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19초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발문유형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Type on the Grade 3 and 4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 김주아;김용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 안지영;전영주;윤마병;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37-46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에서 각각의 내용 영역명과 해당 영역의 학년 분포 및 내용 체계, 내용 규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반으로 첫째, CCSSM 내용 영역명에 따른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을 분류하여 학년군별로 취합하였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초등 수학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PDF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Alignment betwee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 - Examining Learning Objectives in 2009 Grade 3~4 Science Curriculum -)

  • 나지연;윤혜경;김미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183-193
    • /
    • 2015
  • Teacher guidebooks are practical and commonly used resources for teachers to deliver the goals an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in classroom teaching. Thus, the alignment of teacher guidebooks and science curriculum could be critical to undertake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implication in science classroom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ing objectives of science curriculum are implicated in teacher guidebooks by analyz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in learning objectives in both documents. Grade 3~4 learning objectives (82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459 in the teacher guidebook, 541 in total) in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s were cod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focused on how the knowledge dimensions and cognitive processes of the curriculum were emphasized and restructured in the teacher guidebooks to examine the coalition between the two important documents. The study found: 1) the learning objectives in Grade 3~4 in both documents were skewed to certain knowledge dimension (conceptual)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2) there was a high coalition betwee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however, relatively low coali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acher guidebooks; and 3)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were delivered in teacher guidebooks in various patterns (similar, detailed, additional, in portion, and the same), and 'detailed' and 'additional' were frequently shown. There also appeared new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which were not present in the curriculum.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current project of developing 2015 Science Curriculum in regard to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heir alignments with textbooks and teacher guidebooks.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무게중심 교수.학습 제안 (Centroid teaching-learning suggestion for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하영화;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81-691
    • /
    • 2011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학교 수학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더불어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길러주고, 주변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야 한다고 제시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삼각형의 세 중선의 교점'으로 정의되고, 평행선의 성질과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증명에 초점을 두어 지도되었다. 이는 무게중심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지도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오개념 역시 심어줄 수 있는 문제점이 노출됨에 따라 본고에서는 무게중심을 '평형을 이루는 점'이라고 하는 본질에 맞게 지도하고 이에 대한 정당화 방법 역시 달리 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Bioinformatics and Biotechnology Cont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 to Revising Curricula)

  • 주희영;동효관;이길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186-19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최신의 생물학 흐름인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에 관련한 교과서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공학에 관한 내용은 있었으나 생물정보학에 관한 내용은 없었던 것에 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학 I과 고급생명과학에서 이에 관한 내용이 등장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생물I, 생물II, 생명과학I에서는 아직도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제시가 많이 부족하였으며,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고급생물에서도 전체 내용에 비해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 제시가 부족하였다.

  • PDF

저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초등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탐색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Network of Author Keywords)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13-12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Thus, author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a total of 197 academic these related to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during two different periods when detailed goals were applied to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s respectively,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network of author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author keywords from academic theses related to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discovered 369 author keywords from the period when detailed goals were applied to 2009 revised curriculum. Out of them, it was found that the keyword, 'climate change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except such central keywords a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the period when detailed goals were appli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 total of 394 author keywords were discovered, and the keyword, 'environmental literac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of author keywords, this study found out that in the total number of network connections, average connection degree, density and clique, the period when detailed goals were appli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somewhat higher than the period when detailed goals were applie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entrality of author keywords, this study found out that during both the periods,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literacy' were high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except such central keywords a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author keywords as sub-networks, this study discovered 9 components from the period when detailed goals were applie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6 components from the period when detailed goals were appli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During both the periods, the largest component was composed of keywords high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 검토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53-17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rough focus group's investigations o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s. First, We survey previous studies on the teacher's guide books to make the frame of investigation. Next, We compose focus group(8 teachers) for 3~4th grades, and analyze the teacher's guide books according to ready-made frame: compliance of curriculum, accuracy and fairness of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As results of investigation, system of organization of the teacher's guide books is needed. Go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have to be consistent in describing mathematical terms. And error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are examined more carefully. The teacher's guide books afford teachers many materials and informations to teach mathematics through classroom lessons. So more study on the teacher's guide books and developmental study for the model guidebooks is needed along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초·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제7차 교육과정 이후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Verbs in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Focused on the 7th, 2007, and 2009 Revision)

  • 조광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39-25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과 내용 진술에 사용된 서술어를 분석하고 교육과정에 따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취기준 및 탐구 활동 진술에 사용된 문장의 마지막 서술어 1383개를 대상으로 종류 및 빈도 등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평균적으로 '안다'(15.0 %)가, 중학교에서는 '이해한다'(24.2 %)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교육과정별로 살펴보면,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해한다'의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초등학교에서 관찰, 조사와 같은 탐구 활동을 뜻하는 동사가 상대적으로 자주 등장하였다.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초 중학교를 합쳐 '설명한다'가 최빈 동사로 나타났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안다'와 '이해한다'가 각각 1, 2 순위를 차지하였다. 세 교육과정을 비교하면, '이해한다'와 '관찰한다'는 비교적 고르게 사용된 반면에 '안다'는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들이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Analysis o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Comparison between Mathematical Processe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Mathematical Practices in CCSSM)

  • 임미인;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새로운 2015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확대 적용이 예상되는 수학적 과정이 수학 교과서에 구현된 정도를 확인하고 그 내용에 있어서 보완이 요구되는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미국의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를 통해 공통 요소와 차이나는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 학교수학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수학적 과정 요소를 탐색하고, 현행 초등학교 4학년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과정에 있으나 구현되지 않은 수학적 실천 요소 또는 수학적 과정이 아니지만 구현된 수학적 실천 요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개발시 수학적 과정의 보완 및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2007년 개정 초등 5, 6학년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탐구 활동 분석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Matter Units from the Elementary 5th and 6th Grad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김지은;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matter' units from each science textbook for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developed by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Practical Activity Analysis Inventory proposed by Millar(2009) to examin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hands-on contents(what students have to do with objects and materials), minds-on contents(what students have to 'do' with ideas), and logical structure each activity h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learning objectives of the inquiry activities seems to be suitable for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properly reflected in hands-on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Third, minds-on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are well developed to meet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whole. Fourth, the logical structures of inquiry activities are mostly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textbook for the fifth graders, however, all the activities are focusing too much on using students' current ideas to generate a prediction and collecting data to explore or test i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has concluded that learning objectives, minds-on contents and logical structures of inquiry activities need to be designed carefully for students to be exposed to various activities when developing following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