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h temperature

검색결과 1,893건 처리시간 0.041초

캔 파인애플 쥬스 및 슬라이스의 개봉 후 저장조건에 따른 금속(Pb, Sn and Fe), Vitamin C. 색도 및 pH 변화 (Changes in Metals (Pb, Sn and Fe), Vitamin C Contents, Color and pH of Canned Pineapple Juice and Slice during Open Storage)

  • 이숙경;손종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5-121
    • /
    • 1999
  •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contents of metal (Pb, Sn and Fe), vitamin C, color and pH was studied for canned pineapple juice (PJ) and pineapple slice (PS) which were stored for 120 hours at 5 and 2$0^{\circ}C$ and analyzed at 24 hours interv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tal contents of PJ and PS were in the rank of 24<48<72<96<120 hours by storage time at 5 and 2$0^{\circ}C$. These contents were increased to 44.1%/24 hrs of Ph, 18.0%/24 hrs of Sn, 34.6%/24 hrs of Fe but decreased to 6.0%/24 hrs of vitamin C in PJ and PS during 120 hrs. Storage times were correlation to contents of metal and pH but was not correlation to vitamin C contents. These were increased to 37.7%/24 hrs of Pb, 18.8%/24 hrs of Sn, 34.6%/24 hrs of Fe, but decreased to 6.0%/24 hrs of vitamin C. 2. These were increased to 10.6% of Pb, 3.7% of Sn, 11.3% of Fe in PJ and to 33.7% of Pb, 4.8% of Sn, 37.6% of Fe in PS at 2$0^{\circ}C$ than 5$^{\circ}C$ but vitamin C contents were decreased to 8.2% in PJ and 2.7% in PS at 2$0^{\circ}C$ than 5$^{\circ}C$. This fact suggests that more attention be paid in handling canned PJ and PS after opening in order to avoid the decreasing vitamin C and the hazard from Pb, Sn, Fe. 3. Changing factors in Pb, Sn, Fe and vatiamin C content were in the rank of storage temperature$0^{\circ}C$.

  • PDF

상황버섯의 균사체로부터 다당류의 추출과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 최근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430-435
    • /
    • 2008
  •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얻어지는 다당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투석시간(8, 16, 24, 48 h)을 포함하는 추출조건과 정제조건이 다당류의 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추출온도(50, 65, 80, $95^{\circ}C$)와 건조 균사체의 무게에 대한 물의 부피의 비(10, 15, 20, 25 ml/g), 추출시간(2, 4, 6, 8 h), 에탄올의 최종 농도(70, 75, 80, 85%) 그리고 묵힘시간(1, 4, 8, 16 h)이 증가할수록 다당류의 양은 증가하였다. 투석시간이 24 h까지 증가할수록 다당류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의 투석시간은 다당류의 양을 거의 변화시키지 못했다. 침전용매로는 3가지 용매(에탄올, 메탄올, 아세톤)를 사용하였는데, 다당류의 양은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온도가 $95^{\circ}C$이고, 건조 균사체의 무게에 대한 물의 부피의 비가 25 ml/g이며, 추출시간은 8 h인 조건이었다.

글리시딜아자이드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열적특성에 대한 열처리 조건의 영향 (Effects of Annealing Temperature on Thermal Properties of Glycidyl Azide Polyol-based Energetic Thermoplastic Polyurethane)

  • 김정수;김두기;권정옥;이재명;노시태;김선영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305-313
    • /
    • 2013
  • 본 연구는 glycidyl azide polymer (GAP)계 에너지 함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energetic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ETPE)를 합성한 후 탄성체의 필름 제조 공정의 열처리 조건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GAP계 ETPE는 ATR-FTIR, DSC, 그리고 DM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AP계 ETPE의 물성에 대한 열처리 조건의 영향은 $80{\sim}13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1 h과 24 h의 열처리 시간을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1 h의 열처리 조건에서는 $130^{\circ}C$의 열처리 온도에서 그리고 24 h의 열처리 과정에서는 $105^{\circ}C$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아자이드기의 흡수대인 $2090cm^{-1}$ 피크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methylene chloride와 dimethylformamide 용매에 대한 필름의 용해도 또한 감소하였다. 이것은 $100^{\circ}C$ 이상 열처리 온도조건이 아자이드기의 가교 부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80^{\circ}C$에서 $11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 저장 탄성률 곡선의 고온 고무평탄 영역이 더 높은 온도까지 확장되었으며, 이 또한 가교반응의 결과이다.

저장조건에 따른 복어육의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화합물의 변화 (Change of Free Amino Acid and Nucleotide Compound of Puffer Fish Fillet under Storage Condition)

  • 문승권;성기협;유승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9-255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under storage conditions. Free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taurine > alanine > lysine > leucine > glutamic acid > valine. Glutamic acid, lysine, histidine, arginine, proline, and aspartic acid increased over time and with increased temperature, and valine and tyrosine were affected by temperature. ATP decreased dramatically during 36 h of storage at $4^{\circ}C$, 24 h of storage at $12^{\circ}C$, and 16 h of storage at $20^{\circ}C$. IMP reached its highest level when puffer fish was stored for 36 h at 4 and $12^{\circ}C$ and 24 h at $20^{\circ}C$, and hypoxanthine levels grew steeply at 60 h at $4^{\circ}C$, 24 h at $12^{\circ}C$ and 20 h at $20^{\circ}C$. In terms of K value, the puffer fish was available for sliced raw fish within 60 h at $4^{\circ}C$, 24 h at $12^{\circ}C$ and 12 h at $20^{\circ}C$, and the fish can be taken in after cooking within 72 h at $4^{\circ}C$ and $12^{\circ}C$ and 36 h at $20^{\circ}C$.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showed that puffer fish is available for sliced raw fish within 36 h at $4^{\circ}C$, 16 h at $12^{\circ}C$ and 12 h at $20^{\circ}C$, and that the fish can be taken after cooking within 72 h at $4^{\circ}C$ and $12^{\circ}C$ and 36 h at $20^{\circ}C$.

중국에서 이식된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의 먹이섭취와 체조성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Dietary Feeding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Transplanted from China)

  • 김철원;백재민;한석중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23-329
    • /
    • 2008
  • 비단가리비 치패의 수온(24, 27, 30$^{\circ}C$)과 염분(24, 27, 30%o)에 따른 먹이 섭취 활동(여수율과 소화율)및 체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온과 염분 변화에 의하여 일간 먹이량, 여수율, 소화율 및 체성분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과 염분에 따른 비단가리비의 여수율과 소화율은 수온 24$^{\circ}C$의 30%o실험구에서 각각 8.88 L h$^{-1}$ g$^{-1}$과 25.42$\times$10$^7$ cells h$^{-1}$ g$^{-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circ}C$의 24%o에서 여수율과 소화율이 0.15 L h$^{-1}$ g$^{-1}$와 0.73$\times$10$^7$ cells h$^{-1}$ g$^{-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비단가리비 치패의 체조성 성분은 고수은인 30$^{\circ}C$ 실험구와 저염분인 24%o 실험구에서는 다른 실첨구에 비하여 조단백질이나 조지방 함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여름철 고수온과 저염분이 바지락의 대량 폐사 원인으로 작용하며 안정적인 생산을 방해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잉어, Cyprinus carpio에 미치는 암모니아 급성독성의 조직병리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y of Acute Toxicity of Ammonia o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양한춘;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9-256
    • /
    • 1986
  • 암모니아 농도 10, 20 및 30ppm, pH 6.5, 7.0 및 8.0의 조건하에서 수온 20, 25 및 $30^{\circ}C$로 각각 유지하고 잉어 당년생치어 (평균체중 5.96g)를 24, 48 및 72시간 노출시켜 아가미, 간 및 신장의 조직병리학적인 관찰을 했다. 1. 아가미, 간 및 신장의 조직변화는 pH 및 수온이 높고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되고, 노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조직의 이상비대나 붕괴가 증대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2. 아가미는 수온 $20^{\circ}C$에서 pH 7.0이상의 암모니아 30 ppm 농도구에서 24시간 노출시킨 것에서는 새엽의 표피분리가 생기기 시작했고, pH 7.5 및 8.0에서는 암모니아 30ppm 농도구의 72시간 노출시킨것은 수온에 관계없이 새엽표피의 분리가 심해졌다. 3. 새엽표피의 분리는 새엽의 기저부에서부터 진행되었고 격렬해짐에 따라 새엽의 선단부에 까지 확대되었다. 4. 간은 수온 $20^{\circ}C$에서 pH 8.0, 암모니아농도 30ppm 및 48시간 노출구에서 조직에 공포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간장의 공포는 간조직중에 생긴 수종화의 결과라고 본다 5. 신장은 pH 6.5에서는 세요관상피세포의 붕괴는없었고, pH 8.0에서는 수온 $20^{\circ}C$, 암모니아 30ppm 농도에서 24시간 노출시킨 것에서도 세요관상피세포의 붕괴가 일이기 시작했다.

  • PDF

사후시간 경과가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온도, R-value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H, Temperature, R-values and Calpain Activity of M. longissimus from Hanwoo Steer during Rigor Development)

  • 김진형;김학균;박범영;조수현;황인호;김동훈;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0-315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고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후 대사변화를 구명하고자 사후 1, 3, 9, 24시간별에 따라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도체온도, R-value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측정을 수행하였다. 도체 pH와 온도는 사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사후 3시간에 6.50($31.99^{\circ}C$)을 나타내었다. $R_{248}$$R_{250}$ 값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R_{258}$ 값은 사후 9시간부터 감소하였다(p<0.05). Calpain I 활성은 사후 3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alpastatin 활성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H와 도체온도는 $R_{258}$, calpain I, calpastatin에서 0.95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R_{248}$$R_{250}$에서는 -0.97 이상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후9시간 이후에 대사 변화가 급격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H와 도체온도의 상관도가 높아 잠재적인 연화능력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지만, 사후 3시간부터 9시간 사이의 대사변화에 대하여 좀 더 심도 깊은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과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Reeve, 1846) hemolymph의 생리학적 변화 (Influence of elevated temperature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hemolymph from two species of abalone, Haliotis gigantea and Haliotis discus discus (Reeve, 1846))

  • 민은영;김신후;황인기;김경욱;박보미;이정식;강주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7-1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 과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헤모림프의 생리 및 면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 두 전복을 20, 22, 24, 26 및 $28^{\circ}C$ 수온에 각각 4 일간 노출시켰다. 노출 결과, 헤모림프의 totalo-protein (TP), glucose, calcium (Ca) 은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말전복 (H. gigantea) 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magnesium (Mg), alkaline phosphatase (ALP) 두 전복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O에서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온 증가에 따른 헤모림프의 TP, glucose, Mg, AST, ALT 및 ALP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헤모림프의 Ca 농도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에서 $24^{\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henoloxidase (PO) 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2^{\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 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말전복 (H. gigantea)은 $24^{\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6^{\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보였다.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6^{\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2^{\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Acclimation temperature influences the critical thermal maxima (CTmax) of red-spotted grouper

  • Rahman, Md Mofizur;Lee, Young-Don;Baek, Hea J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235-242
    • /
    • 2021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ritical thermal maxima (CTmax) of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under different acclimation temperatures (Tacc). Fish were acclimated at 24℃, 28℃, and 32℃ water temperature for 2 weeks. Water temperature was increased at a rate of 1℃/h and CTmax level was measured following the critical thermal methodology (Paladino et al., 1980). The results showed that CTmax values of E. akaara were 35.61℃, 36.83℃, and 37.65℃ for fish acclimated at 24℃, 28℃, and 32℃, respectively. The acclimation response ratio (ARR) was 0.26. The CTmax valu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dy size. Collectively, it is said that the CTmax value of red-spotted grouper can be affected by different adaptation temperature (24℃, 28℃, and 32℃) and the fish acclimated to a higher temperature has a higher CTmax level. Besides, the CTmax value of 35.61℃-37.65℃ indicating the upper thermal tolerance limit for E. akaara under different Tacc (24℃, 28℃, and 32℃). Understanding the thermal tolerance of E. akaara is of ecological importance in the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Effect of Antioxidant Preservative on Cold Protection Ability of Low Grade Riverine Buffalo (Bubalus bubalis) Bull Spermatozoa

  • Pankaj, Prabhat Kumar;Raina, V.S.;Roy, B.;Mohanty, T.K.;Mishra,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26-635
    • /
    • 2009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Pentoxifylline (PTX), Theophylline (TPY) and Theobromine (TBR) on cold protection ability of Murrah buffalo semen at room ($22-25^{\circ}C$) and refrigerated temperature ($4-7^{\circ}C$). Each semen sample was divided into six parts of equal volume and sperm concentration; the first was kept as a control and the remaining five were treated with BHA, BHT, PTX, TPY or TBR. Sperm motility, abnormal spermatozoa, live-dead count, hypo-osmotic swelling and acrosomal integrity were studied at room and refrigerated temperature for various incubation periods viz.; 0, 4, 8, 12 and 24 h at room and 0, 12, 24, 36, 48, 60 and 72 h at refrigerated temperatu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perm motility, live-dead count, hypo-osmotic swelling and acrosomal integrity were observed in BHT, PTX and TPY fortified extender at room and refrigerated temperature for various incubation periods. From the present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cold protection ability of buffalo semen can be improved through the addition of BHT followed by PTX and T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