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MS

검색결과 6,196건 처리시간 0.046초

고추냉이 신초의 생육에 미치는 배지의 Salt Strength, Sucrose 농도 및 NH4/NO3 비율의 영향 (Effect of Salt Strength, Sucrose Concentration and NH4/NO3 Ratio of Medium on the Shoot Growth of Wasabia japonica in Vitro Culture)

  • 박윤영;조문수;정종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263-269
    • /
    • 2007
  • 식물 세포나 조직의 배양에서 배지의 salt strength, sucrose 농도, 질소 함량과 질소원의 종류 및 그 비율 등이 세포 또는 조직의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Agar를 함유한 MS 기본배지와 BA 1 mg/L를 첨가한 MS 기본 액체배지에서 계대배양을 통하여 생산한 다신초를 액아와 본엽이 $2{\sim}3$매 되도록 분할한 신초를 이용하여 MS 액체배지의 salt strength와 sucrose 농도 및 $NH_4/NO_3$ 비율이 고추냉이 신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추냉이 유묘의 생산에 필요한 최적 배지조건을 구명하였다. 고추냉이 신초의 증식에는 MS 액체배지의 salt strength는 기본조성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4{\sim}1/2x$ 또는 2x MS 배지에서는 고추냉이 유묘의 생장이 크게 억제 되었다. 기본조성의 MS 액체배지에 sucrose 3%를 첨가하였을 때 고추냉이 신초의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sucrose 농도 $1{\sim}6%$ 범위에서 신초의 수와 길이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본조성의 MS 액체배지에서 질소원으로 ${NH_4}^+$${NO_3}^-$의 비율을 10:50으로 조절하였을 때 고추냉이 신초의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NH_4}^+$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생장은 억제되었다.

시호 모상근 배양에서 배지성분에 따른 사이코사포닌 함량과 조직학적 형태의 차이 (The Effect of Various Culture Media on Histological Anatomy and Saikosaponin Content in Hairy Root Culture of Buplurum falcatum)

  • 안준철;정영재;이규배;김옥태;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1-256
    • /
    • 1999
  • 시호 모상근 태양에선 MS와 RCM 배지를 기본배지로 하는 몇 가지 배지를 사용하여 생장과 사이코사포닌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중 MS와 3RCM 두 배지에서 보이는 생장과 성분 함량의 차이가 뿌리의 조직학적 차이와 연관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모상근의 생장은 생중량은 MS배지가 건중량은 3RCM 배지가 각각 양호하였으며, MS와 3RCM의 건중량에 대한 생중량의 비가 각각 7.6%와 14%로 MS 배지가 함수량이 높았다. 사이코사포닌 함량은 MS배지에서는 극히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3RCM 배지에서는 총함량에서 국내 1년산 재배근의 약 $2.2{\sim}5.5$배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두 배지에서 배양한 시료의 근단부와 뿌리끝 1 cm 부근에서는 조직학적인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성숙대에서 는 MS 배지 보다 3RCM 배지에서 목부 사부 세포들의 발달이 보다 뚜렷하고, 3RCM 에서는 많은 세포에서 탄닌을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진한 염색의 액포 또는 세포 소기관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세포 소기관의 발달은 사이코사포닌을 포함한 2차대사물질의 생합성과 연관이 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C/MS/MS를 이용한 혈장 중 리도카인의 정량 및 리도카인 패치제의 약물동태학적 평가 (LC/MS/M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Lidocaine in Hairless Rat Plasma and Pharmacokinetic Applications of Lidocaine Patch)

  • 황지연;김철준;신영희
    • 약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58-163
    • /
    • 2012
  • Lidocaine has been studied for many chronic pain conditions, including postherpetic neuralgia (PHN) and recently it has also been increasingly used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In this study, pharmacokinetics of a lidocaine patch was studied in four hairless male rats. The plasma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a validated LC/MS/MS method after applying a $3{\times}2cm^2$ (30mg) patch for 12 hours. From the plasma lidocaine concentration vs time curves, $AUC_{0-20h}$, Cmax, and Tmax of lidocaine patch were $2,926.32{\pm}335.28ng{\cdot}h/ml$, $256.86{\pm}29.63ng/ml$, and $6.00{\pm}2.31h$, respectively.

GC-MS/Ms Analysis of Benzo(a)pyrene by Ion Trap Tandem Mass Spectrometry

  • Nam, Jae-Jak;Lee, Sang-Ha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8호
    • /
    • pp.1097-1102
    • /
    • 2002
  • The mass spectrometry using an ion trap tandem mass spectrometer has been investigated to find optimum conditions for the analysis of benzo(a)pyrene (3,4-benzpyrene). The applicability to a real soil sample was also investigated to verify the usef ulness of the MS/MS (or collision induced dissociation, CID) analysis. The optimum CID condition was 1.5 and 0.45 for the RF excitation voltage and the q value, respectively. For comparison, CID and EI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a soil sample. CID analysis was more sensitive than EI analysis of the soil sample. The limit of detection (LOD) of benzo(a)pyrene was 3.18 ng mL-1 and 0.85 ng mL,-1 for EI and MS/MS analysis, respectively. The precision at the soil sample for EI and CID showed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6.1% and 4.1%, respectively, and the concentrations were 168 ㎍ kg-1 and 162 ㎍ kg-1 , respectively.

Effect of Speech Degradation and Listening Effort in Reverberating and Noisy Environments Given N400 Responses

  • Kyong, Jeong-Sug;Kwak, Chanbeom;Han, Woojae;Suh, Myung-Whan;Kim, Jinsook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9-126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distracting listening conditions, individuals need to pay extra attention to selectively listen to the target sound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listening effort required in reverberating and noisy backgrounds, a semantic mismatch was examined. Subjects and Methods: Electroencephalography was performed in 18 voluntary healthy participants using a 64-channel system to obtain N400 latencies. They were asked to listen to sounds and see letters in 2 reverberated×2 noisy paradigms (i.e., Q-0 ms, Q-2000 ms, 3 dB-0 ms, and 3 dB-2000 ms). With auditory-visual pairings,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answer whether the auditory primes and letter targets did or did not match. Results: Q-0 ms revealed the shortest N400 latency, whereas the lat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3 dB-2000 ms. Further, Q-2000 ms showed approximately a 47 ms delayed latency compared to 3 dB-0 ms. Interestingly, the presence of reverbe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N400 latencies. Under the distracting conditions, both noise and reverberation involved stronger frontal activation. Conclusions: The current distracting listening conditions could interrupt the semantic mismatch processing in the brain. The presence of reverberation, specifically a 2000 ms delay, necessitates additional mental effort, as evidenced in the delayed N400 latency and the involvement of the frontal sources in this study.

Effect of Speech Degradation and Listening Effort in Reverberating and Noisy Environments Given N400 Responses

  • Kyong, Jeong-Sug;Kwak, Chanbeom;Han, Woojae;Suh, Myung-Whan;Kim, Jinsook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4권3호
    • /
    • pp.119-126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distracting listening conditions, individuals need to pay extra attention to selectively listen to the target sound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listening effort required in reverberating and noisy backgrounds, a semantic mismatch was examined. Subjects and Methods: Electroencephalography was performed in 18 voluntary healthy participants using a 64-channel system to obtain N400 latencies. They were asked to listen to sounds and see letters in 2 reverberated×2 noisy paradigms (i.e., Q-0 ms, Q-2000 ms, 3 dB-0 ms, and 3 dB-2000 ms). With auditory-visual pairings,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answer whether the auditory primes and letter targets did or did not match. Results: Q-0 ms revealed the shortest N400 latency, whereas the lat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3 dB-2000 ms. Further, Q-2000 ms showed approximately a 47 ms delayed latency compared to 3 dB-0 ms. Interestingly, the presence of reverbe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N400 latencies. Under the distracting conditions, both noise and reverberation involved stronger frontal activation. Conclusions: The current distracting listening conditions could interrupt the semantic mismatch processing in the brain. The presence of reverberation, specifically a 2000 ms delay, necessitates additional mental effort, as evidenced in the delayed N400 latency and the involvement of the frontal sources in this study.

'설향' 딸기의 생장점 배양 시 MS 배지 농도에 따른 발아율 및 생육특성 (Effect of MS Medium Strength on the Sprouting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Meristem Culture of Strawberry 'Seolhyang')

  • 김혜진;이종남;임학태;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100-104
    • /
    • 2014
  • 본 실험은 일계성 딸기 '설향'의 조직배양묘 생산 시 발아율 향상을 위해 MS 배지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딸기 생장점은 엽원기가 1매 붙은 0.2mm-0.3mm 크기로 적출하였으며, MS 배지 농도는 1/4, 1/3, 1/2, 1배 등 4 수준으로 실시하여 배양 8주 후 발아율 및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계성 딸기 '설향'과 '대왕'의 생장점을 1배 농도의 MS 배지에 치상한 결과, '대왕'의 발아율은 93.6%인 반면에 '설향'의 발아율은 31.6%로 매우 낮았다. '설향'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MS 배지 농도별 실험한 결과, 1배 농도의 발아율은 31.6%, 1/2배 농도는 75.0%, 1/3배 농도는 94.4%로 배지 농도가 낮아질수록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나, 1/4배 농도에서 발아율이 54.5%로 낮아졌다. 생장점 배양 8주 후 MS 배지 농도별 생육을 비교한 결과, 초장은 1배 농도에서 0.9cm, 1/2배 농도에서 1.2cm, 1/3배 농도에서 1.6cm, 그리고 1/4배 농도에서 1.9cm로 배지 농도가 낮아질수록 초장이 길어졌으나, 잎수 및 뿌리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일계성 딸기 '설향'의 생장점 배양 시 1/3배 MS 배지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고, 생육이 우수하였다.

3세이하의 어린이의 치아우식증과 관련된 미생물학적 선별검사 (CARIES-RELATED MICROBIOLOGICAL SCREENING IN CHILDREN UNDER THREE YEARS OF AGE)

  • 박재홍;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7
    • /
    • 2003
  • 3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구강 내 미생물과 타액완충능이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87명의 어린이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치태와 자극성타액을 각각 면봉과 면구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0.94%의 lactic acid를 타액 표본에 첨가하기 전과 후의 pH를 각각 측정하였고 타액표본을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선택배지와 비선택배지에 접종하였다. Mutans streptococci (MS), lactobacilli (LB), total viable count (TVC)의 집락수와 타액의 pH와 완충능을 어린이의 치아우식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극성타액과 치태 모두에서 MS와 LB가 치아우식증과 높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2. 치아우식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미생물의 집락수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극성 타액 1 ml당 MS 집락수가 $10^5$ 이상 2) 치태 1 ml당 MS 집락수가 $2{\times}10^5$ 이상 3) 자극성타액 1 ml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4) 치태 1 ml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3. 타액의 pH와 완충능은 유아기우식증과 관련이 없었다. 4. MS 검사는 LB 검사 보다 높은 예측치 (predictive value)와 교차비 (odds ratio)를 보였다. 5. MS 집락수는 어린이에 있어서 치아우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믿을만한 미생물학적 검사로 일반적인 세균배양법을 이용하거나 상품화된 검사기구를 이용하여 쉽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QuEChERS 전처리법과 HPLC-MS/MS 기기분석을 이용한 사과와 상추 중 240종 농약의 동시분석 (Multiresidue Analysis of 240 Pesticides in Apple and Lettuce by QuEChERS Sample Preparation and HPLC-MS/MS Analysis)

  • 권혜영;김찬섭;박병준;진용덕;손경애;홍수명;이제봉;임건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7-433
    • /
    • 2011
  • QuEChERS(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전처리법과 HPLC-MS/MS의 기기분석조건을 확립하고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상추와 사과에 첨가농도 90, 45, 9 ng/g로 농약을 처리하고 상추의 경우 GCB를 첨가하고 사과의 경우 GCB를 첨가하지 않고 QuEChERS법으로 전처리 한 후 HPLC-MS/MS로 분석하여 matrix matched calibration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조사한 결과, 첨가된 농약 240성분 중 회수율이 70~120%이고 RSD가 20% 이하인 농약은 사과의 경우 218성분(91%), 상추의 경우 207성분(86%)이었다. 또한 lowest calibrated level(LCL)은 192성분이 4.5 ng/g, 42성분이 9 ng/g, 3성분이 45 ng/g이었으며 3성분은 검출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사용된 QuEChERS 전치리법과 HPLCMS/MS 분석조건을 이용하여 국내 등록 농약에 대한 야채와 과일중의 잔류농약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박 시판 품종의 식별을 위한 Genomic과 Expressed Sequence Tag (EST)에서 유래된 Microsatellite Marker의 이용 (Use of Microsatellite Markers Derived from Genomic and Expressed Sequence Tag (EST) Data to Identify Commercial Watermelon Cultivars)

  • 권용삼;홍지화;김두현;김도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737-750
    • /
    • 2015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수박 102 품종에 대한 DNA 프로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genomic microsatellite(gMS)와 expressed sequence tag(EST) microsatellite(eMS) 마커의 다형성 정도의 비교와 유전적 연관성 분석을 통한 품종식별력 검정 등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박 gMS 마커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수박 102 품종을 검정하였을 때 마커당 3.63개의 평균 대립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평균 PIC 값은 0.479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eMS 마커는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가 2.50개, PIC 값이 0.425로 나타나 gMS 마커보다 다형성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gMS와 eMS 및 이들 두 종류의 마커를 병합하여 작성된 계통도는 microsatellite 마커의 다형성에 따라 수박 102개 품종을 6-8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고 대부분의 품종의 식별이 가능하였다. 3가지 마커 유형에 따라 작성된 계통도를 Mantel test에 의해 상관 정도를 분석하였을 때 높은 상관($r{\geq}0.80$)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활용된 microsatellite 마커는 수박 유전자원의 특성평가, 순도검정 및 품종의 지문화 작업의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