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7초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연구 -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Teaching the Concept of Rate and Ratio - Focused on Using the Reconstructed Textbook -)

  • 김수현;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309-3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의 교수 학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과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교과서를 새롭게 재구성하였으며, 재구성된 교과서를 활용하여 실제 교수 학습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재구성 교과서의 적절성과 한계, 학생들의 비와 비율 개념화 과정 등을 확인하였다. 현행 교과서와 다르게, 본 연구의 재구성 교과서에서는 비율, 백분율과 비의 값, 비로 지도 순서를 바꾸었으며, 이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구성 교과서에서는 상대 비교와 절대 비교, 가법적 사고와 승법적 사고 등을 다루었으며, 이는 학생들의 비와 비율 개념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재구성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맥락들 중에서 일부 맥락은 학생들의 인지적 혼란을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편각과 관련된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및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High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Textbooks Related to the Declination)

  • 이규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87-703
    • /
    • 2011
  • 편각은 판구조론 이해의 바탕이 되는 개념이며 실생활에서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때도 쓰이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에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6종의 지구과학 II 교과서에서 편각에 대한 설명이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고등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개념 검사지를 통해 실제로 나타나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교과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고등학생들은 특히 자북극과 관련하여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교과서의 편각에 대한 설명 부족과 함께 잘못된 삽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편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비쌍극자 효과를 추가한 편각의 설명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삽화의 제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이물질에 의한 완전기도폐쇄 응급처치 실기교육이 학습동기, 응급처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on the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nd Skill of Choking Management)

  • 김미선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9-8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and identify its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nd skill of choking management i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38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of 39 students, all of whom are prim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the Republic of Korea.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3. During about 2 weeks, 2 times for a week with 80 minutes at a time,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win 11.0 PC+, and the tests examining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through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t-test, and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was analysed through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intervention on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Learning motiv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After intervention on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knowledge of choking manag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F=223.637, p=.000). 3. After intervention on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skill of choking manag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t=46.800, p=.014).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can facilitate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nd skill of choking management i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raining program can be utilized as a effective way to implemen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creative extra-activities.

  • PDF

고등학교 미적분에서의 수학화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zing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school Calculus)

  • 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4호
    • /
    • pp.417-43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교수 학습론을 토대로 현행 고등학교 미적분 교수 학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이론과 딘즈의 개념학습의 다양성 이론의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 II 미분 영역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한 후, 수정된 수학화 과정에 충실한 미분계수 개념의 수학화 적분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의 특징은 미분계수 개념의 역사적 근원문제인 접선문제와 속도문제를 다양한 표현도구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과정에서 접선개념과 속도개념을 수학화 한 후에 미분계수 개념을 수학화하는 데 있다.

  • PDF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View of General Creativity Theory)

  • 김판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65-496
    • /
    • 2008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의성은 리더십 및 전문성과 더불어 인재의 핵심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창의성은 영재성의 주요한 요소이며,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은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특히 고차원의 사고력과 이해를 요구하는 수학영역에서의 창의성은 사고의 융통성을 잴 수 있는 척도로 창의성 연구의 기초 도구로 쓰인다. 그러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Sternberg와 Lubart가 제안한 6가지의 창의성 접근, 즉 신비주의적 접근, 실용주의적 접근, 심리-역등적 접근, 심리-측정적 접근, 인지적 접근, 사회-성격적 접근에 따라 수학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수학 창의성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해봄으로써 수학 창의성 개념과 최근 연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영미문화 내용분석: 2011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류다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1-83
    • /
    • 2013
  • 우리나라와 같이 EFL의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학생과 교사들은 영어권의 문화적 요소를 습득하기 위해 교과서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영어 교과서에 문화적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과서가 각 과마다 문화 고정란을 포함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문화적 개념을 습득하는 데는 부족하다. 둘째, 정신문화, 물질문화, 그리고 행동문화의 세 가지의 유형이 비슷하게 분포되어 있다. 셋째,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소재별 분석 결과 예술, 문학 등의 심미적 심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소재가 가장 높은 반영률을 보였다. 넷째, 문화 배경별 분석을 해본 결과 보편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영미문화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하고 고르게 문화를 다루려는 노력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문화와 영어권 문화를 비교할 수 있는 내용과 한국문화의 소개 등도 좀 더 많이 다루어서 학생들이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cdot$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 이형철;안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138-144
    • /
    • 200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and analyze the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illustration organiz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Japan. The analysis criterion was composed of two categories, the kind of illustration and the role of illustration. The kind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such as photograph, picture, illustration, cartoon and diagram. The role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such as motive induction, guidance for learning, the supply of material, the presentation of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zing criterion, the frequencies of relevant subcategories of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were checked and arranged and the resultant data were analyzed by gra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orean science textbooks have about 3.29 illustrations per page whereas Japanese ones have 4.1l. Compared with Korean science textbooks, Japanese ones have more illustrations. 2. From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the illustrations by grade basis,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percentage of illustrations is photograph, cartoon and picture in both countrys' science textbooks. Korean ones a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 As a contrast Japanese ones have more ratio of cartoon and picture than Korean science textbooks. 3. The analysis of the roles of the illustrations by grade basis showed that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major in both countrys' science textbooks.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prominent in Japanese ones, but in Korean ones,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supply of material.

  • PDF

고등학교 과학과 수준별 수업의 적용 시기에 따른 효과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Ti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High School Science Class)

  • 최성봉;김상달;이승민;주국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9-26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수업에서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였을 때, 수준별 수업의 적용 시기가 학습자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첫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 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상위집단의 학생들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집단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5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전라북도 일부 초등학생의 외식 및 간식섭취 실태조사 (A study on eating ou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nbuk province)

  • 백영미;정수진;백향임;차연수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7-87
    • /
    • 200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ating out and snack intakes situation of five hundred eighty five $5^{th}\;and\;6^{th}$ graders living in the city and rural parts of Jeon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Nuclear families in urban area and rural community are 84.5% and 64.7%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xtended families are 7.9% in urban area and 18% in rural communities. Out of all the households, 34.3% (urban: 37.2%, rural community: 31.5%) answered they like to eat out. Over 50.3% preferred eating Korean style food and the reason was 'the taste': urban (71.4%) and rural community (67.8%). People living in urban communities seemed to eat out more frequently than rural places and $3{\sim}4$ times a month was the average. Usually people seemed to eat out during the weekends and in the evening time 84.3% (after 7:00 p.m.). Based on each family's living standard, people answered 'we hardly ever eat out' for those in the lower class (59.1%), the middle class said once or twice a week (47.1%), and the upper class (35.7%). It was obvious that people in the middle and upper class tend to eat out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the lower class. The most common period of time which snacks were taken was after school (38.5%), on the way back from educational institute (35.0%) and the choices of snacks which they purchased were frozen sweets (56.4%)chips & cookies (25.2%) beverages (9.9%) Fast foods (4.6%) and fried foods (3.9%) in order. Urban children seem to eat more frozen sweets and rural children ate more chips & cookies. Also, amount of snacks between meals showed a higher percentage to those who had more pocket money, The type of snacks were fruits (37.1%) chips and cookies et cetera (19.2%) instant foods (12.8%) dairy products (11.1%) confectionary (10.3%) fried foods (5.1%) in order. The result shows that urban children eat out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rural areas, Eating around 7:00 p.m. was most common and the middle and upper class tend to eat out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the lower class, Also, snacks were most often bought before and after school. After 10:00 p.m frozen goods and chips were the most preferred choice. Specially, the reason for eating fast foods was because of the pleasing taste. From this study, it is clear that eating out and having snacks became pervasive into our live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Hereafter, an appropriate eating habit should be correctly educated to elementary students by spoken words and textbooks in a curriculum. In reality, snacks are classified as being the leading factor of obesity. Therefore more products containing balanced nutrition should newly develop rather than snacks with high fat content.

  • PDF

구조기능론, 발달론 및 건강가정 관점에서 비교한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가족' 관련 단원 내용 분석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Structure Functionalism.Family Development and Healthy Family)

  • 김자영;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7-136
    • /
    • 2008
  • 본 연구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관련 내용이 있는 '가정생활의 설계' 단원에서 가족이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되어 있는지를 구조기능론 발달론 관점과 건강가정 관점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족 관점에 대한 개선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가족구조, 가족역할, 발달주기, 가족관계, 노후적응, 결혼과 출산이라는 6가지로 분석요소를 구성하였다. 가족구조, 가족역할에서는 본문과 참고자료를 대상으로 심층분석하였고, 사진과 그림, 본문과 참고자료의 가족 예를 대상으로는 계량분석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분석요소에서는 본문과 참고자료를 대상으로 심층분석하였다. 심층 분석에서 건강가정 관점이 구조기능론 관점보다 많게 나온 분석요소는 가족역할, 가족구조, 결혼과 출산, 노후적응순이었고, 구조기능론이 건강가정 관점보다 많이 나온 분석요소는 가족관계였으며 발달주기 분석요소에서는 발달론 관점이 건강가정 관점보다 많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구조 계량분석에서 사진과 그림은 구조기능론 관점으로, 본문과 참고자료는 건강가정 관점으로, 가족역할 계량분석에서 사진과 그림, 본문과 참고자료는 구조기능론 관점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구조기능론 발달론 관점과 건강가정 관점이 비슷하게 나타나서 고등학교 가족 관련 단원은 구조기능론 발달론 관점과 건강가정 관점으로 접근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 개정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건강가정 관점으로 교과서를 집필하며 교사는 구조기능론 관점으로 접근된 내용을 건강가정 관점으로 접근하고 건강가정 관점의 학습자료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 적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