-M3 프로세서의 경우에는 곱셈연산 입력 크기에 따라 수행속도가 달라지는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수행속도가 달라지게 될 경우 연산 시간의 차이점을 확인하여 비밀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연구에서는 고정된 연산 시간 안에 곱셈 연산을 수행하는 기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해당 구현에서는 여전히 속도가 완전히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곱셈연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연산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 방식에 비해 연산 속도를 최대 25.7% 향상시킨다.

항공기 3차원 충돌회피 알고리즘 구현과 실시간 운영체계를 이용한 Micro Controller Unit의 성능 비교 (Implementation of 3-D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and Comparison of Micro Controller Unit's Performance using Real-Time Operating System)

  • 임지성;김동신;박인혁;이상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8-5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RTOS과 항공기의 3차원 충돌회피 알고리즘을 세 개의 MCU에 적용하여 각 MCU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MCU는 많이 사용되는 Microchip Technology사의 ATmega2560과 STM사의 ARM Cortex-M3, ARM Cortex-M4를 선정하였으며, RTOS는 공개되어 있는 FreeRTOS 를 사용하였다.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된 3차원 충돌회피 알고리즘은 수직회피와 수평회피를 통합한 알고리즘이며 C++로 구현하였다. MCU의 성능은 각 MCU의 사용 메모리와 계산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세 MCU 중, 계산 시간은 ARM Cortex-M4가 빨랐으며, ATmega2560이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였다.

ARM Cortex-M3의 HW/SW 기반 문맥교환 시간의 정량적인 평가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SW/HW-Based Context Switch Time for ARM Cortex-M3)

  • 최하연;박상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14
    • /
    • 2013
  •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인 ARM Cortex-M3는 기존의 것들과는 달리 짧은 문맥교환을 제공하기 위해 Trap을 이용하여 문맥교환 과정을 일부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Trap (혹은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은 그 자신만의 오버헤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문맥교환을 하던 방식에 비해 어느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을지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 평가를 수행하여 Cortex-M3를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LED조명 무선제어 (Wireless LED lighting control using the SmartPhones)

  • 신성휴;김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85-339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ARM사에서 개발한 마이크로컨트롤러인 Cortex M3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LED조명을 제어하기 위하여 Bluetooth 통신방식을 적용하여 무선제어 회로를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LED조명 제어회로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누구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가지고 제어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여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쉽게 다운로드하여 LED조명 제어회로를 쉽게 무선으로 제어한다. 본 논문에서 구성한 Cortex M3를 이용한 LED조명 무선제어회로는 실내 및 실외에 적용할 경우 친환경적인 기술이며, LED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LED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전압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LED조명의 밝기가 제어된다.

SHA-3 해시 함수의 최적화된 하드웨어 구현 (An Optimized Hardware Implementation of SHA-3 Hash Functions)

  • 김동성;신경욱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886-895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NIST에서 발표한 Secure Hash Algorithm(SHA) 표준의 최신 버전인 SHA-3 해시 함수의 하드웨어 구현과 함께 보안 SoC 응용을 위한 ARM Cortex-M0 인터페이스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최적화된 설계를 위해 5 가지 하드웨어 구조에 대해 하드웨어 복잡도와 성능의 교환조건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라운드 블록의 데이터패스를 1600-비트로 결정하였다. 또한, 라운드 블록과 64-비트 인터페이스를 갖는 패더를 하드웨어로 구현하였다. SHA-3 해시 프로세서, Cortex-M0 그리고 AHB 인터페이스를 집적하는 SoC 프로토타입을 Cyclone-V FPGA 디바이스에 구현하여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검증을 수행하였다. SHA-3 프로세서는 Virtex-5 FPGA에서 1,672 슬라이스를 사용하였으며, 최대 289 Mhz의 클록 주파수로 동작하여 5.04 Gbps의 처리율을 갖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Implementation of Wireless PGN Analyzer for ISOBUS network

  • Tumenjargal, Enkhbaatar;Badarch, Luubaatar;Lee, Kangsan;Ham, Woonchul;Doopalam, Enkhzul;Togooch, Amartuvshin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2호
    • /
    • pp.46-54
    • /
    • 2015
  • Communication between ECUs (Electronic Control Units) in agricultural machineries tends to use IS011783 widely, that is PGN (Parameter Group Number)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lays on CAN protocol by altering its identifier part. Messages in line are transferred and received between ECUs according to ISO11783 standard. This paper discusses about design of wireless monitoring system. We used an ARM Cortex-M3 microcontroller embedded development board and marvel8686 wireless module. The wireless ISOBUS monitoring system, attached to communication line, reads messages, interpret them,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in easily comprehendible form. It can be used to generate messages and monitor the traffic on physical bus systems. The monitoring system connected to ECUs, monitor and simulate real traffic of communication and functionality of the ECUs. In order to support our work, we have implemented the monitoring tool. The development consists of two parts: GUI of the application and firmware level programming. Hence the monitoring system is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line and equipped by Wi-Fi module; farmer/dispatcher in a farm monitors all messages in communication line on personal computer and smart device.

확장성과 부하 경감을 고려한 교육용 로봇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Robot System Considering for Extension and Load Reduction)

  • 이승희;최득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2호
    • /
    • pp.214-21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교육용 로봇을 개선한 새로운 로봇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구현 방법으로는 제어 모듈의 메인프로세서로 ARM Cortex-M3와 보조프로세서로 각 센서모듈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AVR ATMega2560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개발된 센서 모듈의 프로세서는 AVR ATMega8을 사용하였다. 메인컨트롤러가 처리해야 하는 부하를 덜어주기 위해 각 프로세서들과의 통신은 IIC 통신을 사용하였다. 또한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허브 모듈을 채택한 교육용 로봇 시스템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