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I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시선추적을 이용한 카페 공간 마감재 차이의 시각주의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for the Different Type of Material Finishing in Cafe Space Using by Eye-tracking)

  • 최진경;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3-1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intensionally changing eye - gaze on the cafe space images with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Yarbus' experiment, he argued that changing information that an observer is asked to obtain from an image changes pattern of eye movements. Based on the scan path evidence, this research have questions as (1) the difference of visual attention on finishing floor material stimulus, (2) visual attention of initial activity time and type of movement paths on AOIs, and (3) visual relation floor area with another AOIs. Eye movements were recorded with the SMI REDn Scientific, which sampled eye position at 30Hz and lasted 2 minutes(120s). Although viewing was binocular, only the right eye was tracked. Of the 66 observers(mean age 22 years, standard deviation: ${\pm}1.82$)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one by the four poi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procedures at the beginning tasks. Analyzing qualitative data from the number of fixation and duration on AOIs divided into four parts (AOI I-Floor, AOI II-Wall, AOI III-Ceiling, and AOI IV-Counter) in the stimulus.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nalyzed as follows. First, it was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number of AOIs fixation times observed for the spatial image using the wood tile flooring material and the polishing tile. The wood tile flooring of stimulus had higher fixation number on AOI-II, AOI-III, and AOI-IV than the polishing tile. On seeing AOI-I was higher attention in the polishing tile stimulus. Second, the observers examined AOI-II intensively in both stimuli. However, the visual intensity was also followed by on the AOI-IV and AOI-I in the wood tile flooring stimulus, and on AOI-I, AO-IV in the polishing tile. Third, visual attention data on each AOIs have divided into the time range of "5 sec" for both images. In the wood tile stimulus,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followed by AOI-II, AOI-IV, and AOI-II. In the polished tile stimulus, the movement path followed by moving vertically to AOI-II, AOI-I, and AOI-II. This study approached meaningfully and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tentions of visual attention, the relationship pathways of visual mechanism appeared and also activated by eye-tracking experiments.

Analysis of the trueness and precision of complete denture bases manufactured using digital and analog technologies

  • Leonardo Ciocca;Mattia Maltauro;Valerio Cimini;Lorenzo Breschi;Angela Montanari;Laura Anderlucci;Roberto Meneghell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22-32
    • /
    • 2023
  • PURPOSE. Digital technology has enabled improvements in the fitting accuracy of denture bases via milling techniqu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rueness and precision of digital and analog techniques for manufacturing complete dentures (CD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identical CDs were manufactured using different production protocols. Digital and analog technologies were compared using the reference geometric approach, and the Δ-error values of eight areas of interest (AOI) were calculated. For each AOI, a precise number of measurement points was selected according to sensitivity analyses to compare the Δ-error of trueness and precision between the original model and manufactured prosthesis. Three type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intergroup cumulative difference among the three protocols, the intergroup among the AOIs, and the intragroup difference among AOI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ntures made using the oversize process and injection molding process (P < .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two manufacturing methods (P = .1227).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ntures made using the monolithic process and the other two processes for all AOIs (P = .006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two processes (P = 1). Within each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OI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monolithic process yielded better results, in terms of accuracy (trueness and precision), than the other groups, although all three processes led to dentures with Δ-error values well within the clinical tolerance limit.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시선 추적을 통한 문법 이해 양상 연구 -문법 제시 방법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Korean Grammar of English-Speaking Beginners Through Eye-tracking Approach -Focused on Presentational Methods of Grammar-)

  • 김현진;강승혜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39-62
    • /
    • 2017
  • This study is to examine grammar understanding with beginner English speakers according to presentational methods of grammatical content. 18 English-speaking Korean beginners were randomly assign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e first examined if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grammar comprehension with and without illustration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given the presentation illustrations showed greater understanding than the group without them.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mmar understanding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materials marked for their awareness.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the order of presenting content elements related to grammatical items. This study is to affirm the importance of illustrations as a component of Korean textbooks.

Facebook의 사용자경험연구: 사용자의 시선경로와 광고콘텐츠를 중심으로 (User Experience(UX) of Facebook: Focusing on Users' Eye Movement Pattern and Advertising Contents)

  • 김태양;신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5-57
    • /
    • 2014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시선경로의 흐름을 통하여 SNS 사용자들의 감성적 경험을 이해하고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 환경(UI)에 암시점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페이스북에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응시시간 및 태도 분석을 통하여 소셜미디어 마케팅영역에 사용자경험(UX) 중심의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선추적 장치인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활용하여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UX를 추적한 결과 사용자들의 시선경로는 기존 웹에서의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던 시선경로인 F-shape pattern과는 다른 H-shape pattern을 확인하였다. 또한 페이스북에 노출된 광고에 대해 4부분의 관심영역(AOI.1, AOI.2, AOI.3, AOI.4)을 설정하고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가장 오래 응시하는 광고의 위치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들은 페이스북 오른쪽 상단에서 두 번째 구역인 AOI.2에 가장 오랜 시선을 두었다. AOI.1, AOI.4, AOI.3의 순서로 응시순서를 추적한 실험에서도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서 두 번째 광고에 대한 태도가 가장 좋았으며 처음과 마지막 그리고 세 번째 광고의 순으로 광고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 태그된 트윗을 사용한 밀도 기반 관심지점 경계선 추정 (Density-Based Estimation of POI Boundaries Using Geo-Tagged Tweets)

  • 신원용;둥부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453-459
    • /
    • 2017
  • 사용자들은 그들의 관심이 관심지점 (POI: Point-of-Interest)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기 위해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에 체크인하거나 그들의 상태를 올리는 경향이 있다. 관심지역 (AOI: Area-of-Interest)을 찾는 기존 연구는 대부분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공간 태그된 사진과 함께 밀도 기반 군집화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POI 중심을 포함한 하나의 군집에 해당하는 POI 경계선을 추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트위터 사용자들로부터의 공간 태그된 트윗을 사용하여 POI 중심으로부터 도달할 수 있는 적절한 반경을 찾음으로써 POI 경계선을 추정하는 밀도 기반 저복잡도 두 단계 방법을 소개한다. 두 단계 밀도 기반 추정을 통해 선택된 공간 태그의 convex hull로써 POI 경계선을 추정하는데, 각 단계에서 다른 크기의 반경 증가를 가정하여 진행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본 밀도 기반 군집화 방법보다 계산 복잡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카페공간에 대한 수렴적 탐색상황에서의 주의집중 특성의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 선택적 주시데이터에 의한 뇌파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Properties in Convergent Exploration Situations in Cafe Space - Focusing on Gaze and Brain wave Data Analysis -)

  • 김종하;김주연;김상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30-40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attention concentration tendencies of one(1) subject who showed convergent exploratory acts actively through the gaze-brainwave measurement experiment of cafe space images and ou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s of interest (AOIs) that the subject gazed visually by paying attention to it and concentrating on it at a cafe space include counter&menu area, sign area, partition area, image wall area, stairs area, and movable furniture area, and built-in furniture area: seven areas in total. Second, conscious gaze frequency appeared the highest in counter&menu area, and conscious gaze appeared more later than in initial times. Third, conscious gaze pattern was divided into the zone that explored various areas dispersely (distributed exploratory zone) and the zone that explored between particular areas concentratedly (intensive exploratory zon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rainwave attention con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he attention concentration in prefrontal lobe (Fp1, Fp2) and frontal lobe (F3, F4) rose to a higher level in the zone of 15 to 16 seconds and this time zone was considered to be a zone where gazing at counter&menu area was very active. In additi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ppeared higher in the initial zone than in the later zone, among the entire experimental time zones.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activation by brain portion of the SMR wave expressed when maintaining the arousal and attention con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he right prefrontal lobe and the frontal lobe became activated in the time zone when the intensive exploration of "counter&menu area" and "movable furniture${\leftrightarrow}$built-in furniture area" had occurred and the time zone when the intensive exploration of "image wall${\leftrightarrow}$partition area" and "counter&menu${\leftrightarrow}$sign area" had occurred.

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Color and Form -Focusing on Eye Tracking Experiment-)

  • 황미경;권만우;박민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2-110
    • /
    • 2019
  • 시각과 관련된 감성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색상과 결합하여 영역 설정(AOI)에 의한 시각적 주의를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Heat Map과 Gaze Plot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두 집단과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채색의 형태가 무채색의 형태보다 시각적 주의가 크며, 난색의 형태가 한색의 형태보다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시각적 주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쉬운 디자인적 요소를 객관적인 해석이 용이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부터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기초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valuation of trueness and precision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metal frameworks manufactured with digital technology and different materials

  • Leonardo Ciocca;Mattia Maltauro;Elena Pierantozzi;Lorenzo Breschi;Angela Montanari;Laura Anderlucci;Roberto Meneghell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2호
    • /
    • pp.55-62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frameworks produced using different digital protocols. MATERIALS AND METHODS. 80 frameworks for RPDs were produced using CAD-CAM technology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of twenty (n = 20): Group 1, Titanium frameworks manufactured by digital metal laser sintering (DMLS); Group 2, Co-Cr frameworks manufactured by DMLS; Group 3, Polyamide PA12 castable resin manufactured by multi-jet fusion (MJF); and Group 4, Metal (Co-Cr) casting by using lost-wax technique. After the digital acquisition, eight specific areas were selected in order to measure the Δ-error value at the intaglio surface of RPD. The minimum value required for point sampling density (0.4 mm) was derived from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obtained Δ-error mean value was used for comparisons: 1. between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2. between different manufacturing techniques in the same area of interest (AOI); and 3. between different AOI of the same group. RESULTS. The Δ-error mean value of each group ranged between -0.002 (Ti) and 0.041 (Co-Cr) mm. The Pearson's Chi-squared 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sidering all groups paired two by two, except for group 3 and 4.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docum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AOI among group 1, 3, and 4.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most all different AOIs of each group. CONCLUSION. All Δ-mean error values of all digital protocols for manufacturing RPD frameworks optimally fit within the clinical tolerance limit of trueness and precision.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비교 연구 -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 (Comparative Study on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s Evaluation - Focusing on the Nightscape of a University Campus -)

  • 강영은;김송이;백재봉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8-48
    • /
    • 2018
  •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캠퍼스 야간경관의 관심지역 분석 및 비교에서는 경관 특성별 관심영역이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문', '표지판' 등 특수 경관 요소에 집중하여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아이트래킹 분석 방법이 '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고 판단하였으며, 기존 개념으로만 제시되었던 경관 선호 이론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도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객관적인 경관 평가 기법으로서 아이트래킹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 결과의 축적으로 경관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북극-동아시아 지역의 봄철 온난화가 북극 진동-한국의 황사 사례일의 종관 기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of Spring Warming in the Arctic-East Asia Region on the Arctic Oscillation and Dust Days in Korea Attributed to Dust Storms)

  • 김지선;조재희;김학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21-135
    • /
    • 2024
  • 1991-2020년의 30년 동안 봄철(3-5월)에 북극-동아시아 지역의 지표면 부근 대기 온난화가 북극 진동에 따라 한국의 서울에서 발생하는 황사 사례일의 종관 기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북극-동아시아 지역의 봄철 온난화 증가는 한국의 서울에서 황사 사례일을 6일을 감소시켰고, 황사 사례일의 PM10 질량 농도도 -1.6 ㎍ m-3yr-1으로 강도를 약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2010년대 한국에서 감소하고 있는 황사 사례일에 대한 동아시아 지역의 종관 기상 특성은 음(-)의 잠재소용돌이도(Potential Vorticity Unit; PVU)로 나타나는 고기압성 활동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에서는 음(-)의 북극진동지수(Arctic Oscillation Index; AOI)에서 황사 사례일이 증가하고 양(+)에서는 감소하는 정적 편포를 보였다. AOI가 음(-)인 황사 사례일에서는 중국 대륙에 온난한 고기압이 강화되고 있었다. 더불어 한대 제트의 중심 위치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몽골과 중국 북부에서는 한대 기단의 남하에 의한 저기압성 활동이 약해지고 있었다. 황사의 발생이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발원지로부터 한국으로 황사를 수송하는 풍속이 감소하고 있었다. 반면, AOI가 양(+)인 황사 사례일에서는 중국 대륙에 광역적으로 온난하고 정체적인 고기압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한대 제트의 북쪽이 더욱 냉각되어 있었다. 몽골-중국 북부-한국에 이르는 지역에서 하층 대류권의 현저한 풍속 감소가 황사 발생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장거리 수송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