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D-Var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37초

造景植物의 道路交通騷音 減衰機能에 關한 基礎硏究(I) (A Basic Study on Landscape Plants as Attenuator of Vehicular Noise(I))

  • 국찬;김선우;심우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1-9
    • /
    • 1990
  • Landscape plants as attenuator of vehicular noise were basically experimented with 8 kinds of trees and shrubs at the university nursery, and checked the attenuating effects by the planted distances, species and sound frequencie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and sumarized as follows ; 1. Most plants showed the considerable noise attenuating function in the sound frequencies of 63Hz and 1,000Hz. Tall trees such as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and Magnolia grandiflora showed better effects than shrubs or small trees such as Gardenia jasminoides, Osmanthus fragnance, Osmanthrs heterophyllus, Rhododendron indicum, Chamaecyparis obtusa 'Tetragona Aurea' and Pinus paruiflora in 63Hz frequency, but shrubs showed better effects in 1,000Hz. 2. Trees showed 6~8dB attenuation and shrubs 4~5dB regardless an increase of distance between sound source and receiver in 63Hz. 10 meter width of tree belt could reduce 10 more dB, but 5 meter of shrub belt showed the same effect in 1,000Hz. 3. Trees having more leaves and wider crown showed constantly increase of attenuation of sound by the distance in 1,000Hz, and distinct increase of attenuation were observed in 2,000 more Hz.

  • PDF

韓國海岸植物의 生態學的 硏究 - 西海岸의 沙丘植生에 關하여 -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On the Sand Duen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 Lee,Woo Tchul;Sang-Keun Ch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2호
    • /
    • pp.74-84
    • /
    • 1983
  • The dominant species of the sand vegetatio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were Carex pumila, Ischaemum antheporoides, Calystegia soldanella, Carex kobomugi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The salt content of the sand dune soil and of the atmosphere of surveyed areas ranged from 3.93 to 13.86 mg% and from 25.81 to 168.86mg% respectively. Between the salt content of the atmosphere and that of the soil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Species density and Simpson's index in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coast, the former was exponential, however, the latter was linear. The composition of biological types in the investigated stands were H-D4-R1-3-e or H-D4-R1-3-t. Relative numbers of psammophytes and rhizome psammophytes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coast, but those of other plants increased. The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vegetation ranged from 0.04 to 491.64g/m2 and the average 27.77g/m2. This was varied as the stands and showed a linear increment as the distance from the coast was increased. The salt content of atmosphe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nsity, T/R ratio in the standing crop and Simpson's index. The salt content of soil showed similar tendency on the density and the T/R ratio.

  • PDF

흰쥐 적출 자궁의 수축 작용과 흰쥐 장관에 있어 칼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에 대한 Cyclobuxine D의 영향 (Effects of Cyclobuxine D on Drug-Induced Contractions of the Isolated Rat Uterine Muscle and Potassium-Activated Calcium Channels in an Intestinal Smooth Muscle)

  • 권준택;이종화;박영현;조병현;최규홍;김유재;김종배;김정목;김천숙;차영덕;김영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3-109
    • /
    • 1988
  •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에 존재 하는 steroidal alkaloid인 cyclobuxine D는 흰쥐에 있어 심박동수 감소 작용, 적출 개구리 심장에서 수축력 감소작용, 토끼 적출 장관에서 acetylcholine과 $Ba^{++}$.에 유발되는 수축에 대한 억제작용 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적출 자궁에서 acetylcholine, oxytocin과 $Ba^{++}$에서 의해 나타나는 수축 작용에 대한 cyclobuxine D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또 흰쥐 적출장관에서 칼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채널에 대한 cyclobuxine D의 작용을 관찰하였다. Cyclobuxine D는 흰쥐 적출 자궁에서 acetylcholine, oxytocin과 $Ba^{++}$에 의해 증가되는 peak tension과 duration을 용량적으로 현저히 억제하였다. Cyclobuxine D는 oxytocin보다 acetylcholine에 의해 나타나는 수축작용에 대해 강하게 작용했다. 흰쥐 적출 장관(ileum)을 Ca을 고갈시킨 Tyrode's 용액에 $40{\sim}50$분 담그고 $Na^+$ 대신 $K^+$로 대체시킨 용액에 10분간 담근 후 1.8 mM $CaCl_2$를 가했을 때 이중적인 근육수축작용이 나타난다(Phasic and tonic increase in tension). Cyclobuxine D $(6.2{\times}10^{-5}\;M)$은 이 두 components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tonic component가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 cyclobuxine D $(3.1{\times}10^{-4}\;M)$을 가하면 근육은 긴장도를 빨리 상실했다. 이 결과는 적출 장관에 있어 칼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이 cyclobuxine D에 의해 차단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에서 cyclobuxine D의 흰쥐 적출 자궁에 대한 수축 억제 작용은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 차단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한국산 유색미에서 분리한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 (Chemical Structure of the Major Color Component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 조만호;백영숙;윤혜현;한태룡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304-308
    • /
    • 1996
  • 한국산 유색미(Oryza sativa var. Suwon 415)의 주요색소를 Amberlite XAD-7 및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색소를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UV/Vis 및 NMR 분광분석한 결과 안토시아닌으로 밝혀졌다. 분리된 안토시아닌은 UV/Vis 스펙트럼에서 529nm와 281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였고 $A_{440}/A_{529}$는 23%였다. 따라서 이 안토시아닌에는 3-glycoside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산 가수분해로부터 얻은 aglycone은 $AlCl_3$ 존재하에서 18nm의 bathochromic shift를 보였다. 이 결과는 분리된 안토시아닌에 cyanidin, delphinidin, petunidin 또는 luteolinidin과 같이 둘 이상의 hydroxyl group이 근접하여 존재함을 의미한다.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안토시아닌의 산 가수분해로부터 해리된 당은 포도당으로 확인되었다. NMR 분광분석결과 aglycone은 cyanidin이며 포도당은 ${\beta}-D-configuration$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분리된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는 cyanidin $3-O-{\beta}-D-glucopyranoside$로 결정되었다.

  • PDF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토양조건별 초본식물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aceous Plants by Soil Condition to Revitalize the Urban Agriculture)

  • 박원제;한경환;권순효;박미옥;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
    • /
    • 201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find the most optimal soil-plant combination in the urban agriculture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soil base material which is being used in the urban agriculture with the growth of plants. 4 types of easily purchased soil (bed soil(A), animal vermicast soil(B), earth worm soil(C) and matured compost(D)) verified in aspects of effect and safety of soil in terms of growth of crop is selected as experimental soil and B, C, D type soils are mixed with granite soil at the ratio of 7 : 3. And granite soil(E) is set as a controlled soil and is compar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mixed soil. Herbaceous plants are classified into the fruit vegetabl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and Capsicum annuum L.), leafy vegetables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and Lactuca sativa L.), medicinal vegetables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nd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growth of herbaceous plants in different soil types showed that fruit vegetables and leafy vegetables in general had excellent growth in D type soil mixture and A type soil in general and had the poorest growth in E type (controlled) soil.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had the excellent growth in D type, B type, C type mixed soil and A type soil and E type (controlled) soil are followed in order. In the case of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difference in growth by each soil was shown to be insignificant. Therefore, the soil applied in the urban agriculture varies depending on each species of herbaceous plants, but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cultivate herbaceous plant which is economical and productive by using D type mixed soil which can be recycled and inexpensive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al soils in the urban agriculture.

벌꿀을 이용한 고액분리 숙성 탁주의 주질 향상과 고형분의 조절에 따른 품질유지기간 증대 (Improvement of Takju Quality by a Ripening-Fermentation Process Using Honey and Extension of Shelf Life by Control of Takju Mash Sediment)

  • 정승진;신태선;김진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0-86
    • /
    • 2012
  • 우리 나라 전통술인 탁주의 주질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천연성과 기능성을 가진 벌꿀을 사용하였고 저장기간의 연장을 위하여 술액의 침전물 양을 조절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발효방식은 주모발효 후 3단담금 방식으로 하였고, 입국균은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 원료는 100% 백미, 알코올 발효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다. 제성액의 고형분과 술액을 분리하여 벌꿀을 최종농도 5%(w/v) 첨가하여 5, 10, $15^{\circ}C$에서 23일간 숙성하였을 때 온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숙성기간 동안 알코올이 미소하게 감소했을 뿐 pH, 산도 및 총당량은 거의 일정하였다. 이와 같이 특징적인 술액의 차이는 없었지만 벌꿀숙성으로 제조한 탁주가 벌꿀 첨가 직후의 미숙성 탁주와 비교할 때 우수한 관능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었다. 추가적으로 냉동 보관한 고형분을 100%, 50% 및 25% 비율로 벌꿀첨가 숙성된 술액과 혼합한 후 물을 보충하여 알코올 8%의 탁주를 제조하고 37일간 $10^{\circ}C$에서 날짜 별로 분석하였다. pH는 모든 탁주에서 4.5~4.8 사이를 큰 차이 없이 유지하였으며 고형분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모 세포수, 산도 및 알코올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총당량은 감소함을 보여 주었다. 즉 고형분의 양이 소량일수록 탁주의 주질이 안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후 고액 분리하여 상층액에 벌꿀을 첨가함으로써 저온 숙성기간 동안 주질의 큰 변화를 주지 않고 관능적으로 우수한 술액을 만들 수 있었으며, 고형분의 재혼합 비율을 조절할 경우 저장기간이 증대된 탁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채를 기주로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의 생명표 분석 (Life Table Analysis of the Cabbage Aphide, 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 (Homoptera: Aphididae), on Tah Tsai Chinese Cabbages)

  • 김소형;김광호;황창연;임주락;김강혁;전성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49-456
    • /
    • 2014
  •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의 생명표를 작성하고자 다채(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를 기주로 7개 온도(15, 18, 21, 24, 27, 30, $33{\pm}1^{\circ}C$, $65{\pm}5%$ RH, 16L : 8D)에서 온도발육 실험을 수행하였다. $24^{\circ}C$에서 온도별 사망률은 어린약충기간($1^{st}{\sim}2^{nd}$)에서 18%였고, 노숙약충기간($3^{rd}{\sim}4^{th}$)에서는 0%였다. $18^{\circ}C$에서 어린약충의 발육기간은 8.4일이었고, 온도가 증가 할수록 발육기간은 짧아졌으며 노숙약충은 6.7일이었다.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전체약충의 발육영점온도는 $7.8^{\circ}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120.1일도였다. 성충의 수명과 산자수는 모든 약충이 사망한 $15^{\circ}C$$33^{\circ}C$를 제외하고 5개 온도에서 조사하였다. 성충수명은 $21^{\circ}C$에서 14.9일이었고, $24^{\circ}C$에서 58.5개의 산자를 생산하였다. 생명표에서 순증가율($R_o$)은 $24^{\circ}C$에서 47.5였으며, 내적자연증가율($r_m$)과 기간증가율(${\lambda}$)은 $27^{\circ}C$에서 각각 0.36, 1.43이었다. 배수기간($D_t$)은 $27^{\circ}C$에서 1.95d이었고, 평균세대기간(T)은 $30^{\circ}C$에서 7.43d이었다.

Petrochemical effluent treatment using natural coagulants and an aerobic biofilter

  • Bandala, Erick R.;Tiro, Juan Bernardo;Lujan, Mariana;Camargo, Francisco J.;Sanchez-Salas, Jose Luis;Reyna, Silvia;Moeller, Gabriela;Torres, Luis G.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2권3호
    • /
    • pp.229-243
    • /
    • 2013
  • Coagulation-flocculation (CF) was tested coupled with an aerobic biofilter to reduce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s) concentration and toxicity from petrochemical wastewater.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was followed using turbidity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he biofilter was packed with a basaltic waste (tezontle) and inoculated with a bacterial consortium. Toxicity test were carried out using Lactuca sativa var. capitata seeds. Best results for turbidity removal were obtained using alum. Considerable turbidity removal was obtained when using Opuntia spp. COD removal with alum was 25%, for Opuntia powder it was 36%. The application of the biofilter allowed the removal of 70% of the remaining TPHs after 30 days with a biodegradation rate (BDR) value 47 $mgL^{-1}d^{-1}$. COD removal was slightly higher with BDR value 63 $mgL^{-1}d^{-1}$. TPH kinetics allowed a degradation rate constant equal to $4.05{\times}10^{-2}d^{-1}$. COD removal showed similar trend with $k=4.23{\times}10^{-2}d^{-1}$. Toxicity reduction was also successfully achieved by the combined treatment process.

주식시장의 수익률 전이로 살펴본 세계경제 동조화에 관한 실증연구 (The Empirical Study about the World Economy Synchronization using Returns Transitions between Stock Markets)

  • 노상윤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3호
    • /
    • pp.443-456
    • /
    • 2010
  • 본 연구는 주식시장을 통해 세계경제의 동조화 현상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우리나라의 KOSPI, 북미지역을 대표하는 미국의 DOW와 NASDAQ, 아시아 지역내 일본의 NIKKEI, 유럽지역내 독일의 DAX 등 국내외 주가지수 시계열자료를 수집한 후 VAR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원시계열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 수익률시계열로 변환하여 분석한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주가지수수익률과 관련 국가들의 주가지수수익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성(causality)이 존재하였다. 둘째, 일정한 시차를 두고 시장수익률 간의 환류효과(Feedback effect)가 존재하였다. 셋째, 5개 주가지수수익률 시계열 간에 4개의 공적분 관계가 발견되었다. 넷째, 충격반응 분석결과 여타 시계열 간의 충격과 반응에 비해 외국 주가지수수익률이 우리나라 지수수익률에 전달한 충격에 대한 반응이 상대적으로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가지수수익률의 동조화 현상(synchronization)은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이에 따라 아시아를 넘어 북미, 유럽지역의 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유사한 시장변화가 우리나라에서도 발생하게 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세계경제의 동조화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심도있는 연구들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Influence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ater Extract on the Shelf Life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Cooked Beef Patties

  • Lee, Cheol Woo;Choi, Hyun Min;Kim, Su Yeon;Lee, Ju Ri;Kim, Hyun Joo;Jo, Cheorun;Jung, Samooe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89-39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ater extract (WEP) on the shelf life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cooked beef patties. The WEP contained phenolic compounds (80.65 mg gallic acid equivalents/g) and had half-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s of 0.437 and 4.509 mg/mL for scavenging of DPPH and ABTS+ radicals, respectively. Treatment with 0.6% WEP inhibited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p<0.05).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tioxidative potential and antimicrobial potential of WEP, beef patties were prepared with three treatment groups: (1) beef patties without added antioxidant (control); (2) beef patties with 0.02% ʟ-ascorbic acid (BAA); and (3) beef patties with 0.6% WEP (BWEP). The pH and cooking loss of BWEP were lower and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respectively (p<0.05). When cooked beef patties were stored for 21 d at 4℃, the total number of aerobic bacteria in BWEP was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on all days except day 14 (p<0.05). The TBARS values in BWEP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s on days 7, 14, and 21 (p<0.05). Compared to control and BAA, BWEP had lower L* and b* values and higher a* value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p<0.05). Except on day 0, acceptability was higher in BWEP than in control and BAA (p<0.05). According to results, WEP can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 that improves the shelf life and sensorial qualities of mea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