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 inhibitory effect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3초

주스착즙 방식에 따른 당근 주스의 품질 특성 변화 (Effect of extraction method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rrot juice)

  • 박혜정;김지윤;이송민;김희숙;이상현;이문현;장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9-378
    • /
    • 2019
  • 본 연구는 원심분리형, 외기어 방식 그리고 쌍기어 방식과 같은 착즙 방법에 따른 당근 주스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신선한 주스의 품질은 착즙률, 영양성분 및 층 분리 안정성을 통해 평가되었다. 쌍기어 착즙 방식은 가장 높은 착즙률을 보였다. 게다가 당근 주스의 미네랄 함량은 쌍기어 착즙방식으로 제조된 당근 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일하게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 100 g의 당근으로부터 1일 권장 섭취량 이상의 ${\beta}$-carotene이 얻어졌다. 더욱이 당근 주스의 입자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난 것은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었고 다음으로 외기어 방식과 원심분리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쌍기어 방식의 착즙을 최적의 방법으로 선정하고, 이를 이용해 당근 주스의 항산화 활성 및 대사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당근 주스는 ${\alpha}$-tocopherol 보다 더 높은 지질과산화 저해율을 보였으며, 위장과 소장 소화를 거치면서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이 증가되었다.

현삼단삼음(玄蔘丹蔘飮)이 Monocrotaline으로 유발된 고혈압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eonsamdansameum on Hypertensive Rat Induced Monocrotaline)

  • 강철식;전상윤;홍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223-1235
    • /
    • 2008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eonsamdansameum(HDE) on hypertension. For the study of HDE, we had divided Sprague-Dawley rats to three groups-normal, control, HDE. The control group was injected subcutaneous with monocrotaline(50 mg/kg). The treatment group was injected subcutaneous with monocrotaline(50 mg/kg) and orally administered with HDE extract for 4 weeks(once a day, 208 mg/kg). Then we measured blood pressure, heart rate, on the plasma aldosterone, catecholamine, electrolyte, uric acid, BUN, creatinine, and observed the lung, cardiac muscle. liver. etc. The results of these were as follow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SOD) - like activity were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decrease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by HDE. HDE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in monocrotaline hypertensive rat, so supported nearly normal group. HDE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monocrotaline hypertensive rat. HOE significantly decreased aldosterone in adrenocortical hormones. HDE significantly decreased dopam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Na+. Cl- were intended to decrease. K+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HDE. Uric acid. BU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reatinine was intended to decrease by HDE. HDE inhibited lung, liver and heart injury connected with hyperten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DE is usefully applied i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ypertension.

Extracts from Rhizopus oryzae KSD-815 of Korean Traditional Nuruk Confer the Potential to Inhibit Hypertension, Platelet Aggregation, and Cancer Metastasis in vitro

  • Lee, Sang-Jin;Bae, Hyun-Jin;Ryu, Ji-Yeon;Lee, Dae-Young;Kim, Gye-Won;Baek, Na-Min;Kwon, Moo-Sik;Hong, Sung-Yo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23-1429
    • /
    • 2009
  • Rhizopus oryzae KSD-815 was isolated from nuruk that has been used to make Korean traditional win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ures of R. oryzae KSD-815 on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cancer metastasis. Firstly, these cultures were sequentially fractionationed with n-hexane (TAHe), ethylacetate (TAE), n-butanol (TAB), and $H_2O$ (TAW). The TAE inhibited the activity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and TAB suppresse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TAE and TAB inhibited cell motility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Furthermore, TAW interrupted the formation of neovasculature and tube-like structure,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hypoxia-inducible factor-$1{\alpha}$ (HIF-$1{\alpha}$) in breast cancer ce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ultures of R. oryzae KSD-815 display the inhibitory activities on hypertension, platelet aggregation, and metastasis, and suggest that these cultures might be further probed for the purposes as therapeutic agents or dietary supplements.

열처리에 의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 (Changes i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cutellariae baicalensis by Heating)

  • 최명락;이진승;임현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81-1386
    • /
    • 2007
  • 황금에 대한 수 추출물의 열 변환에 의한 생리활성 변화를 보기 위하여 HPLC를 통한 peak분석과 기능성 평가를 하였다. 열처리 전의 시료 (CW)와 열처리 후의 시료 (CHW)간의 peak분석에서 CW와 CHW의 비교 시 A와 B가 없어지고 열처리 후에 C라는 다른 물질의 peak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기능성 평가에서 항산화성에서는 CW와 CHW 별 차이가 없었고, 항고혈압 활성은 CW가 높았다. 항암성에 있어서 폐암에서는 CW가 높았고, 위암, 간암, 후두암 등에는 CHW가 높게 나왔다. 그리고, 멜라닌 생성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는 CHW에서 약 8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열처리를 통한 시료 내 구성성분의 변환이 기능성 차이를 보여주며, 이는 새로운 열 변환 물질의 생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들 변화된 물질은 황금의 주성분인 Baicalin 외의 물질이 열 변환 된 것으로, 생성된 물질에 대한 구조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Bioremoval of Cadmium(II), Nickel(II), and Zinc(II) from Synthetic Wastewater by the Purple Nonsulfur Bacteria, Three Rhodobacter Species

  • Jin Yoo;Eun-Ji Oh;Ji-Su Park;Deok-Won Kim;Jin-Hyeok Moon;Deok-Hyun Kim;Daniel Obrist;Keun-Yook Chung
    • 공업화학
    • /
    • 제34권6호
    • /
    • pp.640-64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heavy metals [Cd(II), Ni(II), and Zn(II)] on the growth of Rhodobacter species (Rhodobacter blasticus, Rhodobacter sphaeroides, and Rhodobacter capsulatus) and their potential use for Cd(II), Ni(II), and Zn(II) bioremoval from liquid media. The presence of toxic heavy metals prolonged the lag phase in growth and reduced biomass growth for all three Rhodobacter species at concentrations of Cd, Ni, and Zn above 10 mg/L. However, all three Rhodobacter species also had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owth rate against each toxic heavy metal stress test for concentrations below 20 mg/L and possessed a potential bioaccumulation ability. The removal efficiency by all strains was highest for Cd(II), followed by Ni(II), and lowest for Zn(II), with the removal efficiency of Cd(II) by Rhodobacter species being 66% or more. Among the three strains, R. blasticus showed a higher removal efficiency of Cd(II) and Ni(II) than R. capsulatus and R. sphaeroides.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bio-removal processes of toxic heavy metal ions by Rhodobacter species involve both bioaccumulation (intracellular uptake) and biosorption (surface binding).

천마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in vitro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a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 elata)

  • 강태수;공영준;권혜정;최병곤;홍정기;박용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6-141
    • /
    • 2002
  • 본 연구는 천마의 성분과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성분분석과 다양한 생리활성 (암세포 생육 저해효능, 항균력, ${\alpha}$-glucosidasege활성 저해효능,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능, glutathion S-transferase 활성)을 검토하였다. 천마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 5.4%, 조회분 2.6%, 조지방 3.6%, 조섬유 3.3%, 수분 8.1%, 전당이 77%이었으며, 무기질함량은 칼륨(1,150mg/100g) > 인(300mg/100g) 순이었다. 천마추출물의 암세포(간암; Hep3B, 유방암: MCF-7, 폐암; A549, 위암; AGS)에 대한 생육 저해능은 천마추출물 시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1.0mg/ml에서 위암세포(AGS)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83%로 가장 높았다. 천마추출물의 항균활성은 Bacillus subtilis와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외의 피검균에 대하여는 항균활성이 거의 없었다. ${\alpha}$-glucosidase효소 활성 저해능은 천마추출물 시료가 1.0mg/ml일때 64%의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ACE활성 저하능은 시료가 $0.2{\sim}1.0mg/ml$의 농도 범위에서 $63{\sim}89%$이었고, 1.0mg/ml일 때 89%로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Glutathion S-transferase(GST) 활성능은 추출물 농도가 1.0mg/ml일 때 221%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마는 건강식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강원도 시판 막장제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조사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angwon-do Endemic Makjang Products)

  • 김병목;정지희;임지훈;정민정;정재형;최용석;심재만;정인학;김영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62-87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전통 막장제품(MJ) 12종을 수집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pH는 4.43~5.69로 나타났고 MJ5가 가장 높았으며, 염도는 11.1~16.9%로 분포되어 있었고 MJ3이 가장 높았다. 명도는 26.2~36.9, 적색도는 3.9~11.5, 황색도는 6.5~16.6으로 분포되어 있어 제품들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제품에 따라 342.41~605.92 mg%로 나타났고 MJ2가 가장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175.3~4,657.7 mg%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MJ11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4,657.7 mg%로 제품들 중 가장 높았고,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lysine, leucine, isoleucine이었으며, 제품에 따라 GABA 함량이 높게(MJ12, MJ8, MJ4) 나타나기도 하였다. 지방산 총량은 1,598.6~2,874.4 mg%로 MJ10이 가장 높았고,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였으며, 오메가 6 지방산이며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지방산 총량 대비 약 37.7~46.7%를 차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제품에 따라 $401.48{\sim}746.67{\mu}g$ GAE/mL로 분포되어 있었고, MJ11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MJ11, MJ8 및 MJ4가 가장 높았고, SOD 유사 활성은 MJ12 및 MJ2가 가장 높았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MJ1과 MJ12가 가장 높았고, 위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3과 MJ5가, 유방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5가 가장 높았다. 간세포에 대한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MJ7이 가장 우수하였고, 항고혈압 효과는 MJ11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미노태질소 함량과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높은 막장제품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등의 효과를 보이는 막장 제품들의 주요 원부재료는 메주, 보리, 고추씨 등이었으며(자료 미기입), 이들 원부재료의 배합비에 따라 함량과 효능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막장제품의 표준 제조방법 및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막장 원부료의 정밀분석, 제조원료에 따른 제품들 간의 상관 분석 등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각종 약용 식물 첨가가 전통 인삼주의 품질 특성과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Wine)

  • 이은나;이대형;김신범;이승환;김나미;이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02-108
    • /
    • 2007
  • 고부가가치를 가진 전통 인삼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약용식물들의 첨가가 인삼주의 품질과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전통 인삼주 제조용 최적효모를 선발하기 위하여 2종류의 시판 알코올발효효모와 청주제조용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인삼주를 제조한 결과 시판효모인 Fermivin으로 발효시킨 전통 인삼주가 에탄올 함량이 17.0%로 비교적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또한 각종 약용식물첨가가 전통 인삼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시판효모인 Fermivin을 0.4%, 시판곡자와 정제효소를 각각 g당 36sp씩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담금한 주모에 1% 인삼과 0.5%의 하수오와 갈근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20일간 발효시킨 인삼주가 에탄올함량이 16.8%로 제일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최적 발효일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발효 중 생리기능성의 변화와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발효 20일에 항고혈압활성을 나타내는 안지오텐신전환 효소 (ACE)저해활성이 78.9%로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그러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발효 15일에 8.2%, 20일에 9.2%를 보였을 뿐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항고혈압활성이 우수한 고급 전통 인삼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시판곡자와 정제효소를 각각 g당 36sp씩 2:1로 혼합하여 증자미와 물과 시판효모인 Fermivin 0.4%와 인삼 1%로 1차 담금하여 $25^{\circ}C$에서 4일간 발효시킨 후 갈근과 하수오를 각각 0.5%첨가하여 다시 $25^{\circ}C$에서 16일간 발효시키는 것이 제일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제로서 수용성 Oleanolic Acid 유도체의 합성 및 활성 평가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Soluble Oleanolic Acid Derivatives for use as Melanogenesis Inhibitors)

  • 안현진;윤영경;이재덕;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53-6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ethoxy polyethylene glycol)과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유도체(mPEG-OA derivative)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유도체에 대하여 수용액에서의 용해도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mPEG-OA 유도체의 합성된 구조는 1H NMR, 13C NMR 및 FT-IR로 확인하였다. 수용액에서 mPEG-OA 유도체와 OA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13 mg/mL, OA는 0.013 mg/mL로서, mPEG-OA 유도체의 수용성이 OA보다 1,000배 높게 나타냈다. 세포생존율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PEG-OA 유도체의 세포생존율(250 μM)이 OA로 처리한 세포생존율(62.5 μM)과 비교하여 4배 증가하였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생존율이 영향을 받지 않는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36%, OA는 10 μM의 농도에서 35%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 억제 수준은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59%, OA는 10 uM의 농도에서 4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mPEG-OA 유도체와 OA의 수용성 및 미백활성을 비교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OA보다 뛰어난 수용성을 가지며,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지황 추출물 첨가 chitosan 기반 기능성 바이오 소재 제조 및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Rehmannia Glutinosa Extract Incorporated Functional Chitosan Based Biomaterials)

  • 이시연;김경중;김윤섭;윤순도
    • 공업화학
    • /
    • 제33권2호
    • /
    • pp.195-20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지황 추출물[Rehmannia glutinosa extract (RE)]이 함유된 chitosan (CH) 기반 바이오 소재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 RE 방출 특성,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항산화 효과, elastase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RE 함유 CH기반 바이오 소재는 casting method와 UV 경화 공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제조된 바이오 소재의 표면 특성은 FE-SEM으로 분석하였고, 물리적 특성은 인장강도, 신축률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경피 약물 전달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36.5 ℃에서 pH 4.5, pH 5.5, pH 6.5 용액에서와 인공피부를 이용해 제조된 바이오 소재에서 RE의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pH 6.5에서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은 바이오 소재와 가소제[glycerol (GL)와 citric acid (CA)]를 첨가하여 제조한 RE 함유 바이오 소재에서 RE의 방출이 pH 4.5에서 보다 약 1.10배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공 피부에서 RE의 방출은 약 6 h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됨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assay,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assay, elastase assay를 통해 기능성을 평가하였으며, 가소제로 CA를 첨가하고 RE가 함유된 바이오 소재에서 각각 45.12%의 tyrosinase 활성율, 89.40%의 DPPH 라디칼 소거능, 59.94%의 elastase 활성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