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20년도 1학기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 박새록;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26-83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2020년 1학기에 진행된 실시간 쌍방향 강좌를 수강한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사회적 실재감, 학습 몰입,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 몰입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사회적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 몰입은 자기조절학습과 지각된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학습 몰입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LL curriculu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양재훈;조보람;황인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55-67
    • /
    • 2020
  •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K대학교 재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 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학년별 분석에서는 2학년은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3학년은 모든 변인에, 4학년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참여학생 인터뷰를 통해 참여소감과 개선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의 효과를 살펴보고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2015 개정 과학과 일반선택과목의 수강 현황 및 선택률 제고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the Status of Course Completion and Ways to Raise Selection Rates of General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이일;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7-22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2학년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 현황을 파악하고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착과 고교학점제에서 과학과 선택과목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2018년 고등학교 신입생들이 수강한 과학과 선택과목의 연도별, 학교유형별, 지역별 현황을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9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초점집단으로 구성하여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019년 11월 기준으로 12개 시·도 교육청의 2018년 고등학교 신입생들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자 수는 물리학I 163,710명, 화학I 216,754명, 생명과학I 290,736, 지구과학I 200,861명이며, 학생 1인당 수강 과목의 수는 2.4개로 확인되었다. 학교유형별로는 자율고의 수강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의 비율은 매우 저조하였다. 일반선택과목의 학기당 이수단위는 3단위(61.5%)와 2단위(28.7%)가 대부분이었으며 이수단위별 수강 비율은 교육청 간에 편차가 있었다.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방안으로 한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 3단위 분량으로 선택과목을 재구성, 지식보다는 역량 중심의 내용 구성, 교사의 수업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교사공동체와 교과 중심 연수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ruction with Leveled 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 Attitudes )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393-417
    • /
    • 2023
  • 본 연구의 필요성은 수준별 상호또래교수를 통하여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를 신장시키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또래교수를 위해 단원마다 수준별 수업을 하는데 필요한 학습 방안과 내용의 선정을 모색하고 둘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학습 지도 활용에 필요한 수준별 활동지를 개발하며 셋째,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를 신장시킨다. 연구 대상을 00광역시 00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60명으로 하였다.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성적으로 평균이 매우 유사한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1반을 실험군 다른 1반을 비교군 으로 나누어 2020년 5월 1일부터 7월 4일 까지 13차시 수업을 실시하였고 학습량은 같이 하였다. 실험군(30명)은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하여 수업한 반이고 비교군(30명)은 전통적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하여 수업을 한 반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단원에 따른 학습 내용을 설정하고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으로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둘째,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하여 수업한 실험군은 상위군, 중위군, 하위군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하여 수업한 비교군과 비교하여 보면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하위군 학생들도 수업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 수학학업성취도에 향상을 보였다.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습행동 유형 탐색 (Academic Warning Students' Learning Behavior Type Exploration)

  • 현용찬;홍승희;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19-825
    • /
    • 2020
  • 본 연구는 학사경고 등 학업 저성취 학생의 선제적 지원을 위한 방안으로 심리검사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한 학생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의 이념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대학생 중 2019년 2학기 학사경고자 지원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 43명과 학사경고 경험이 없는 학생 30명 총 73명의 학습성격유형 검사결과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jamovi 1.1.9.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두 부류의 학생은 학습행동유형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사경고 학생은 반항, 완벽, 잡념, 고군, 만족, 외곬, 유형 중 만족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이 좋아하는 것과 학과의 불일치, 주변의 지지 부족, 심리적 갈등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학습기술 뿐만 아니리 심리와 정서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행동유형검사를 통하여 학업 저성취 학생을 예측하여 선제적 대응이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사경고로 인해 발생하는 중도탈락자 예방과 상담프로그램 등 학교에서의 적절한 선제적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students and teacher's discourse structures in mathematization processes)

  • 최상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17-2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20년 이상 실행한 경력 교사의 한 학기 수업 44차시 중에서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서로 다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경우 각각 1차시 수업을 비교분석하였다(근거 이론). 분석 결과,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고려한 교사의 담론 구조는 수학화 과정 경험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수학화를 위한 교실 담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steem, Nursing Professionalism,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y on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 강미란;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53-3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을 2학기 이상 경험한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elation coefficient, Scheffe 사후검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19점이었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r=.22, p=.005), 간호전문직관(r=-.26,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38,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6, p<.001), 간호전문직관(β=-.20, p<.001), 학년(β=.20, p=.002), 간호학 선택 동기(β=-.15, p=.019)이었으며 설명력은 총 35.5%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습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하여 간호전문직관 향상과 함께 스트레스 상황 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 불 것을 제언한다.

미래의 웰니스 삶을 위한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가치 (The Value of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e Future Wellness Life)

  • 박형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1-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웰니스 삶에 기여하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19년 서울 **대학의 교양체육수업에 1학기 동안 참여한 9명에 연구 참여자들의 수업참여 기록물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교양체육수업을 통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기대수명을 설정했고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장애가 되는 질병을 파악했다. 그리고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건강을 위한 행동을 수행했다. 학생들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생활을 성찰했으며,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반성했다. 그리고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과 바람직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셋째, 학생들은 생활운동과 건전한 생활을 실천함으로써,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경험했다. 학생들은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했고, 식생활을 개선하였으며, 건전한 생활습관을 실천했다. 이러한 학생들은 이러한 행동들을 실천함으로써, 미래의 웰니스 삶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결국 학생들은 교양체육수업을 통해서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므로 미래의 건강과 행복 추구에 기여하는 교양체육수업은 웰니스 삶을 위해서 더욱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온라인 영어강좌에 대한 대학생들의 수업만족도 분석연구: 초등예비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Online Courses between Primary & Secondary Teachers' University: Focused on the English-Related Subjects)

  • 이승복;윤택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86-39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과 일반대학 사범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며 집단 간 만족도 항목에 따른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온라인 영어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학기에 온라인 영어 과목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 54명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가 활용되었으며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5개 항목 50문항의 설문이 제작되어 배포되었다. 수업 만족도의 하부요인은 학습 내용/운영, 학습결과,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 수업을 수강한 교육대학 재학생과 일반대학 사범대 재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만족도는 일반대학의 평균값이 교육대학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집단 간 수업만족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 5개 가운데 수업환경, 학습지원, 효과면에 있어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치위생학과 구강영상학실습 수업에서의 VR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VR educational media on oral imaging practice)

  • Choi, Yong-Keum;Lim, Kun-Ok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23-332
    • /
    • 2022
  • 연구목적: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영상학실습 수업에 VR교육 매체를 활용하여 구강영상학실습 수업에서의 VR활용에 대한 가능성과 VR활용을 통한 학생들의 학습흥미도, 학습몰입도, 학습동기 등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확인해 보면서 향후 다양한 치위생 수업에서의 VR활용과 혁신적인 실습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0년 2학년 2학기 동안 구강영상학 및 실습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기재한 설명문과 동의서를 안내하고 이에 동의하고 서명한 수강생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SM-202010-070-2). 연구 참여에 비동의 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을 제외한 39명을 대상으로 최종분석하였다. 정규성 분포를 만족하지 못하고(p>0.05),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교육처치에 대한 상호간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에 상응하는 비모수 분석인 프리드만 검정 분석(Friedman two way ANOVA by ran)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이었다. 연구결과: 구강영상학실습 교육매체 종류에 따라 학습흥미도, 학습몰입도, 학습동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학습흥미도에서는 VR장비 1차사용에서, 학습몰입도와 학습동기에서는 X-ray 장비사용 후에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결론: VR 교육매체의 활용은 구강영상학실습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의 수업의 흥미도, 몰입도, 학습동기 등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판단되며, 비대면 실습수업, 대면 실습수업에서 전통적인 X-ray장비와 더불어 VR 교육매체를 함께 활용한다면 구강영상학실습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