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원영역

Search Result 1,681, Processing Time 0.085 seconds

2차원 및 3차원 액체 램제트 엔진의 내부 유동 해석

  • 손창현;오대환;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11-11
    • /
    • 1998
  • 최적의 액체 램제트 연소기 설계를 위하여 흡입공기와 분무, 혼합 그리고 이에 따른 연소의 일련의 과정이 일어나는 램제트 연소기의 유동해석을 2차원 및 3차원으로 수행하였다. 격자구성은 연소기에 공기를 공급하고 연료를 분무하는 공기 유입관 영역과 연소실 및 노즐 영역, 그리고 출구 대기 영역으로 나누어 독자적으로 격자를 생성시켰다. 연소실 내의 유동 특성에 있어서 2차원과 3차원의 유동해석 결과는 선회영역 유동특성이 크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액체 램제트 연소기의 설계를 위해서는 3차원 유동해석과 실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 PDF

Real-time Expression Control of Vision Based 3 Dimensional Face Model (비전 기반 3차원 얼굴 모델의 실시간 표정 제어)

  • 김정기;민경필;전준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48-750
    • /
    • 2004
  • 본 논문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2차원 얼굴 영상에서 얼굴의 특징 영역들을 추출하여 3차원 얼굴 모델의 표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2차원 얼굴 영상에서 얼굴을 추출하기 위해 Hue, Saturation 색상 값을 사용하며, 두 가지 색상 값을 이용하여 피부색과 배경색을 분리함으로써 얼굴 영역을 추출 할 수 있다. 추출 된 얼굴에서 특징 영역인 눈 코, 입술 영역 등의 일지를 각각의 영역에 적합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뒤, 프레임 별로 영역들의 움직임을 비교함으로써 영역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이 정보를 3차원 얼굴 모델에 적용하여 2차원 동영상에서 획득된 대상의 얼굴의 표정을 3차원 얼굴 모델에 실시간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2D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Using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영역분할법을 이용한 2차원 유한차분 시간영역법 해석)

  • Hong, Ic-Py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5
    • /
    • pp.1049-1054
    • /
    • 2013
  • In this paper, two-dimensional(2-D)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FDTD) method using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is proposed. We calculated the electromagnetic scattering field of a two dimensional rectangular Perfect Electric Conductor(PEC) structure using the 2-D FDTD method with Schur complement method as a domain decomposition method. Four domain decomposition and eight domain decomposition a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the proposed structure. To validate the simulation results, the general 2-D FDTD algorithm for the total domain are applied to the same structure and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2-D FDTD using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Comparative Evaluation of Behavior Analysis of Rectangular Jet and Two-dimensional Jet (사각형제트와 2차원제트의 거동해석의 비교 평가)

  • Kwon, Seok Jae;Cho, Hong Yeon;Seo, Il 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6B
    • /
    • pp.641-649
    • /
    • 2006
  • The behavior of a three-dimensional pure rectangular water jet with aspect ratio of 10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n velocity field obtained by PIV. The saddle back distribution was observed in the lateral distribution along the major axis. The theoretical centerline velocity equation derived from the point source concept using the spreading rate for the axisymmetric jet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centerline velocity and gave the division of the potential core region, two-dimensional region, and axisymmetric region. The range of the two-dimensional region divided by the criterion of the theoretical centerline velocity decay for the aspect ratio of 10 was observ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ition region. The applicability of the two-dimensional model to the behavior of the rectangular jet with low aspect ratio or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multiport diffuser in the deep water of real ocean may result in significant error in the transition and axisymmetric regions after the two-dimensional region. In the two-dimensional region, the Gaussian constant tended to be conserved, and the spreading rate slightly decreased at the end of the two-dimensional region. The normalized turbulent intensity along the centerline of the jet initially abruptly increased and showed relatively higher intensity for higher Reynolds number.

Learning-Based Superresolution for 4D Light Field Images (4 차원 Light Field 영상에서의 학습 기반 초해상도 알고리즘)

  • Lee, Seung-Jae;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97-498
    • /
    • 2015
  • 영상을 취득한 후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으로 확장이 가능한 4 차원 light field 영상은 일반적인 2 차원 공간 (spatial) 영역과 추가적인 2 차원 각 (angular)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4 차원 light field 영상을 2 차원 CMOS 센서로 취득하므로 이에 따른 해상도 제약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4 차원 light field 영상이 가지는 해상도 제약 조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4 차원 light field 영상에 적합한 학습 기반 (learning-based) 초해상도 (superresolu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공간영역 해상도 그리고 각영역의 해상도를 각각 2 배 향상시킨다. 실험에 사용되는 영상은 상용 light field 카메라인 Lytro 에서 취득하며, 기존의 선형 보간 기법인 bicubic 기법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the Window Function for the Design of 2-Dimensional FIR Filter with Variable characteristics (가변특성을 갖는 2차원 FIR 필터의 설계를 위한 창함수에 관한 연구)

  • Lee, Min-Ho;Park, Chong-Y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6.07b
    • /
    • pp.1320-1322
    • /
    • 1996
  • 기존의 창함수를 이용한 1차원 FIR 필터의 설계는 설계방법이 단순해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통과영역과 천이영역을 가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영역을 가변할 수 있는 창함수를 사용하여 1차원 임펄스 응답을 구한 후 McCllenan 변환 방법을 이용하여 2차원 FIR 필터를 실현하여 특성을 비교하여 2차원 FIR 필터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 PDF

Skin Region Extraction Combining 3D Depth and Color Features (3차원 거리와 색상 특징을 결합한 피부영역 추출)

  • Jang, Seok-Woo;Park, Young-Jae;Kim, Gye-Young;Lee, Su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01-20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입력되는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3차원의 깊이 특징과 색상 특징을 결합하여 피부색상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우선 스테레오 정합 기법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으로부터 3차원의 깊이 특징을 추출한다. 그런 다음, 유사한 깊이 특징을 가지는 영역을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영역 중에서 피부색상을 나타내는 영역을 실제 피부영역이라고 판단한다. 실험에서는 2차원 위주의 기존의 피부영역 추출 방법과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정확도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3차원의 깊이 정보와 색상 정보를 효과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배경 영역에서 부정확하게 검출되는 피부영역 추출 오류를 상당수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 PDF

3D Region Growing Algorithm based on Eigenvalue of Hessian matrix for Extraction of blood vessels (혈관추출을 위한 Hessian 행렬 고유치 기반 3 차원 영역확장 알고리즘)

  • Lee, Yu-Bu;Choi, Yoo-Joo;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41-1644
    • /
    • 2004
  • 3차원 볼륨데이터에서 분할 대상영역의 밝기 값이 다양하면서 밝기 값이 유사한 영역과 인접한 경우 3차원 영역확장(region growing) 방법을 사용하여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서는 영역확장의 중요한 요인인 동질성 기준 값의 적절한 선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역 복셀(voxel)의 1차 미분 값의 크기인 기울기 크기(gradient magnitude)만으로 영역의 경계를 찾기가 쉽지않은 대상의 분할을 위해 볼륨데이터의 지역적인 밝기 값의 변화의 특징을 고려하면서 분할 대상영역의 복셀의 2차 미분(second partial derivation)을 행렬의 요소(element)로 갖는 Hessian 행렬의 고유치(eigenvalue)를 영역확장의 문턱치 결정에 이용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3차원 영역확장의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적절한 문턱치의 선택으로 대상영역의 분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3차원 영역확장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 PDF

Slice-based 3 Dimensional Region Growing (슬라이스 기반의 3차원 영역 확장법)

  • 구교범;김동성;김종효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643-646
    • /
    • 2000
  • 의료 영상에서 관심 있는 부위를 3차원으로 재구성 하여 보는 것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3차원 재구성을 위해서는 관심 있는 영역의 분할이 필수적인 선행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적 정보를 이용한 영상 분할 방법으로 슬라이스 기반의 3차원 영역 확장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영역 성장법에 의해 영역을 확장시키고, 그 이웃한 슬라이스들에 씨앗을 전달하여 재귀적으로 3차원 영역을 확장하여 영상을 분할한다. 이때, 이웃한 슬라이스 간의 영역의 크기를 이용하여 새나감을 방지한다. 제안된 방법을 튜브 형태의 기관의 분할에 적용한 결과, 새나감 없이 뽀족한 가지들까지도 성공적으로 분할 했으며, 튜브의 중심 축이 고차원 곡선인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분할했다.

  • PDF

Visualizing a Multi-Dimensional Data Set in a Lower Dimensional Space (저차원 영역에서 고차원 데이터 집합의 표현 방법)

  • Dong-Hun Seo;Kolesnikova Anastasiya;Won D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40-4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영역의 데이터 집합을 저차원 영역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특별히 고차원 영역을 2 차원 영역으로 실험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사람이 데이터 객체 사이의 거리나 관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데이터 객체 사이의 거리나 관계를 계산하기 위하여 Kullback-Leibler divergence 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확률 분포를 갖는 벡터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사용한다. Kullback-Leibler divergence 를 사용하여 계산된 거리 값들은 저차원 영역에서 객체들의 좌표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좌표계산을 위해서 Simulated Annealing 란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다차원 데이터를 2 차원 영역으로 표현한 것이 충분히 직관적임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