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HP 문제점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4초

퍼지 AHP와 퍼지 연관규칙을 이용하여 고차원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화 추천 시스템 (A Movie Recommendation System processing High-Dimensional Data with Fuzzy-AHP and Fuzzy Association Rules)

  • 오재택;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47-353
    • /
    • 2019
  • 최근 추천 시스템들은 고차원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고차원 데이터는 차원을 확장시켜 알고리즘 복잡도가 증가하여 추천 항목의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희소성(Sparsity)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Fuzzy-AHP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주관적 기준의 데이터를 객관적 기준으로 분류한 후, 퍼지 연관규칙 분석을 이용하여 반복적 패턴을 띄는 규칙들을 활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알고리즘이 고차원 데이터의 문제점들을 어떻게 완화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수의 변화에 따른 5-fold Cross Validation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알고리즘이 적용된 시스템의 정확도는 Fuzzy-AHP만을 적용한 시스템보다 12.5% 정도 정확도가 우수하였고, 데이터의 희소성 문제도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HP를 활용한 고객사와 컨설팅사의 ERP 프로젝트 평가모형 연구 (A Study on Model for Evaluating ERP Project from Customer and Consulting Firm Perspectives using AHP)

  • 장희연;이주헌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241-263
    • /
    • 2006
  • 1995년 이래 많은 기업들이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ERP를 도입해 왔다. 그러나 ERP를 도입하려는 기업마다 다른 기업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들을 여전히 경험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ERP를 도입한 기업은 많지 않다. 이렇게 성공적인 ERP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주요 원인은 체계적인 ERP 구축과정 평가 없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간과한 채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ERP 프로젝트의 결과보다는 구축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ERP 프로젝트 각 단계별 수행과정을 평가하고, 그 결과 발견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도구로서 ERP 프로젝트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모형은 ERP를 도입하는 기업들에게 구축과정의 시행착오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단계별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성공적인 ERP 도입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SOA와 WOA의 통합 아키텍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sign for the Integrated Architecture of SOA and WOA)

  • 박소현;유해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7D권5호
    • /
    • pp.317-326
    • /
    • 2010
  • IT 자원의 상호운용성 및 재활용성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는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변화에 가장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SOA는 구현의 복잡성 및 그에 따른 높은 비용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보완을 위해 웹 지향 아키텍처(WOA: Web Oriented Architecture)가 제안되어 각광받고 있지만, 이 또한 보안 및 안정적인 메시지 전달 등의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OA와 WOA의 핵심 개념인 서비스를 내 외부 서비스로 분류후 각각을 SOA와 WOA에 적용하고, SOA와 WOA가 지닌 장점을 바탕으로 유연성이 강조된 통합 아키텍처 설계하였다. 제안한 아키텍처는 구현이 보다 간편하고, 서비스 지향적이며,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하여 제안한 아키텍처 설계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Fuzzy AHP 기법을 이용한 NEIS의 효과적 활용방안 (An Effective Availability Method for NEIS using Fuzzy AHP Technique)

  • 김원기;서광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06-409
    • /
    • 2007
  • 본 연구는 교육행정의 합리화와 정보화를 위해 일선 교육현장에서 구축되어 활용하고 있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NEIS)에 대해 시스템의 운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NEIS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NEIS의 효과적인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여, 이를 계층화하여 계층모델을 구성하고 구성요인의 중요도 평가를 통해 NEIS의 효과적 활용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NEIS의 성과분석을 위하여 성과척도를 관리적 요인과 기술적 요인별로 분류하고 각 요인별 중요변수를 설정하였고, NEIS의 효과적 활용에 미치는 요인의 중요성 산출을 위하여 Fuzzy AHP 기법을 이용하여 1단계 관리적 요인 및 기술적 요인과 그 하위 요인을 구성하여 중요 요인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퍼지시스템을 토대로한 디자인 결정모델에서 AHP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HP to Design Decision Model on Fuzzy System)

  • 우세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09-314
    • /
    • 2006
  • 건축설계자들의 디자인 결정을 보조하고 설계자료들을 지원하기 위한 총합건축설계 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과정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Fuzzy System을 토대로한 디자인 결정모델의 문제점들을 본 논문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특히, 공조설계자의 공조방식 결정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관련 설계요소들에 대한 특성과 영향정도를 논리적으로 결정과정에 반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의사결정방법의 하나인 AHP(Analystic Hierarchy Process)를 적정 디자인 값을 추론하는 과정에 적용하여 공조설계자의 공조방식 결정과정에 반영한 모델을 설정하였다

PROMETHEE 기법을 활용한 공정리스크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Schedule Risk using PROMETHEE)

  • 이장영;윤유상;장명훈;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53-357
    • /
    • 2008
  • 건설 프로젝트는 불확실성 및 복잡성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리스크 인자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따라서 보다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이끌어나갈 수 있다. 이러한 리스크 관리는 확인, 분석, 대응의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며 분석과정에서 위험요소들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분석해내는 것이 리스크관리의 성공여부를 좌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 리스크 중요도를 산출하는데 사용된 기존 AHP 분석 기법에서 리스크 인자의 추가 및 삭제 시 쌍대비교 등 복잡한 중요도 산출 절차를 거쳐야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AHP 분석 기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공정리스크 중요도 산출 방법으로 PROMETHEE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PROMETHEE 분석 기법의 수행을 위한 기본 설정을 통해 공정리스크 인자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을 제시한다.

  • PDF

쓰레기 소각장 입지선정에 있어서 퍼지집합과 AHP 이론의 활용 (The Site Selection of Waste Incinerator Using Fuzzy Sets and AHP Theory)

  • 이희연;임은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223-236
    • /
    • 1999
  • 본 연구는 최근 시설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됨에서 불구하고 사회적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그 입지를 둘러싸고 많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쓰레기 소각장의 후보입지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유연성있고 객관적인 방법론을 도입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지원시스템으로의 GIS 기능을 높이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전의 입지분석시에 주로 많이 활동된 부울 논리에 의한 단순 도면중첩기능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쓰레기 소각장의 입지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퍼지집합(Fuzzy Set) 과 계층분석과정(AHP : Anlaystic Hierarchy Process) 이론을 활용하여 후보 입지들에 대한 적합도 수준을 평가하는데 보다 유연성을 l할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쓰레기 소각장의 후보입지들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요인을 기회요인으로 하였는가, 또한 각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 즉 가중치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에 따라서 다양한 결과들이 추출될 수 있음을 제시하려는데 초점을 두었다.

  • PDF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사회서비스 조직의 공공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Publicity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 장춘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77-482
    • /
    • 2020
  • 현재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에 따른 방향 제시는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각자의 유리한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기관 입장과 이용자의 입장, 관리 주체인 시·도의 공공성의 정의와 평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서로 다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공공성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여 공공성의 정의와 평가에 대한 합의점을 도출하고, 서로 다른 지표를 가지고 있거나 계량화할 수 없는 요소들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기법으로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적용하여 공공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설계된 프레임에 따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쌍대비교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실증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HP 평가모형을 통해 주요 요인들의 상대적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서비스이용률(0.470), 시설관리(0.210), 타 사업시행(0.073)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서비스이용률이 가장 중요하다 평가되었다.

우리나라 도선 서비스 개선 요인에 대한 연구

  • 하동규;류동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2-2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선 서비스 현황과 운영제도 및 구조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현행 도선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계층적으로 분석하여 최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우선 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도선 서비스 개선에 관한 주요 요인들 중에서, 첫번째로 도선사의 서비스 마인드가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나왔으며, 세부평가 속성들 중에서도 도선 서비스의 재평가가 최고우선 평가항목으로 도출되었다.

  • PDF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Chart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the AHP Analysis Method)

  • 채병곤;조용찬;송영석;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19권1호
    • /
    • pp.99-108
    • /
    • 2009
  • 기존의 급경사지재해 평가방법은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일정 과정의 실내분석이 실시된 후 그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즉각적인 평가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기존의 주관적 평가방법에서 발생하는 평가결과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직접 관련요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급경사지재해 취약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응용통계기법의 하나인 AHP 분석을 이용하여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AHP분석 방법의 결과를 이용해 수행한 것으로서, 각 평가항목과 평가항목별 세부등급에 대한 가중치를 각각 설정하였다. 평가항목들의 가중치를 100점으로 환산하여 점수화 한 결과 사면경사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투수계수, 함수비, 공극율, 암질, 그리고 고도의 순서로 결정되었다. 이렇게 결정된 평가항목별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항목 각각의 세부등급에 대한 점수를 할당하여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다.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자는 평가대상 지점에 대해 각 평가항목별 해당 속성, 즉 세부등급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속성별 평가점수를 더하면 급경사지재해 취약성을 점수로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