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6-Dimethoxy-1,4-benzoquinon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Quantitative HPLC Analysis and Extraction of 2,6-dimethoxy-1,4-benzoquinone from Ficus foveolata Stems

  • Meerungrueang, Wirod;Panichayupakaranant, Pharkphoo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192-195
    • /
    • 2015
  • An antibacterial benzoquinone, 2,6-dimethoxy-1,4-benzoquinone, isolated from Ficus foveolata stems was used as a standard marker for establishment of quantitative HPLC analysis for the stem extracts of F. foveolata. The method utilized a TSK-gel ODS-80Ts column (5 μm, 4.6 × 250 mm) with the mixture of methanol and 5% acetic acid in water (24:76, v/v) as the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1 mL/min, and quantitative detection at 289 nm. The parameters i.e. linearity,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 accuracy,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the method were evaluated for method validation. The recoveries of the method were 99.5 - 103.6% and good linearity (R2 ≥ 0.9999) was obtained. A high degree of specificity, sensitivity as well as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RSD less than 2 and 5%, respectively) were also achieved. Chloroform was served as the most suitable solvent for extraction of 2,6-dimethoxy-1,4-benzoquinone. The optimised sample preparation and HPLC method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routine quality control process of F. foveolata stem extracts.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Artemisia stolonofera

  • Kwon, Hak-Cheol;Choi, Sang-Un;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12-315
    • /
    • 2001
  •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CH_{2}Cl_{2}$ extract of Artemisia stolonofera (Asteraceae) led to the isolation of a triterpene (I), a sesquiterpene (II), two aromatic compounds (III and IV) and a benzoquinone (V).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spectroscopic means to be simiarenol (I), (1S,7S)-1 $\beta$-hydroxygermacra-4(15),5, 10(14)-triene (II), 3'-methoxy-4'-hydroxy-trans-cinnamaldehyde (III), vanillin(IV) and 2,6-dimethoxy-1,4-benzoquinone (V), respectively. Among these products, compound V showed significant cytotoxicity against five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A549 (non small cell lung adenocarcinoma), SK-OV-3 (ovarian), SK-MEL-2 (skin melanoma), XF498 (CNS) and HCT15 (colon) with ED_{50}$ values ranging from 1.33~4.22${\mu}g/ml$.

  • PDF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밀배아로부터 2-Methoxy-1,4-benzoquinone (2-MBQ) 및 2,6-Dimethoxy-1,4-benzoquinone(2,6-DMBQ)의 생산 (Production of 2-Methoxy-1,4-benzoquinone (2-MBQ) and 2,6-Dimethoxy-1,4-benzoquinone (2,6-DMBQ) from Wheat Germ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유종길;김명동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292-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세포외 $\beta$-glucosidase를 생산하는 효모 37개 균주와 Lactobacillus 젖산균 5개 균주 중에서 세포외 $\beta$-glucosidase 효소활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zeae와 Pichia pijperi을 선발하였고, 2-MBQ와 2,6-DMBQ 생산을 위한 밀배아 발효의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P. pijperi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 2-MBQ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2,6-DMBQ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 $0.02{\pm}0.01$ mg/g 및 $0.02{\pm}0.001$ mg/g의 농도로 생성되었고 Lb. zeae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에는 발효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2-MBQ는 $0.21{\pm}0.02$ mg/g에서 $0.28{\pm}0.06$ mg/g으로 증가하였고 2,6-DMBQ 생성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효모와 젖산균을 동시에 사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했을 때에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이 경과한 후 2,6-DMBQ의 생성량은 효모 및 젖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MBQ의 농도는 0.39${\pm}$0.06 mg/g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48시간이 경과하면 더욱 증가하여 0.46${\pm}$0.07 mg/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젖산균인 Lb. zeae 균주가 효모인 P. pjperi보다 상대적으로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 균주를 동시에 사용하면 각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timicrobial Activities of 1,4-Benzoquinones and Wheat Germ Extract

  • Kim, Myung-Hee;Jo, Sung-Hoon;Ha, Kyoung-Soo;Song, Ji-Hye;Jang, Hae-Dong;Kwon, Young-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8호
    • /
    • pp.1204-1209
    • /
    • 2010
  • We evalu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lected edible Korean plant seeds against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KCTC1927, Escherichia coli KCTC2593, Salmonella typhimurium KCTC2054, and Bacillus cereus KCTC1014. While screening for antibacterial agents, we discovered that wheat germ extract contains 2,6-dimethoxy-1,4-benzoquinone (DMBQ) and is highly inhibitory to S. aureus and B. cere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wheat germ extract. We also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1,4-benzoquinone standards 1,4-benzoquinone (BQ), hydroquinone (HQ), methoxybenzoquinone (MBQ), and 2,6-dimethoxy-1,4-benzoquinone (DMBQ). DMBQ and BQ were the most highly inhibitory to S. aureus and S. typhimurium, followed by MBQ and HQ. MICs for DMBQ and BQ ranged between 8 and 64 ${\mu}g/ml$ against the four foodborne pathogens tested. DMBQ and BQ showed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the most sensitive organism was S. aureus with an MIC of 8 ${\mu}g/ml$. BQ exhibited good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32 ${\mu}g/ml$) and B. cereus (32 ${\mu}g/ml$). The results suggest that wheat germ extract has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antimicrobials and food preservatives for controlling foodborne pathogens.

효소처리에 따른 밀 배아 추출물의 2,6-dimethoxy-1,4-benzoquinone과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 함량 변화 (Changes in 2,6-dimethoxy-1,4-benzoquinone and Water Extractable Arabinoxylan Content of Wheat Germ Extract by Enzyme Treatment)

  • 이재강;이정훈;최용현;최용석;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1호
    • /
    • pp.22-29
    • /
    • 2019
  • 본 연구는 밀 배아의 기능성 물질인 2,6-DMBQ와 아라비노자일란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업용 효소인 Celluclast 1.5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시 온도는 30, 45, 60℃였고, 추출 시간은 0, 6, 12, 18, 24, 30시간 추출 후 상등액 pH 변화와 건조물을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pH는 WEWG와 ETWG 모두 추출 온도 30℃에서는 18시간 추출 시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45℃는 12시간부터 감소하였고, 60℃는 다른 추출 온도와 비교하여 큰 변화는 없었다. 2,6-DMBQ는 WEWG와 ETWG 모두 추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추출 온도 30℃에서 가장 높은 함량으로 추출되었으며, 30시간 추출할 때 2,6-DMBQ 함량은 ETWG에서 WEWG 보다 추출 온도 30℃에서 27.60%, 45℃에서 65.03%, 60℃에서 151.05% 증가하였다.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은 WEWG와 비교하여 ETWG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효소 처리 후 60℃에서 15.23±0.0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30시간 추출 시 ETWG와 WEWG에서의 수용성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을 비교했을 때 30℃에서 7.92%, 45℃에서 31.20%, 60℃에서 54.38%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에 항염 활성을 보유하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es of Wogonin

  • Jinhyun-Jeong;Kim, Dongmy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80-80
    • /
    • 2001
  • The roo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have been used in the chinese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fever and headache. Recent studies had shown that baicalin and baicalein showed a detoxifying effect and could inhibit peripheral capillary permeability, and Wogonin was foun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Wogonin has been synthesized as shown in schem. Compound 2 was prepared from 2,6-dimethoxy-1,4-benzoquinone(1) followed by acylation to give compound 3. The base treatment of 3 gave cyclized product which was carried by deprotection of methyl group chemoselectively. Overall step included relatively simple ten steps.

  • PDF

효소 처리 밀 배아 추출물의 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llulase-treated wheat germ extract)

  • 이재강;장다빈;강동우;이정훈;금혜임;최용현;강희;최용석;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97-102
    • /
    • 2019
  • 밀 배아를 셀룰레이즈 활성이 있는 Celluclast 1.5L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간 및 온도의 반응에서 생성되는 유기산(주석산, 젖산, 초산, 호박산)과 유리당(포도당, 설탕, 과당)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젖산, 초산, 호박산, 주석산으로 pH 4.5로 조정한 유기산 용액에서 Celluclast 1.5L과 밀 배아를 반응시켜 2,6-DMBQ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밀 배아에 대한 효소 반응 시간 및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석산, 젖산, 초산, 호박산과 이들의 총유기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밀 배아 효소 반응 추출액의 설탕 농도는 효소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에, 과당과 포도당의 농도는 효소 반응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유기산을 첨가한 Celluclast 1.5L 효소 추출 용액으로 반응시킨 밀 배아는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2,6-DMBQ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대조군 대비 향상된 수치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효소 처리 밀 배아 추출물을 활용한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효능 평가와 더불어 효소 처리 밀 배아 추출물의 식품 소재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ioactive Phenolic Constituents from the Culm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 Kim, Hyun-Jung;Kang, Min-Ah;Kim, So-Hyun;Yim, Soon-Ho;Lee, Ik-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67-272
    • /
    • 2011
  • In our search for bioactive phenolics from plants, the culm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has been selected for investigation of anti-cariogenic and 1,1-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gents based on the initial screening results. Fractionation process of n-hexane and $CHCl_3$ extracts afforded four phenolic constituents, ferulic acid (1), vanillin (2), coniferaldehyde (3), and coniferyl alcohol (4) as guided by thei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dditionally,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EtOAc extract with anti-cariogenic activity has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coniferaldehyde (3), 2,6-dimethoxy-p-benzoquinone (5), p-methoxycinnamic acid (6), (${\pm}$)-balanophonin (7), and 6-methoxychromanone (8). The structures of 1 - 8 were determined by spectroscopic data interpretation, and also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Phenolic compounds 1 - 4 exhibited simila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synthetic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compounds 3 and 5 - 8 showed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ariogenic oral streptococci, Streptococcus mutans and S. sobrinus.

국내산 보리와 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elected Barley and Wheat Inhabited in Korean Peninsula)

  • 조성훈;조차영;하경수;최은지;강유리;권영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03-100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4가지의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 그리고 지표성분인 DMBQ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4가지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겉보리(UB), 통보리(PB), 쌀보리(NB) 순으로 도정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밀(WG)은 겉보리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피어슨 상관계수로 비교 분석한 결과, 0.9934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4가지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NB, PB, UB 추출물은 $15.69{\pm}0.20$, $16.87{\pm}0.05$, $17.91{\pm}0.10mm$ 순으로 S. aureus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겉보리(UB)는 배아와 겨, 통보리(PB)는 배아, 쌀보리(NB)는 배유만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인데, 도정이 진행됨에 따라 DMBQ가 함유되어 있는 배아와 겨 부분이 제거되어 항균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으로 분석한 통밀(WG) 추출물은 $22.37{\pm}0.04mm$로 보리 추출물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DMBQ의 양을 분석하였을 때 WG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배아와 겨 부분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DMBQ의 양에 따라 맥류의 항균, 항산화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공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해 용도에 따라 가공공정을 조절하여 새로운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을 알 수 있었다. 맥류 추출물은 항산화력과 항균력 두 가지를 모두 갖춘 천연물 유래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