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E inhibition activit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8초

가든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 Sage (Salvia officinalis L.))

  • 조영제;주인식;윤동혁;천성숙;안봉전;김정환;김명욱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6호
    • /
    • pp.296-301
    • /
    • 2008
  • 가든 세이지 추출물의 추출 최적 조건을 알아보고자 각각 추출 용매별, 농도별, 시간별로 비교하였다. 가든 세이지는 60% ethane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최적 추출조건으로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한편 생리활성 효과는 추출물의 phenol 농도를 $200\;{\mu}g/ml$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 공여능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64.4%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96.9%,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60% ethanol 추출물에서 2.30PF로 나타났으며, PF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TBARS값은 centrol의 $0.62{\times}10^2\;{\mu}M$에 비해 60% ethanol 추출물에서 $0.28{\times}10^2\;{\mu}M$의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억제 효과는 100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ACE활성억제 효과는 75.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활성도 $200\;{\mu}g/ml$ 농도의 액체배지에서 63.4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생리활성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홍합과 뉴질랜드 초록입 홍합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활성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Domestic Blue Mussel and New Zealand Green Lipped Mussel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atic,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 김시경;옥둘이;박은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63-1368
    • /
    • 2014
  •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서 주로 양식되는 진주담치(국산 홍합)와 세계적으로 기능성이 잘 알려진 뉴질랜드 초록입 홍합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홍합 추출물들은 알코올대사와 관련한 alcohol dehydrogenase(ADH)와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을 상승시켰으며, 특히 ADH의 활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국산 홍합의 육질 추출물은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에 비하여 ADH 상승 효과는 비슷하였으며, ALDH 상승 효과는 약간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조사한 항산화능은 국산 홍합의 육질 추출물이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 보다 높았다. 항고혈압과 관련한 ACE 저해능의 경우에는 국산 홍합 육질 추출물이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에 비해 10 mg/mL 농도에서는 낮았으나 2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의차(P<0.05)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에서 양식되고 있는 홍합도 세계적으로 초록입 홍합에 못지않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고려인삼중 다당체 성분이 암독소 호르몬-L의 지방분해 작용과 안지오텐신 변환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idic Polysaccharide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on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and on Activity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 이성동;황우익;흥전척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48-255
    • /
    • 1996
  • This study was devised to observe in vitro, the inhibitory effects of acidic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Korean red ginseng (KRG) and white ginseng (KWG) on the lipolytic action of loxohormone-L and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peptidyldipeptidase hydrolase, EC 3.4.15.1) . The crude acidic polysaccharides (CAP) extracted from main and lateral roots of KRG and KWG were separately purified through several procedures. The total inhibitory activities on the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of CAP from main roots of KRG and KWG was higher than those of CAP from lateral roots of KRG and KWG, respectively, and that of CAP from main root of KRG was 3.1 times higher than that of CAP from main root of KWG. The specific activity of CAP from main root of KRG was measured as 5.40 units/mg, when one unit was defined as the amount giving 50% inhibition on toxohormone-L induced lipolysls. A subfraction named PG4 3 obtained by replanted chromatography on DEAE-TOYOPEARL 650M gave the specific activity of 24.4 units/mg.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total inhibitory activity on ACE of CAP from lateral root of KRG was the highest among the 4 kinds of CAP, but the specific activity of CAP from lateral root of KWG was the highest.

  • PDF

The Effect of GLM 002, an Oriental Medicine, on Blood Pressure and Plasma Lipid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Yu Byung Soo;Kim Hee Seok;Keon In Sook;Lee Cheol Han;Baek Seung Hwa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505-1511
    • /
    • 2004
  • Inhibi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is one of the common antihypertensive methods functioned by drugs such as captopril, lisinopril and enalapril to serve as inhibitors of A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enalapril, 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nd GLM002, an oriental medicine, on tail systolic pressure, aorta and plasma properti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after 4 weeks of treatment. During the treatment, blood pressure was depressed to normal in GLM002 and enalapril groups. The treatments of enalapril and GLM002 were discontinued in 4 weeks. One week after the treatment sto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moothly increased in both groups; the increment of blood pressure was slightly greater in GLM002-SHR, but the increment of plasma ACE activity was proportionately similar in each group. In the aspects of the triglyceride, HDL and total cholesterol level, those levels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each group. We also conducted clinical dosage of GLM002 to the patients who have mild and severe hypertension for approximately 7 weeks. Clinical treatments also showed remarkable efficiencies on blood pressur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complete blood count (CBC) routine, differ count (NEUTRO, LYM, MONO, EOS and BASO) and R-chemistry. We conclude that GLM002, like already proven enalapril, plays a role as 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nd can be suggested as a drug candidate for curing hypertension.

Characterization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Milk with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K25 as Analyzed by GC-MS-Based Metabolomics Approach

  • Zhang, Min;Jiang, Yunyun;Cai, Miao;Yang, Zhenna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903-911
    • /
    • 2020
  • Addition of probiotics to yogurt with desired health benefits is gaining increasing attention. To further understand the effect of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quality and function of fermented milk, probiotic fermented milk (PFM) made with probiotic L. plantarum K25 and yogurt starter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fermented milk (FM) made with only the yogurt starter. The probiotic strain was shown to survive well with a viable count of 7.1 ± 0.1 log CFU/g in the PFM sample after 21 days of storage at 4℃. The strain was shown to promote formation of volatiles such as acetoin and 2,3-butanediol with milk fragrance, and it did not cause post-acidificatio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etabolomics analysis by GC-MS datasets coupled wit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addition of L. plantarum K25 increased formation of over 20 metabolites detected in fermented milk, among which γ-aminobutyric acid was the most prominent. Together with several other metabolites with relatively high levels in fermented milk such as glyce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glycine, alanine, ribose, and 1,3-dihydroxyacetone, they might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biotic function of L. plantarum K25. Further assay of the bioactivity of the PFM sample showed significant (p < 0.05) increase of ACE inhibitory activity from 22.3% at day 1 to 49.3% at day 21 of the refrigerated storage. Therefore, probiotic L. plantarum K25 could be explored for potential application in functional dairy products.

국내산 건지황과 숙지황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Rehmannia Radix and R. Radix Preparata produced in Korea)

  • 안상욱;김영길;김민회;이현용;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7-262
    • /
    • 1999
  • 건지황과 숙지황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생리활성 실험을 하였는데 돌연변이 유발 억제실험에서는 MNNG의 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한 결과, 숙지황이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저해에서 건지황과 숙지황 모두 1 g/ l 의 농도에서 50%이상의 억제율을 보였고 특히, 숙지황은 1 g/ l에서 간암세포(Hep3B)의 성장을 61%까지 억제하였다. 또한 혈당강하 및 혈압조절(ACE활성저해)에서도 숙지황이 건지황보다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 최고 농도(1 g/ l )에서 각각 63.69%, 56.58%의 억제율을 보였다.

  • PDF

청국장 발효과정 중 항고혈압성 peptide의 생산 및 분리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gug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 차원섭;복수경;김명욱;천성숙;최웅규;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47-252
    • /
    • 2000
  • 한국 전통장류의 기능성 탐색 연구의 일환으로 청국장 발효과정 중 고혈압을 유발하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의 저해 peptide를 분리하고 저해효과를 검토하였다. 청국장은 Bacillus subtilis CH-1023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20^{\circ}C,\;30^{\circ}C,\;40^{\circ}C,\;50^{\circ}C,\;60^{\circ}C$에서 $0{\sim}72$시간동안 배양하면서 protein양, protease activity, ACE 저해율을 측정하고 저해활성을 가지는 peptide를 정제 후 아미노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청국장의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rotein 함량이 증가하여 $40^{\circ}C$, 60시간에서 최대를 나타낸 후 감소하였으며, 발효시간에 따른 protease activity와 ACE 저해율은 $40^{\circ}C$, 60시간에서 최대로 나타난 후 점차 감소하였다. 따라서 Bacillus subtilis CH-1023을 이용한 청국장 제조는 $40^{\circ}C$에서 60시간 배양이 최적의 배양조건이었다. 최적 발효조건에 따라 청국장을 제조한 후 20 mM sodium phosphate buffer(pH 7.0)를 가해 추출한 추출물을 Amicon YM-3 membrane filtration과 Sephadex G-10, G-25를 이용한 gel filtration으로 부분정제 하였다. 또한 정제한 peptide는 첨가함량이 높아질수록 저해활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0.5 mg 정도의 peptide 함량으로 94.3%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정제한 peptide의 아미노산 조성은 histidine, alanine, phenylalanine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채취시기와 크기에 따른 주름 미더덕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Styela plicata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and Size)

  • 박지원;유동현;배명숙;김정미;이종화;김석주;전유진;박은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0-356
    • /
    • 2011
  •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을 8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취하여 크기에 따라 큰 것(9.82~11.66 g)과 작은 것(0.93~2.21 g)으로 분류한 후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로 각각 추출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고혈압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그리고 AC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1월에 채취된 큰 주름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환원력은 11월의 작은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ACE 저해능은 물 추출물로만 측정하였는데, 11월에 채취된 큰 주름 미더덕의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또한 주름 미더덕은 채취시기, 크기,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시료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백혈구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특히 8월 또는 9월에 채취한 큰 주름 미더덕이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NA 손상 억제에 있어서 추출 용매별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일부 물 추출물은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끓이기 등의 일상 조리를 통한 주름 미더덕의 유효 성분 섭취를 기대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로 채취시기, 크기, 용매에 따라 항산화, 항유전 독성 및 ACE 저해능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주름 미더덕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생물 발효 쌀 배아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erm after Microbial Fermentation)

  • 송효남;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6
    • /
    • 2017
  • 쌀 배아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쌀 배아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대조군인 왕겨와 쌀 배아 30% 및 70% 함유시료를 Bacillus 속의 발효균으로 발효시켰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쌀 배아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발효 전에 비해 발효 후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분함량은 발효 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발효 후 pH는 5.83~6.26에서 4.77~4.93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총고형분 함량은 $0.40{\sim}0.87^{\circ}Bx$에서 발효 후 $1.63{\sim}2.20^{\circ}Bx$로 증가하였고, 총당 함량은 377.56~450.64 mg/mL에서 136.81~151.53 mg/mL로 감소하였다. 발효 전 후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0.59 및 0.73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쌀 배아 30% 및 70% 함유시료는 발효 전 각각 0.26 및 0.28 mg GAE/g에서 발효 후 0.52 및 0.70 mg GAE/g과 같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별 및 발효 전 후의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IC_{50}$은 가장 낮았으며, 발효 전 3.77 mg/mL에서 발효 후 3.36 mg/m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쌀 배아 30% 함유시료는 발효 전 후 각각 6.05 및 3.90 mg/mL로 나타났고, 70% 함유시료는 각각 10.52 및 6.58 mg/mL와 같이 발효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군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발효 전 59.65%에서 발효 후 63.69%로 증가하였으며, 모든 시료 중 가장 높았다. 쌀 배아 30% 및 70% 함유시료는 발효 전 각각 43.12% 및 49.81%에서 발효 후 51.32% 및 59.32%로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대조군이 발효 전 후에 가장 높아 36.11%에서 40.51%로 증가하였다. 쌀 배아 30% 함유시료는 14.79%에서 22.69%로 활성이 증가하였고, 70% 함유시료는 28.54%에서 33.91%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합적으로 쌀 배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XO 및 ACE 저해활성은 낮아지나, 미생물 발효에 의해 이와 같은 생리활성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는 향후 쌀 배아의 이용가능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es of Extracts of Sweetpotato Tips)

  • 이준설;박양균;안영섭;김학신;정미남;정병춘;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8-238
    • /
    • 2007
  • 고구마의 이용성을 증대하고, 고구마 끝순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해 페놀화합물의 함량, 지질산화 억제 효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ACE저해활성 등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구마에 함유된 phenolics는 gallic, chlorogenic, gentisic, caffeic, couramic, ferulic acid 등 6종이었고, 이중 간독성 회복 및 항산화 효능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chlorogenic acid, gentisic acid, caff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는 괴근에 비하여 잎과 끝순의 함량이 높았고, 고구마 끝순이 콩나물이나 들깨잎, 시금치보다 $16{\sim}122$배 높은 함량이었다. 용매분획별로는 총 함량 175.8 mg/g 중에서 EtOAc층에 55%, BuOH층에 39%가 함유되었다. 2. Rancimat를 이용하여 산패 유도기간을 조사한 결과,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력은 옥배유, 팜유 및 돈지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이나 BHT보다 높았고, 용매분획별로는 EtOAc>BHT>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았다. 3. 과산화물가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별로는 끝순, 괴근, 토코페롤이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고, 이중 끝순은 토코페롤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냈다. 고구마 끝순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활성은 대두유와 옥배유 및 팜유에서 BuOH와 water층의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4.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 활성은 78.2%로 괴근 42.3%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들깨잎, 시금치, 콩나물은 $28.9{\sim}18.0%$로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구마 끝순에 다량 함유된 페놀화합물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5. 아질산염소거능은 끝순, 들깨잎, 콩나물이 우수하였고 그중 들깨잎이 저해율 72%로 가장 높았으며, 용매분획 중에는 BuOH과 water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6. ACE 저해 효과는 고구마 부위별로는 끝순이 괴근에 비하여 1.5배 높았고,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1.9{\sim}3.7$배 높았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 BuOH, water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7.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 끝순에는 페놀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아질산염소거능 및 ACE저해활성과 같은 생리적 효과도 높아 기능성 채소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