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day work week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초

주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 만족 (Workers' Leisure Satisfactions on Them after Enforcement of 5-day Work Week System)

  • 박성연;이기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4호
    • /
    • pp.137-154
    • /
    • 2007
  • These days, people have changed their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the tenn leisure.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ive-day work week system in Korea, people's leisure activities have changed grea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eisure activities have chan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five-day work week and to find out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way Koreans spend their leisure time. The conclusion and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follows: The five-day work week system increased people's leisure hours, but they were still working more than 40 hours per week and their satisfaction from leisure activities was more influenced by other variables than the enforcement of the five-day work week system.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from leisure, only those with high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affected by the five-day work week. To conclude, there is a necessity for direction suggestions and political support to utilize leisure time positively.

  • PDF

주5일 수업제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Five-day-work-week School System)

  • 홍승희;김영태;김형준;이영석;조태경;박병수;조정원;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25-1432
    • /
    • 2006
  • 본 연구는 주5일수업제에 대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여 주5일수업제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주5일수업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5일수업제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주5일수업제에 알맞은 교육과정이 편성 운영될 수 있도록 하며, 지원체제 및 협력 관계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인프라 구축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는 과도기적 단계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5일수업제의 정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따른 학력관과 학교교육의 방향 탐색 (A Discussion of schooling related 5-School-Day Week)

  • 박창언;김회용;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79-94
    • /
    • 2012
  •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plore direction for the schooling related 5-school-day week. For this end, first, the soci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meaning for the 5-school-day week were reviewe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5-school-day week and 5-work-day week. And learning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 is emphasized. Seco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chooling were analysed. It was examined the guideline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allotment propose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so, It was checked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qualifications, for example ratio of students to teaching staff, office of education, local government etc. Third, the direction for the schooling for 5-school-day week were discussed. The object of research related to the 5-school-day week was the applicabilities and limits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education office in local to work with the local government.

주 5일 수업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태, 양육분담 및 양육스트레스 (State and Perception of Five-day School Week System, Parenting Role-sharing and Parenting Stress)

  • 오경숙;한유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07-116
    • /
    • 2006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rents' experiences of child-rearing on Saturday with no class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40 parents with first to second grade children.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Second,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increased fathers' role-sharing on the Saturday with no class. It was also related with some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Five-Week Workweek System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Third, both the fathers and mothers had more parenting stress on Saturdays with no class than on Saturdays with classes. Their parenting stress on Saturdays with no class was related with some demographic variables and work flexibility.

주 40시간 근무제의 도입이 근로시간, 임금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the 40 Hour Work Week Standard on Actual Working Hours, Wages and Employment)

  • 김형락;이정민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3호
    • /
    • pp.83-100
    • /
    • 2012
  • 본 연구는 2004년부터 점진적으로 실시된 주40시간 근무제, 이른바 '주5일 근무제'의 도입이 근로시간, 임금 및 고용에 미친 효과를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법정 근로시간 단축이 연도별 산업별 및 사업체 규모별로 단계적으로 적용되었던 점에 착안하여 삼중차감 모형을 사용하였다. 희귀분석 결과, 주 40시간 근무제의 도입으로 실제 근로 시간은 약 43분 단축되었고, 시간당 임금은 약 6.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규 고용은 약 2.3%포인트 하락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매유통시장에서의 이상현상에 관한 연구: 의류소매점 매출의 요일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omaly in Retailing Market: Focused on the day of the week effect of Sales Volume in Fashion Apparel Products Retail Store)

  • 남상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7-141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주5일 근무제가 확대 실시되면서 여가가 많아지는 한편 각 업종별 소매점포에서의 요일별 매출도 예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요일별 수요 패턴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요일효과라고 하는데, 요일 마케팅 관점에서 볼 때 어느 소매업종에서의 요일효과 존재여부와 그 크기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소매업의 마케팅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복 소매시장에서도 요일효과가 존재 하는지의 여부와 만일 존재 한다면 각 요일별 그 차이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표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요일효과 등의 이상현상에 관한 마케팅차원의 연구가 전무하여 주로 재무관리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개별 수요를 변화시키는 일반적 수요이론과 주식시장에서의 요일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토대로 이상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 하여 소매유통시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실증분석에 있어서는 국내 남성복 소매업체인 P사의 과거 5년간 매출 자료를 토대로 데이터 정제와 통계처리를 통하여 요일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복 소매시장에 있어서도 요일효과는 존재하며, 월요일에서 일요일로 갈수록 양(+)의 요일효가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요일효과는 계절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소매업을 경영하는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인 소매점포 운영방안을 강구할 수 있는데 유익한 시사점이 제공되리라 기대한다.

  • PDF

주야2교대제에서 주간연속2교대제로의 전환 후 수면의 질 변화 : 일개 완성차 제조사의 사례 (The Change of Sleep Quality after Transition to Consecutive Day Shift from Day and Night Shift: A Motor Assembly Factory Case)

  • 송한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6-572
    • /
    • 2015
  • Objective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somnia after the change to consecutive day shift from day and night shift in a motor assembly factory. Materials: Data were collected at before and after shift system change through a survey conducted by a labor union. We analyzed transition of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mong 222 workers by separating the day shift week and night shift week. The cut-off point of insomnia was 8.5 on the PSQI. Results: Mean PSQI in the day shift week significantly did not decrease, going from $6.36{\pm}3.23$ to $6.46{\pm}3.00$(p=0.612 by paired t-test), Mean PSQI for night shift week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8.31{\pm}3.36$ to $6.19{\pm}3.18$(p<0.001 by paired t-test). However, mean PSQI in the day shift week increased from $6.33{\pm}3.83$ to $7.11{\pm}2.86$ in ${\geq}50$ years(p=0.085, by repeated measured ANOVA). Mean PSQI score in the night shift week improved more in the married group(from $8.38{\pm}3.27$ to $6.12{\pm}3.18$) than in the non-married group(from $7.82{\pm}3.27$ to $6.12{\pm}3.18$)(p=0.038, by repeated measured ANOVA). Conclusions: The change to consecutive day shift improved insomnia in night shift. However, insomnia in the day shift week was worsened among those more than 50 years old.

주 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The Effect of 40-hour Work Week System on Leisure Life of Workers)

  • 김유선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7-70
    • /
    • 2011
  •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0년 3월)와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청의 '국민여가활동조사'(2010년 7월)를 분석한 결과, 주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들의 근로시간과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40시간 근무제는 실 근로시간을 11.3% 단축시키고, 장시간근로 확률을 1/5로 축소시킨다. 시간당 임금에 대한 근로시간 탄력성은 -0.145로, 임금이 낮을수록 실 근로시간이 길고 장시간근로 확률이 높다. 저임금과 장시간근로는 동전의 양면이다. 둘째, 주40시간 근무제는 휴일 여가시간을 매개변수로 하여 여가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휴일 여가시간이 10% 늘면 여가비용이 3% 늘어난다. 주40시간 근무제는 스포츠 등 적극적 여가활동을 늘리고, 자원봉사, 동호회 등 사회성 여가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주40시간 근무제 이후 생활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로는, 10명 중 7명이 '가족과 함께 하는 여가시간 증가'(52.2%), '자기 계발을 위한 시간 증가'(15.7%) 등 긍정적 변화에 응답하고, '여가 소비지출 부담 증가'(6.3%), '수입 감소'(3.4%) 등 부정적 변화는 13.9%, '별다른 변화 없음'은 14.4% 응답했다. 긍정적 생활변화는 여가생활 만족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넷째, 다른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주40시간 근무제는 주관적 행복수준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여가생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주40시간 근무제가 노동생활과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이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고, 빠른 시일 내에 모든 직장에 주40시간 근무제가 정착되도록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주40시간 근무제를 5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하고, 초중등학교에 주5일 수업제를 전면 실시하고, 적극적 여가활동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근로감독 행정을 강화해서 주 52시간을 초과하는 탈법적인 장시간근로를 제한하고 저임금을 일소해야 한다.

항공교통관제사의 피로위험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른 국내 적용 방안 (Domestic Application Plan of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by Air Traffic Controller)

  • 이영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01-506
    • /
    • 2019
  • 본 논문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기준에 부합하기 위하여 항공교통관제사에 대한 피로위험관리시스템(FRMS)의 도입 및 시행을 앞두고 과학 데이터 기반에 근거하여 우리에 적합한 FRMS 구축을 위한 규범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현행 국내운영기준에 대하여 항공관제기관별 운영을 확인하고, 해외 각국의 항공교통관제 기관별 운영 방식과 기준을 비교·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관제사는 주/야 최대 근무시간 10시간, 최소휴식 8시간, 주 40시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항공교통관제기관의 경우의 주간의 경우는 기준시간과 적합한 근무를 하나, 야간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5.9시간을 초과한다. 그리고 주 40시간 경우 평균적 15.7시간의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 이러한 야간 근무시간 조정 방법으로 인원보충에 의한 적절한 야간 근무시간 배분과 더불어 근무교대 방식이 1일 2교대(주/야) 방법이 아닌 개인 schedule에 따른 근무자 투입 방식의 형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여 나갈 수 있을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의 주 40시간 근무제 대응 전략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40 Working - hours Each Week at Public Libraries in Korea)

  • 곽동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3-180
    • /
    • 2005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행정기관의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과 관련하여 근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사서들의 삶의 질 향상을 염두에 두면서, 동시에 이용자에게 만족스런 정보서비스를 지속해야 하는 문제를 갖고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에서는 도서관에서의 주 40시간 근무제에 대한 문제점 도출 및 대응 전략을 고찰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서, 이용자, 일반국민에 대한 의식조사 등을 수행하면 더욱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논리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세부적으로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정부가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는 행정기관 주 40시간 근무제 추진 계획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둘째, 미국을 비롯한 외국의 공공도서관은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와 더불어 어떻게 도서관을 경영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셋째,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에 따라 각각 시행중인 도서관 경영 실태를 분석한다. 넷째, 향후 정부가 금년 7월부터 주 40시간 근무제를 전면 실시할 경우에 대비하여 문화기반시설로서 공공도서관에서의 주 40시간 근무제 대응 전략을 모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