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methylbutanoic acid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초

휘발성 Branched-Chain과 n-Chain Fatty Acids가 육고기의 종을 결정하는 향기 성분으로서의 역할 (Role for Volatile Branched-Chain and Other Fatty Acids in Species-Related Red Meat Flavors)

  • Jeong-Ok Kim;Yeong L. Ha;Robert. C. Lindsay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0-306
    • /
    • 1993
  • 2-Methylbutanoic, 3-methylbutanoic, 4-methylpentanoic, 2-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4-methyloctanoic, 6-methyloctanoic, 4-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및 2-ethylhexanoic acids를 포함하는 다수의 volatile branched-chain fatty acids(VBCFAs)가 쇠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미국산 흰염소고기, 한국산 흑염소고기), 양고기로부터 분리, 동정되었다. 쇠고기 향은 amino acid, carbohydrate, 그리고 lipid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향기성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본 meaty flavor로 결정되어 지는 반면, 염소고기가 양고기의 경우는 쇠고기의 기본향에 4-ethyloctanoic acid와 4-methyloctanoic acid의 독특한 노린내가 더해지므로 염소고기나 양고기 특유의 향을 내었다. 돼지고기는 3-methylbutanoic acid 함량이 다른 세종류에 비해 높고 3-methylbutanoic acid 특유의 꼬린냄새는 돼지고기의 기름층으로부터 나는 unclean flavor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소고기는 C5-C7 chain length의 volatile branched 및 n-chain fatty acids를 적게 함유하고 있는 반면 4-ethyloctanoc acid는 염소고기의 노린내를 내는 결정적인 화합물이었다. 4-Methyloctanoic acid는 양고기의 sweaty-muttony flavor를 내는 중요한 화합물이었으며 염소고기와는 달리 C5, C6, 그리고 C7 branched-chain fatty acids 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한국산 흑염소고기와 미국산 흰염소고기 중에 들어있는 VBCFAs의 종류는 같으나, 한국산 흑염소고기가 미국산 흰염소고기 보다 노린내가 강하며 4-ethyloctanoic 의 함량도 높았다.

  • PDF

재래종연초의 화학특성에 미치는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의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Chemical Properties in Korean Native Tabacco Varieties)

  • 정형진;김길웅;박수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8-295
    • /
    • 1989
  • 우리나라 재래종중 내용성분 면에서 바람직한 향끽미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향초를 대상으로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가 향끽미 물질에 미친 영향을 구명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소화합물의 함량은 재식밀도가 높아지면 감소하였으나 지방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혈당 3주 재배시 2, 3-methylbutanoic 산과 3-methylpentanoic 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solanone, furfural, furfurylalcohol, benzyl alcohol 등과 같은 중성부의 성분들은 대부분 밀식구에서 함량이 증가되었다. 질소의 증비(3∼12kg/10a)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였고, 전당, 전분, 지방산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알카로이드 함량은 2.0%에서 3.3%로 증가하였다. 2, 3-methylbutanoic 산과 3-methylpentanoic 산 함량은 질소의 증비로 감소하였으며 butanol, furfutal, furfuryl alcohol, hexanol, cinnamil, acetophenone, benzyl acetate 및 solanone 등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 PDF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Flower and Seed of Safflower)

  • 최성희;임성임;장은영;조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6-201
    • /
    • 2004
  • 식품재료 및 약리 효과로 인한 약용재료로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꽃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테르펜류인 p-cymene, limonene,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camphor, 4-terpineol, selinene, ${\beta}-caryophyllene$, torreyol, ${\beta}-eudesmol$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phenylacetaldehyde, 2-phenylethylalcohol, 4-terpineol, ${\beta}-caryophyllene$, ${\gamma}-terpinene$, ${\alpha}-phellandrene$ 등 통상의 꽃향기 성분과 알데히드류인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pentanal, hexanal, octanal, nonanal 및 decanal, 알코올류인 2-pentanol 및 heptanol, 케톤류의 3-penten-2-one, 2-heptanone, 2,6,6-trimethyl cyclohexanone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이외 산류인 acetic acid, heptanoic acid, 2-methylbutanoic acid 및 rancid-cheese odor를 띄는 3-methylbutanoic acid(isovaleric acid) 등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홍화꽃에서의 이들 산류의 생성은 다른 꽃류에 비해 종류나 함량이 많았으며, 홍화꽃이 다른 꽃에 비해 좋지 않은 냄새를 내는 특징적인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홍화씨의 경우는 hexanal, (E)-2-heptenal,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등의 알데히드류가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일반성분 중 전체 함량의 약 30%의 지질을 함유하는 홍화씨는, 방향성과 관계된 torreyol, ${\beta}-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달콤한 향과 관계가 있는 3-methylbutanal 및 2-methylbutanal과 함께 산류의 생성도 있었으나, 지방산 산화 분해생성물인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이 전체 휘발성 함량의 약 75%를 차지하였다.

원료된장을 달리하여 제조한 저장쌈장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tored Samjangs with Different Doenjangs)

  • 김혜림;이택수;노봉수;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44
    • /
    • 1999
  • 막장, 재래식 된장, 막장과 재래식의 혼용된장을 주원료로 제조한 저장쌈장의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적정산도는 저장 30일 최대치를 보였고 재래식 된장구의 쌈장에서 높았다. 제조 직후에 비하여 저장쌈장의 총당은 감소, 환원당은 증가 경향을 보여 저장 40일에 총당 $16.52{\sim}19.58%$, 환원당 $11.45{\sim}12.35%$로 당함량이 높은 특색을 보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제조 직후 $45.0{\sim}53.0\;mg%$였으나 40일에 $337.3{\sim}381.1\;mg%$로 현저히 증가하였고 혼용구의 쌈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Glutamic acid는 $202.6{\sim}464.6\;mg/100g$으로 저장쌈장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함량이 높은 glutamic acid, tryptophane, alanine, cystine은 혼용구, 재래식 된장구, 막장구의 쌈장순으로 높았다. 40일 저장 쌈장에서 alcohol류 7종, ester류 4종, aldehyde류 6종, acid류 13종 등 총 42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검출된 향기성분은 ethonol, acetic acid ethylester, 2-phenylethanol등 10종이었다. Ethanol, acetic acid ethyl ester, phenylacetaldehyde, acetic acid, butanoic acid, 3-methylbutanoic acid, 2,4-hexadienioc acid의 면적비율이 높아 쌈장의 주향기성분이었다. 막장구의 쌈장에서는 2-phenylethanol, butandioic acid ethyl ester, butanoic acid, 2-methyl-2-butenoic acid가, 재래식된장구의 쌈장에서 ethanol, acetic acid, 2,4-hexadienioc acid, 혼용구의 쌈장에서는 acetic acid ethyl ester, 3-methylbutanoic acid, methyl pentanoic acid의 면적 비율이 각각 타시험구보다 높았다.

  • PDF

Components in Commercial Douchi-a Chinese Fermented Black Bean Product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Kim, Joo-Shin;Chung, Hau-Y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2-17
    • /
    • 2008
  • Douchi, a popular seasoning agent in Chinese dishes prepared by the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of black beans, was subjected to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for its volatile components. A total of 73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wo commercial brands, which were positively confirmed and quantified. Among the common components in the two brands were 18 acids, 12 alcohols, 11 aldehydes, 9 esters, 1 furan, 11 other oxygen-containing compounds, 4 pyrazines, 2 pyridines and 5 miscellaneous compounds. The most abundant components found were acetic acid, benzoic acid, 2,6-dimethylpyrazine, 2-piperidinone, 3-methylbutanoic acid, maltol, 4-ethylphenol, 2-methylpropanoic acid, butanoic acid, 2-pyrrolidinone, all fatty acids and some esters.

Izmir 잎담배 중 Acids 성분의 분리 및 확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ids in Izmir Tobacco Leaves)

  • 이운철;장기철;김용옥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2-180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parate and identify the acidic compounds in tobacco leaves. Izmir tobacco leaves was extracted with isopropyl ether and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The concentrate was extracted with 6% NaHCO3 aqueous solution. The aqueous extract was acidified with sulfuric acid, and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The acidic material was fractionated on silicic acid column using a benzene-methanol mixture with a stepwise increasing methanol concentration. The resulting fractions were esterified with diazomethane, and then identified by GC, GC/MS using SPB -5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Most of acidic compounds in Izmir tobacco leaves were elected from fraction B which was benzene-methanol(98 : 2) mixture on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The identified acidic compounds of Izmir tobacco leaves were 18 saturated acids, 8 unsaturated acids, 5 dicarboxylic acids, 13 aromatic acids and 7 terpenoid acids. The major acidic compounds of lzmir tobacco leaves were 2- methylbutanoic, 3-methyl butanoic, 3- methylpentanoic, hexanoic, nonanedioic, phenylacetic, benzoic, 4- methoxybenzoic, 3, 5- dimethoxybenzoic, methoxycinnamic and 3, 4- dimethoxycinnamic acid. Key Words : Izmir tobacco, Acidic compounds, GC/MS.

  • PDF

Wewakamide A and Guineamide G, Cyclic Depsipeptides from the Marine Cyanobacteria Lyngbya semiplena and Lyngbya majuscula

  • Han, Bingnan;Gross, Harald;Mcphail, Kerry L.;Goeger, Doug;Maier, Claudia S.;Gerwick, William 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9호
    • /
    • pp.930-936
    • /
    • 2011
  • Two new cyclic depsipeptides wewakamide A (1) and guineamide G (2) have been isolated from the marine cyanobacterium Lyngbya semiplena and Lyngbya majuscula, respectively, collected from Papua New Guinea. The amino and hydroxy acid partial structures of wewakamide A and guineamide G were elucidated through extensive spectroscopic techniques, including HR-FABMS, 1D $^1H$ and $^{13}C$ NMR, as well as 2D COSY, HSQC, HSQC-TOCSY, and HMBC spectra. The sequence of the residues of wewakamide A was determined through a combination of ESI-MS/MS, HMBC, and ROESY. Wewakamide A possesses a ${\beta}$-amino acid, 3-amino-2-methylbutanoic acid (Maba) residue, which has only been previously identified in two natural products, guineamide B (3) and dolastatin D (4). Although both new compounds (1,2) showed potent brine shrimp toxicity, only guineamide G displayed significant cytotoxicity to a mouse neuroblastoma cell line with $LC_{50}$ values of 2.7 ${\mu}M$.

Attraction of the Invasive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by using Bacillus sp. BV-1 Cultures

  • Lim, Da Jung;Lee, Jeong Eun;Lee, Jin Sil;Kim, Iksoo;Kim, In Se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4-109
    • /
    • 2019
  • BACKGROUND: The invasive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as becomes a public concern in rural and urban South Korea. The technolog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 way to counter V. velutina. In an effort to develop a way to counter V. velutina, we found that a bacillus strain, named Bacillus sp. BV-1, produces volatile compounds that attract V. velutina. METHODS AND RESULTS: Field trials of V. velutina attraction were performed using plates and traps containing BV-1 cultures grown on sugar medium. When the sugar medium and sugar-grown BV-1 cultures in the plates were placed close together, V. velutina visited preferably the plates with the BV-1 cultures. Significantly more V. velutina were caught in the traps containing BV-1 cultures than in those containing only sugar medium.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with GC/MS analysis of BV-1 cultures detected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3-methylbutanoic acid, ethyl hexanoate, 2-pheylethanol, ethyl octanoate, and ethyl decanoate as the major volatiles. CONCLUSION: BV-1 cultures were suggested as potential agents for managing V. velutina as they produce volatile compounds that attract the hornet.

이식시기(移植時期)가 향초(香草)(Nicotiana tabacum L.)의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 발현(發現)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ransplanting Times on the Content of Aromatic Substances in Tobacco Cultivar, Hyangcho)

  • 정형진;김길웅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7-12
    • /
    • 1988
  • 우리 나라 재래종중(在來種中) 내용성분(內容成分) 면(面)에서 바람직한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향초(香草)를 대상(對象)으로 이식시기(移植時期)가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에 미친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전(全)알카로이드 함량(含量)은 7월(月) 5일(日) 이식구(移植區)가 4.16%로 가장 높고 5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는 1.37%로 가장 낮았으며, 니코틴 함량(含量)은 전(全)알카로이드 함량(含量)과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전당(全糖) 함량(含量)은 4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가 12%로 가장 높았고 이것보다 이식(移植)이 빠르거나 늦을 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석유(石油)에텔추출물(抽出物)은 4월(月) 5일(日) 이식구(移植區)가 5.77%로 가장 높았고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늦을 수록 감소(減少)하였다. 전당(全糖) 석유(石油)에텔추출물(抽出物) 전질소(全窒素)는 4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빠를 수록 지방산(脂肪酸), malic산(酸)과 citric산(酸)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빠를 수록 2.3-methylbutanoic산(酸), 3-methylpentanoic산(酸)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다.

  • PDF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초임계 유체 추출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Strawberry)

  • 이해창;서혜영;신동빈;박용곤;김윤숙;지중룡;최희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15-621
    • /
    • 2009
  • SFE법을 이용하여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시료의 적정 전처리 및 SFE 작동조건을 검토하였으며, SDE법 및 SE법 등의 추출방법과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을 비교하였다. 딸기 생시료, 동결건조시료, 그리고 생시료에 celite를 30, 70%를 혼합하여 제조한 시료를 이용하여 SFE 처리후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생시료에 celite를 70% 첨가하는 방법이 향기성분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40, $55^{\circ}C$)와 압력(3,000, 6,000 psi)을 달리하여 SFE 처리한 결과, 3000 psi, $55^{\circ}C$ 조건에서 alcohol류와 acid류의 추출효율이 증가하였으며, $\gamma$-dodecalactone의 함량도 3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SDE법, SFE법 및 SE법 등의 추출방법별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SFE법은 SDE법에 비해 추출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는 적지만 추출량이 비슷하면서 열분해 및 열변성이 발생하지 않아 딸기 고유의 향기에 가까운 향기패턴을 나타내었으며, 기호적으로 우수한 acid류가 다량 함유된 향기성분을 추출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