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imulation

검색결과 5,212건 처리시간 0.042초

SPICE를 사용한 3D NAND Flash Memory의 Channel Potential 검증 (The Verification of Channel Potential using SPICE in 3D NAND Flash Memory)

  • 김현주;강명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778-78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SPICE를 사용한 16단 3D NAND Flash memory compact modeling을 제안한다. 동일한 structure와 simulation 조건에서 Down Coupling Phenomenon(DCP)과 Natural Local Self Boosting(NLSB)에 대한 channel potential을 Technology Computer Aided Design(TCAD) tool Atlas(SilvacoTM)와 SPICE로 simulation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두 현상에 대한 TCAD와 SPICE의 channel potential이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ICE는 netlist를 통해 소자 structure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imulation 시간이 TCAD에 비해 짧게 소요된다. 그러므로 SPICE를 이용하여 3D NAND Flash memory의 효율적인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2.5D Mapping 모듈과 3D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 (2.5D Mapping Module and 3D Cloth Simulation System)

  • 김주리;김영운;정석태;정성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4호
    • /
    • pp.371-380
    • /
    • 2006
  • 본 논문은 패션 디자인 분야에서 완성된 의상의 모델 사진을 활용해 다양한 원단(직물)을 직접 Draping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고 직접 샘플이나 시제품을 제작하지 않고도 시뮬레이션만으로 의상 작품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모델과 원단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Mapping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추출되는 시제품을 3D 모델에 입혀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으로 우선 여러 옷감 조각들을 이용하여 가상의 3D 인체 모델에 옷을 입히기 위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3D 인체 모델 파일과 2D 재단 패턴 파일을 읽어 들인 다음에 mass-spring model에 기반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의복을 착용한 3D 모델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의복을 구성하는 삼각형 사이의 충돌을 검사하고 반응 처리를 수행하였다. 인체를 구성하는 삼각형의 수가 매우 많으므로, 이러한 충돌 검사 빛 반응 처리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Octree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 수를 줄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사실적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었고, 수초 이내에 가상 인체 모델에 의복을 입힐 수 있었다.

건물 내에서 화재시의 대피 시뮬레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acuation Simulation of Indoor Environment Fire)

  • 장병옥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8
    • /
    • 2010
  • 최근 컴퓨터 하드웨어 및 3D 그래픽의 기술 발전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실제와 유사한 3D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3D 시뮬레이션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그래픽 기술을 활용하여 화재시의 건물 내에서 사람들이 대피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이 화재 시 건물을 탈출할 때 인공지능을 갖기 위해 A*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화재 시에 사람의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열과 연기를 고려하여 각 사람의 탈출 속도를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대피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실제 건물환경을 모델링하여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들을 통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연기의 농도가 짙어질수록 사람의 탈출속도가 감소하는 것과 온도와 연기 농도에 의해 사람이 피해를 입고 사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3D Terrain Visualization for Navigation Simulation using a Unity 3D Development Tool

  • Shin, Il-Sik;Beirami, Mohammadamin;Cho, Seok-Je;Yu, Yung-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5호
    • /
    • pp.570-576
    • /
    • 2015
  • 3D visualization of navigation simulation is to visualize the environment conditions (e.g. nearby ships, dynamic characteristics, environment, terrain, etc) for any users on ships at sea. Realistic 3D visualization enables the users to be immersed to it and guarantees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In particular, terrain visualization contains many virtual objects, so it is time and cost-intensive for object modelling. This paper proposes a 3D terrain visualization method that can be realized in a short time and with low cost by using the Unity 3D development tool. The 3D terrain visualization system requires bathymetric and elevation terrains, and Aids to Navigations (AtoNs) to be realized. It also needs to include 3D visualization objects including bridges, buildings and port facilities for more accurate simulation. Bathymetric and AtoN elements are acquired from ENC, and the elevation element is acquired from SRTM v4.1 digital elevation chart database developed by NASA. Then, the bathymetric and elevation terrains are generated, and the satellite images are superposed by using this terrain information. The longitudinal and latitudinal information of the AtoNs are converted to the 3-axis information to position the AtoN locations. The 3D objects such as bridges, buildings and port facilities are generated and the terrain visualization is completed. The proposed method realizes more realistic 3D terrain visualization of Busan Port.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조선 소조립 로봇용접 공정 작업 계획 및 3-D 시뮬레이션 (Work Planning Using Genetic Algorithm and 3-D Simulation at a Subassembly Line of Shipyard)

  • 강현진;박주용;박현철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18-20
    • /
    • 2004
  •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work plan of robot welding in the subassembly process of shipbuilding and to verify the found solution through 3-D simulation. The optimal work plan was established by evenly distributing the work amount to each stage and finding the shortest work sequence. The shortest work sequence was found by using the genetic algorithm.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practically adopted case and verified through the 3-D simulation.

  • PDF

4D 시스템 기반의 건축시공 시뮬레이션 개발 방향 - 공정 프로세스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4D based Architectural construction Simulation System)

  • 조진;권기범;윤석헌;백준홍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9-12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of Schedule based Architectural Construction Simulation System. In this study (or paper), It analyzes the simulation system concep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 main functions simulation system and the range of functions which are already used currently. Therefore, It could find the limit of the present simulation system, and propose more effective solutions to develop Schedule based Architectural Construction Simulation System.

  • PDF

빛과 그림자 개념 이해를 돕는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3D Simulation Contents for Understanding of Light and Shadow)

  • 이지원;윤하영;김중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703-717
    • /
    • 2014
  • 물리에서 멘탈 시뮬레이션은 개념을 이해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중요한 매커니즘이다. 만약 학생들이 멘탈 시뮬레이션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물리 개념의 이해 또한 어려워진다.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는 학생들에게 공간적 조작의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물리 개념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빛의 직진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개발하여 대학생 20명에게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Hake gain이 0.93으로 수업에 대해 매우 높은 수준의 이해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새로운 맥락에 대해서도 멘탈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상을 잘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의 개념 이해가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 PDF

연구용 원자로 2호기 해체과정 전산모사 (3D Graphic Simulation on the Dismantling Process of the KRR-2)

  • 김성균;정운수;이근우;박진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99-1204
    • /
    • 2003
  • The 3D simulations of the shielding concrete and the Rotary Specimen Rack(RSR) in the Korea Research Reactor-1&2(KRR-1&2) were carried out in present work. Four main dismantling processes, which are the removal of the RSR, reactor core region, beam tube, and thermal column and activated concrete, were selected for the graphic simulation by the consideration of the activation, worker training, work difficulty and so on. On the basis of these, we constructed their 3D CAD models and then drawn and reviewed their dismantling processes. In this study, the 3D simulation results of the shielding concrete and the RSR among main components are also presented and discussed.

  • PDF

3D 가상착의 시스템에 의한 아동후기 비만여아의 슬랙스 원형 설계 (Development of lower bodice pattern for late-elementary obese-schoolgirls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 임지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616-62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lacks patterns for obese-schoolgirls aged 10~12 by using a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criteria for subjects in this study were girls who had a BMI of over $25kg/m^2$. A total of 155 schoolgirls who met these criteria were enroll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a new slacks pattern considerate of obese-schoolgirls was developed. The basic numerical formulae were as follows: Front and back hip girth of H/4-0.5+1 and H/4+0.5+1.5, front waist girth of W/4+1+0.5, back waist girth of W/4+2+0.5, front crotch extension of H/16-0.5, back crotch extension of H/8-0.5, front dart amount of 1, and back dart amount of 2. Second, according to the new slacks pattern appearance evaluation, the new slacks pattern scored more highly than the existing pattern for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the new slacks pattern is appropriate for obese-schoolgirls. Additionally, the new slacks pattern was evaluated allowing for the proper space length of the waist, abdomen and hip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basic data for ensuing studies that may utilize a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ith 2D patterns and for future 3D pattern production program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