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manufacturing

검색결과 1,978건 처리시간 0.036초

거친 가공표면 형상의 고정밀 측정법 개발 (Precision Profile Measurement on Roughly Processed Surfaces)

  • 김병창;이세한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7-52
    • /
    • 2008
  • We present a 3-D profiler specially devised for the profile measurement of rough surfaces that are difficult to be measured with conventional non-contact interferometer. The profiler comprises multiple two-point-diffraction sources made of single-mode optical fibers. Test measurement proves that the proposed profiler is well suited for the warpage inspection of microelectronics components with rough surface, such as unpolished backsides of silicon wafers and plastic molds of integrated-circuit chip package.

  • PDF

장입재 충전 거동의 3차원 시각화 (3D Visualization of Packing Behavior of Charge Material)

  • 이상환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347-35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주조공장의 장입재 충전 거동을 3차원적으로 시각화하고자 하였다. 장입재와 용해로의 실제 조건을 반영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3차원 시각화 시뮬레이션이 제조 현장의 장입재 충전 거동을 사실적으로 잘 구현하는지 확인하였다. 3차원 시각화 시뮬레이션에 의한 현실적인 충전 상태를 이상적인 충전 상태와 비교하였다. 어떤 경우에 두 충전 상태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3차원 시각화 시뮬레이션을 제조 공정에 적용할 경우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주조 분야에서의 여러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3D 프린팅을 이용한 양악 총의치 제작 증례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 using 3D printing: a case report)

  • 이은수;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02-210
    • /
    • 2022
  • 최근 디지털 치의학의 발달로,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한 의치 제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CAD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자인된 의치를 제작하는 방식에는 밀링을 이용한 절삭가공방식과 3D 프린팅과 같은 적층가공방식이 있으며, 적층가공방식은 보다 복잡한 구조를 재현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증례는 뇌경색으로 인해 신체적 장애를 갖게 된 상·하악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제작 기간과 내원 간격을 단축하기 위해 광경화 Stereolithography (SLA) 기반의 3D 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제작 방식의 양악 총의치 수복 증례이다. 최종인상채득을 위해 기존 임시의치를 디지털 방식으로 복제 및 출력하여 개인트레이로 활용하였고, 부가중합형 실리콘 인상재로 채득한 최종인상체에는 수직고경과 중심위, 상악 전치부의 각도 및 길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었다. 또한 임시의치를 장착하고 촬영한 안면 스캔 데이터를 추가로 획득하여 기공 작업 시 교합평면 결정이나 인공치 배열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상체를 3차원 스캔 후 CAD 프로그램을 통해 인공치를 배열하였고, 연마면을 형성하여 의치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시적 의치 및 최종 의치는 FDA 승인을 받은 액체 광경화성 레진을 이용하여 SLA 기반 3D 프린터로 출력하였고, 최종 의치는 적절한 안정과 유지, 지지를 보였으며,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최종 의치의 전달까지 3회의 내원 횟수를 필요로 하였으며, 기공시간의 단축으로 내원 간격을 줄임으로써 환자의 만족도를 증진시켰다.

허용 가능한 LOD의 상하한을 고려한 특징형상 3D CAD 조립체 모델의 단순화 (Simplification of a Feature-based 3D CAD Assembly Model Considering the Allowable Highest and Lowest Limits of the LOD)

  • 유은섭;이현오;권순조;이정렬;문두환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22-34
    • /
    • 2020
  • Three-dimensional (3D) computer-aided design (CAD) models require different levels of detail (LODs) depending on their purpose. Therefore, it is beneficial to automatically simplify 3D CAD assembly models to meet the desired LOD. Feature-based 3D CAD assembly models typically have the lowest and highest feasible limits of LOD during simplification. In order to help users obtain a feasible simplification result, we propose a method to simplify feature-based 3D CAD assembly models by determining the lowest and highest limits of LOD.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using a simplification prototype implemented as a plug-in type module on Siemens NX.

Selective Laser Melting (SLM) 방식 3D Printing으로 제조한 스테인레스 316L 기계적 물성 분석 (Mechanical Properties of 316L manufactured by Selective Laser Melting (SLM) 3D printing)

  • 박순홍;장진영;노용오;배병현;이병호;어두림;조중욱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72-876
    • /
    • 2017
  • 금속 소재부품의 제조 형태가 복잡해지고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함에 따라 금속 3D 프린팅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주 발사체의 엔진 연소 노즐 부품에 적용 가능한 스테인레스 316L계 금속을 3D 프린팅 방식으로 제조하고 이에 대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 상관 연구를 진행하였다. 금속 3D 프린팅 기술은 레이저원을 이용하여 분말을 급속 용융과 응고를 반복됨에 따라 기존의 주조 응고와는 다른 미세 조직 형태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변화함을 관찰하였다. 특히 개재물의 존재에 따라 기계적 특성이 변화하고 공정 조건의 변화에 따라 기공의 형태 및 위치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전왜 특성과 3D 프린팅을 활용한 로드셀 개발 연구 (A Study on Load Cell Development by means of a Nano-Carbon Piezo-resistive Composite and 3D printing)

  • 강인필;정관영;최백규;김성용;오광원;김병탁;백운경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7권4호
    • /
    • pp.97-102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the basic research for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a 3D-printed load cell made of NCPC (nano-carbon piezo-resistive composite). We designed a structure that can resonate at a low frequency range of about 5-6 Hz with ANSYS using sensitivity analysis and a response surface method. The design was verified by fabricating the device with a low-quality commercial 3D printer and ABS filament. We conducted a feasibility test for a commercial sensor using 1000 cyclic load tests at 0.3 Hz in a material testing system. A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3D printer filament based on the NCPC was also developed using the nano-composite process.

Wafer-to-Wafer Integration을 위한 생산수율 챌린지에 대한 연구 (Manufacturing yield challenges for wafer-to-wafer integration)

  • 김사라은경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
    • /
    • 2013
  • 3D integration 기술 특히 W2W integration 기술은 전자산업의 디바이스 scaling 문제를 해결하고 고성능화 소형화 추세에 맞춘 가장 핵심적인 기술 방향이다. 그러나 W2W integration 기술은 현재 가격과 생산수율의 장애를 가지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웨이퍼 매칭, 리던던시, 다이 면적 축소, 배선 층 수 축소와 같은 디자인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W2W integration 기술이 대량생산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웨이퍼 본딩, 실리콘연삭, TSV 배선 공정의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가격을 포함한 생산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자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마이크로 3차원 입체형상부품 제조기술 연구 (A Study on Micro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3-Dimensional Micro Parts)

  • 제태진;최두선;이응숙;황경현;신보성;이종찬
    • 소성∙가공
    • /
    • 제15권9호
    • /
    • pp.673-678
    • /
    • 2006
  • Demands for micro parts have increased with recent advances in IT and machinery industries. However, the present technology loaves much to be desired to effectively produce parts with the volume of $1mm^{3}$ and less by mechanical method in large quantities. This paper provides a method for efficient quantity production of complete micro 3D structure using micro end-milling cutting process. The possibility has proven via manufacturing experiment of a multistage micro complex gear structure of $500{\mu}m$ in length, $500{\mu}m$ in maximum external diameter and a volume of $1mm^{3}$ and less.

기계공학 교과과정에서 3D 프린팅 교육의 설계와 운영 (Design and Operation of 3D Printing Education Curriculum in Mechanical Engineering)

  • 이인환;신정민;조해용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6
    • /
    • 2015
  • Many 3D printing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various industries, and their demands for well-educated engineers are increasing. Moreover, novel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3D printing technologies. In this regard, adequate education and a related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Mechanical Engineering field, which is the basis of the industry, is essential.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the 3D printing curriculum and its assessment in Mechanical Engineering education are proposed. Th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lectures and practice. It consisted of major 3D printing technologies, such as SLA, FDM, SLS, LOM, and Polyjet. Moreover, post-processing, room temperature vulcanizing (RTV), and coloring were also taugh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was assess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reas of improvement were deduced from the survey results.

쾌속조형기법을 이용한 생분해성 스텐트용 메쉬필름의 약물방출거동 효과 (Effect of Drug Eluting Uniformity for Biodegradable Stent by Solid Freeform Fabrication)

  • 정신영;김양은;고영주;신왕수;이준희;김완두;유영은;박수아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93-97
    • /
    • 2014
  • 약물방출 고분자 코팅 스텐트는 수술후 재협착을 획기적으로 줄였지만, 약물방출이 균일한 구조체를 제작하는 것이 어렵고 체내에 구조체를 영구적으로 남겨야 하는 부담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생분해성 고분자로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형가공기술(solid freeform fabrication, SFF)의 하나인 쾌속조형기법(rapid prototyping technique)의 3차원 플로팅(3D plotting) 기술을 이용하여 파크리탁셀(PTX) 약물을 함유한 폴리카프로락톤(PCL) 3차원 구조체를 제작하였고, 생분해성 PCL 고분자로부터 PTX의 방출거동과 스텐트 제작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약물을 포함한 구조체의 표면특성을 SEM으로 확인한 결과 굴곡이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었다. FTIR을 통해서 약물이 성공적으로 구조체에 포함되었음을 확인하였고, NMR과 HPLC를 통해서 PCL 구조체 중의 PCL함량과 PTX의 서서히 방출됨을 확인되었다. 또한 세포실험을 통해 구조체에서 방출된 약물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반복제작된 구조체에서도 균일한 활성의 약물이 방출됨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쾌속조형기법을 이용하여 약물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작하고 분석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