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세 유아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5초

통일대비 남·북한 유아교육제도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Preparation of Unification)

  • 장원주;이화도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53-172
    • /
    • 2016
  • 본 연구는 통일대비 유아교육제도의 방향성 정립을 위해 남 북한 유아교육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에서의 통합을 위한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 북한 유아교육제도의 비교는 유아교육의 의무교육 및 공교육, 유아교육기관 운영, 유아교육에 대한 행정 및 공적지원체계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남 북한 유아교육제도는 서로 다른 양 체제의 사회적인 성격과 이념의 차이로 인해 유사점보다는 여러 영역에서 많은 차이점을 드러냈다. 남 북한 유아교육제도를 비교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 북한 유아교육제도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만 3-5세 유아교육에서의 유아교육-보육 간 통합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다. 둘째, '유아공교육화'와 함께 만 3-5세 유아교육을 기본 학제 속에 포함시키기 위한 논의의 필요성이다. 또한 통일대비 남 북한 상호교류를 통한 협력을 강화하여 이질성을 극복하고, 남 북한 유아교육제도의 장점을 살린 새로운 제도를 구성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만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Relations of Smart Phone Usage Level t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ime Diaries, and Variables Predicting the Usage Level Groups of Four Year Old Children)

  • 천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53-175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만 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이용 정도 집단간 발달특성과 생활시간의 차이, 이용 정도 집단을 예측하는 유아 개인 요인과 가족환경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스마트폰 최초 이용 연령이 표기된 435명과 그 중에서 3세 이하부터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시작한 유아 15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빈도분석, t-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다수 유아의 스마트폰 최초 이용 시기는 만 4세, 이용 정도는 '대체로 이용'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저이용 집단과 고이용 집단을 비교했을 때 여아에서는 위축과 수면문제가, 전체 유아에서는 외현화 문제행동 전체, 수면문제, DSM 방식의 전반적 발달문제가 각각 낮았다. 남아와 전체 유아의 저이용 집단은 수면시간이 길었다. 이용 정도의 예측 변인은 활동성과 사회성 기질로 나타났다. 이로써 유아기 초부터, 유아의 기질을 우선 고려하여 스마트폰 과다 사용 예방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만 5세 유아의 로봇 놀이 경험의 의미연구: 자유놀이와 구조적 집단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Robot Play Experience of 5-Year-Old Children: Focused on free play and structured group activities)

  • 이효주;남기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1-48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5세 유아의 자유놀이시간 로봇 놀이 경험의 의미를 교사의 구조적 집단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5세 유아 경험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총 32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7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주 3회 1시간씩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교실에 놀잇감으로 로봇을 지원하였으며, 유아들은 자유놀이시간에 자유롭게 로봇 탐색과 놀이를 경험하였으며,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로봇의 기능을 알려주고 로봇에 탑재되어 있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연계된 월별 주제에 기반한 구조적 집단활동을 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유놀이에서 로봇 활용이 유아의 창의성에서 독창성, 유창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놀이성에서 즐거움의 표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주도적인 자유놀이를 지향하고 있는 유아교육에서 놀이자료로서 로봇이 의미가 있으며 향후 이러한 자유로운 상황에서의 유아들의 로봇 경험을 연구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Smart Devices Addiction, and Children's Self Regulation on Their Use of Smart Devices)

  • 김민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33-151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3~5세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 166명이었으며, 통계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는 주 1~2회, 10~30분 정도, 주말에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대부분 유아들은 3세 이전에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부모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형제 자매와 주로 함께 이용하였다. 이용 규칙이 있는 경우는 66.3%였고, 자녀의 재미와 흥미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게 하였다. 둘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 과보호 허용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이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온정 격려, 한계설정, 유아의 자기조절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에 있어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를 위한 올바른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전방 충돌에 따른 유아 승객 거동을 위한 3세 유아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Three Years Old Child Model for the Analysis of Child Occupant Response subjects in Frontal Collision)

  • 김영은;김희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27
    • /
    • 1999
  • 최근 들어 많은 관심에 대상이 되고 있는 동차 사고시 어린이 승객의 부상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범용 동력학 패키지인 DADS를 이용하여 3세 어린이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모두 14개의 요소들과 12개의 조인트로 구성 시켰으며 부스터를 장착한 시트에 3점식 벨트를 체결한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썰매를 이용한 전방 충돌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의 더미를 이용한 실험 결과와 일치하는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의 구인강 내 수막구균 보균율과 혈청군 (Carriage Rates and Serogroups of Neisseria meningitides in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s)

  • 김남희;이진아;이정원;이수영;최은화;김경효;김의종;강진한;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1호
    • /
    • pp.31-39
    • /
    • 2009
  • 목 적: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es)은 패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질환의 중요한 원인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수막구균 다당질-단백 결합 백신이 개발되어 영아의 정기 접종에 포함된 국가도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건강한 성인의 보유율에 관한 보고는 있으나 소아에서는 수막구균 보균율에 대한 체계적인 보고가 아직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유소아를 대상으로 수막구균의 구인두 집락율과 혈청군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1-2월과 5월에 서울, 경기지역의 13개 어린이집과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 9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alcium alginated cotton으로 구인두 점막을 세게 문질러 구인두 도말 검체를 채취한 후 즉시 수막구균 선택배지(modified New York City medium)에 접종하고 $CO_2$ 보육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수막구균 동정은 Vitek NHI card를 이용하였으며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crgA 유전자를 검출하여 확인하였다. 확인된 수막구균은 N. meningitides antisera를 이용한 agglutination test로써 혈청형 A, B, C, D, 29E, W135, X, Y, Z에 대한 검사를 하였으며,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org2, siaD 유전자의 다양성에 따라 혈청형 A, B, C, W135, Y 여부를 다시 확인하였다. 결 과: 구인두 도말을 채취한 904명의 소아 중 남아는 468명(52%) 이었고 대상 유소아의 연령 분포는 2세 미만이 59명(6.5%), 2세에서 5세 미만은 486명(53.8%), 5-6세는 338명(37.4%)이었고 7세 이상은 21명(2.3%)이었다. 수막구균은 7명의 구인두 검체에서 검출되어 수막구균 보균율은 0.8%이었다. 남아 3명에서 검출되었고 연령별로는 3세 미만에서는 검출 되지 않았고 3세, 4세, 5세 소아에서 각각 1명씩, 그리고 6세 소아 4명에서 검출되었다. 혈청형은 Y군이 3균주, C군과 A군이 각각 2균주이었다. 2군데 유아원에서 각각 2명씩 분리되었고 3군데 유아원에서 1명씩 분리 되었다. 2명이 분리된 유아원 중 한군데는 모두 혈청형 Y가 분리 되었고 다른 유아원에서는 C군과 Y군이 각각 한 명씩 분리되었다. 결 론: 유아원에 다니는 건강한 소아의 구인강내 수막구균 보유율은 매우 낮았으며, 분리된 수막구균의 혈청군은 A, C, Y군이 고루 분포하였다.

  • PDF

교사-유아관계의 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 Temperament)

  • 안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81-299
    • /
    • 2013
  • 본 연구는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성별 및 기질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교사-유아 간의 성별에 따라 교사-유아 관계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빈도와 교사-유아 관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4세 유아 51명과 이들의 어머니 그리고 담임교사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가 평가하였고, 교사-유아관계의 질은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찰자에 의해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유아주도 상호작용과 교사주도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빈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아교사는 여아들과는 친밀한 관계를, 남아들과는 갈등 관계를 더 많이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에서는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은 유아일수록 교사와 갈등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유아 관계가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갈등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유아에 대해 교사는 상호작용을 더 적게 시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of father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 김형재;구성수;이경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44-18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6곳의 어린이집에 재학 중인 유아들로, 4세 85명(남아 45명, 여아 40명), 5세 140명(남아 69명, 여아 71명), 전체 225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간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유아기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며, 이때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Development by Parent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and Parenting Styles)

  • 김송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01-124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의 바람직한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어린이집에 다니는 3, 4세 유아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남아와 여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7곳의 3, 4세 유아 160명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화여대 부속유치원(1995)의 기본생활습관 질문지와 Schaefer에 기초한 박두미(2004)의 부모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특성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났다. 여아의 경우에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의 기본생활습관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반면, 남아의 경우에는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중요했지만 이는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에 따라 차이가 나서, 부모가 기본생활습관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집단이라도 특히 어머니가 애정적인 양육태도를 사용한 경우에는 바람직한 기본 생활습관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자율적인 양육태도와 관련해서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Belief and Interactions of Teachers and Children)

  • 김현지;나동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1-128
    • /
    • 2006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적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교사교육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5세 유아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는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경력 및 연령과,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연령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영역은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