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2':6'

검색결과 160,417건 처리시간 0.134초

Ca2+ Sensitivity of Anoctamin 6/TMEM16F Is Regulated by the Putative Ca2+-Binding Reservoir at the N-Terminal Domain

  • Roh, Jae Won;Hwang, Ga Eun;Kim, Woo Kyung;Nam, Joo Hy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2호
    • /
    • pp.88-100
    • /
    • 2021
  • Anoctamin 6/TMEM16F (ANO6) is a dual-function protein with Ca2+-activated ion channel and Ca2+-activated phospholipid scramblase activities, requiring a high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e.g., half-maximal effective Ca2+ concentration [EC50] of [Ca2+]i > 10 μM), and strong and sustained depolarization above 0 mV. Structural comparison with Anoctamin 1/TMEM16A (ANO1), a canonical Ca2+-activated chloride channel exhibiting higher Ca2+ sensitivity (EC50 of 1 μM) than ANO6, suggested that a homologous Ca2+-transferring site in the N-terminal domain (Nt)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differential Ca2+ sensitivity and kinetics of activation between ANO6 and ANO1.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putative Ca2+-transferring reservoir in the Nt (Nt-CaRes), we constructed an ANO6-1-6 chimera in which Nt-CaRes was replaced with the corresponding domain of ANO1. ANO6-1-6 showed higher sensitivity to Ca2+ than ANO6. However, neither the speed of activation nor the voltage-dependence differed between ANO6 and ANO6-1-6.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revealed a reduced Ca2+ interaction with Nt-CaRes in ANO6 than ANO6-1-6. Moreover, mutations on potentially Ca2+-interacting acidic amino acids in ANO6 Nt-CaRes resulted in reduced Ca2+ sensitivity, implying direct interactions of Ca2+ with these residue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utiously suggest that the net charge of Nt-CaRes is responsible for the difference in Ca2+ sensitivity between ANO1 and ANO6.

Stereoselective Reactions of 2,3-Diaminobutane with Platinum(Ⅱ). Complexes of Optically Active 6,6$^\prime$-Dimethyl-2,2$^\prime$-diaminobiphenyl

  • Jun, Moo-Jin;Choi, Sung-Rac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6권2호
    • /
    • pp.119-120
    • /
    • 1985
  • Stereospecific coordination of racemic 2,3-diaminobutane has been observed in the reaction with platinum(Ⅱ) complexes of optically active 6,6'-dimethyl-2,2'-diaminobiphenyl. The reaction between [Pt (R-dmdabp) Cl$_{2}$] (R-dmdabp is R-6,6'-dimethyl-2,2'-diaminobiphenyl) and unresolved bn (bn is 2,3-diaminobutane) has yielded [Pt(R-dmdabp)-(R-bn)] Cl$_{2}$ only, while the reaction of [Pt(S-dmdabp)Cl$_{2}$] with unresolvd bn has yielded [Pt(S-dmdabp) (S-bn)]Cl$_{2}$ only.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 [Pt(R-dmdabp) (R-bn)] Cl$_{2}$ complex has been independently prepared from the reaction of [Pt(R-dmdabp)Cl$_{2}$] with R-bn, and the standard [Pt(S-dmdabp) (S-bn)] Cl$_{2}$ from the reaction of [Pt(S-dmdabp)Cl$_{2}$] with S-bn. The stereospecific behavior of the racemic 2,3-diamino-butane is thus confirmed from the comparison of these Pt(Ⅱ) complexes prepared using racemic bn with the standard Pt(Ⅱ) complexes prepared using R-bn or S-bn.

방향족아민과 요오드 또는 일염화요오드 사이의 錯物에 관한 연구 (The Complexes of Aromatic Amines with Iodine or Iodine Monochloride in Carbon Tetrachloride)

  • 최상업;이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0-104
    • /
    • 1967
  • 사염화탄소 용액에 대하여 分光光度法으로 연구한 결과 아닐린, N,N-디메틸아닐린 및 N,N-디에틸아닐린과 요오드 또는 일염화요오드 사이에 1:1 錯物이 형성됨을 알았다. 이들 錯物형성에 대한 실온에서의 평형상수는 다음과 같다. $C_6H_5NH_2{\cdot}I_2\;2.05$, $C_6H_5N(CH_3)_2{\cdot}I_2\;15.2$, $C_6H_5N(C_2H_5)_2{\cdot}I_2\;35.5$, $C_6H_5NH_2{\cdot}ICl\;18.5$, $C_6H_5N(CH_3)_2{\cdot}ICl\;25.6$, 및 $C_6H_5N(C_2H_5)_2\;42.0$ l $mole^{-1}$.

  • PDF

cis,fac-Dibromooxotris(2,6- dimethylphenyl isocyanide)molybdenum (IV), cis,fac-$[Mo(O)Br_2(CN-C_6H_3-2,6-Me_2)_3]$의 분리 및 구조 (Isolation and Structure of cis,fac -Dibromooxotris(2,6-dimethylphenyl isocyanide)molybdenum(IV), cis,fac-$[Mo(O)Br_2(CN-C_6H_3-2,6-Me_2)_3]$)

  • 이범준;한원석;이순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2-85
    • /
    • 2002
  • cis,cis,trans-[MoBr/sub 2/(CO)/sub 2/(PPh/sub 3/)/sub 2/]와 2,6-dimethylphenyl isocyanide의 반응으로부터 화합물cis,fac-[Mo(O)Br/sub 2/,(CN-C/sub 6/H/sub 3/,-2,6-Me/sub 2/)sub 3/] (1)이 분리되었다. 화합물 1의 구조가 분광학적 방법(/sup 1/H-NMR, /sup 13/C{/sup 1/H}-NMR, IR) 및 X-ray 회절법으로 규명되었다. 화합물 1의 결정학 자료: 삼사정계 공 간군 P(equation omitted), a=9.172(2) (equation omitted), b = 11.550(3) (equation omitted), c = 15.106(3) (equation omitted), α = 100.44(2)°, β= 107.12(2)°, γ= 107.83(1)°, Z = 2, R(wR/sub 2/) = 0.0529(0.1344).

MCFC의 예비 개질 반응 메커니즘 연구 (Study of reaction mechanism in pre-reforming for MCFC)

  • 이우형;박용기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2호
    • /
    • pp.1-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탄화수소 개질을 위한 예비 개질기에서 에탄의 반응 메커니즘과 이에 적합한 반응속도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응 mechanism 분석을 통해 ethane의 개질 반응 중 (CO2+H2,C2H6+H2,C2H6+H2O)3개의 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반응 속도 (CO2+H2($r=3.42{\times}10-5molgcat.-1\;s-1$), C2H6+H2($r=3.18{\times}10-5mol\;gcat.-1s-1$), C2H6+H2O($r=1.84{\times}10-5mol\;gcat.-1s-1$)) 를 구하였다. 이를 통해 C2H6+H2O반응이 rate determining step (RDS)임을 확인하고, Langmuir-Hinshelwood model (L-H model)을 통해 이 반응의 반응식을 r=kS*(KAKBPC2H6PH2O)/(1+KAPC2H6+KBPH2O)2 (KA=2.052,KB=6.384,$kS=0.189{\times}10-2$)로 나타낼 수 있었다. 이렇게 얻어진 반응식은 반응 메커니즘을 고려하지 않고 유도된 power rate law와 비교하였으며, power rate law는 좁은 농도 변화 영역 (ethane 약 2.5-4%, water 약 60-75%)에서는 비교적 유사한 fitting이 이루어졌지만, 넓은 농도 변화영역에서는 반응 mechanism을 토대로 얻은 L-H model 반응식이 실험값과 더 유사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초제 Alachlor의 토양미생물에 의한 분해 -제일보(第一報). 담수답토양에서의 분해-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Alachlor, by Soil Microorganisms -Part I. Degradation in the flooded paddy soils-)

  • 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64-72
    • /
    • 1984
  • 담수답 토양중에서 배양된 Alachlor는 그 분해산물로 1-formyl-2, 3-dihydro-7-ethylindole, 2,6-diethylaniline, 2,6-diethylacetanilide, 2,6-diethyl-N-(methoxymethyl) acetanilide, 2-hydroxy-2', 6'-diethyl-N-(methoxymethyl) acetanilide, 그리고 삼종(三種)의 미확인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환(環)-$^{14}C$ 표식(標識) Alachlor의 사용으로 입증된 바와 같이 토양 현탁액중에서 Alachlor의 수용성 분해산물은 배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Rhizoctonia solani의 배양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Streptomyces lavendulae Ru3340-8은 주요분해산물로 2-hydroxy-2', 6'-diethyl-N-(methoxymethyl) acetanilide를 최고 25%까지 생성하는 반면 Bacillus brevis IFO 3331, Bacillus cruciviae, 그리고 Pseudomonas putida는 그것을 생성하지 않았다.

  • PDF

1,2,3,4,5,6-Hexaalkyl-1,4-dibora-2-cyclohexene의 생성과 착물 생성 (Synthesis and Cobalt-Complexes of 1,2,3,4,5,6-Hexaalkyl-1,4-dibora-2-cyclohexene)

  • 엄재국;안희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586-589
    • /
    • 1997
  • 1,2,3,4,5,6-hexaalkyl-1,4-dibora-2-cyclohexene은 $B_2Cl_4$로부터 제조할 수 있었으나, 보통실험실에서는 이것을 제조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의한 생성을 시도하였다. 즉,1,4-dimethyl-2,3-diethyl-1,4-dibora-2-cyclohexene, 1 유도체를 potassium과 methyl iodide에 의한 환원${\cdot}$산화반응을 시켜주므로 2,3-dietyl-1,4,5,6-tetramethyl-1,4-dibora-2-cyclohexene, 2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이 유도체와 ($({\eta}5-C_5H_5Co(C_2H_4)_2$를 반응시켜 코발트 sandwich 착물인 두 종류의 double-decker, 6 그리고 7, 또 한 종류의 triple-decker, 8을 생성하였다.

  • PDF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수지)의 2,6-디메틸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2,6-NDC)과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2,6-NDA) 분석법 확립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of 2,6-dimethylnaphthalene Dicarboxylate (2,6-NDC) an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DA) in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 성준현;오재명;신동우;최재천;임호수;박세종;박건우;김소희;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6-62
    • /
    • 2013
  • 연구에서는 PEN 수지 안전관리를 위하여 HPLC-UV 검출기를 이용한 2,6-NDC 및 2,6-NDA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2,6-NDC 및 2,6-NDA 모두 $0.002{\mu}g/mL$ 검출한계, $0.005{\mu}g/mL$ 정량한계 및 $0.05{\sim}1{\mu}g/mL$의 농도 범위에서 $r^2$= 0.9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회수율도 90~11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밀배아로부터 2-Methoxy-1,4-benzoquinone (2-MBQ) 및 2,6-Dimethoxy-1,4-benzoquinone(2,6-DMBQ)의 생산 (Production of 2-Methoxy-1,4-benzoquinone (2-MBQ) and 2,6-Dimethoxy-1,4-benzoquinone (2,6-DMBQ) from Wheat Germ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유종길;김명동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292-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세포외 $\beta$-glucosidase를 생산하는 효모 37개 균주와 Lactobacillus 젖산균 5개 균주 중에서 세포외 $\beta$-glucosidase 효소활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zeae와 Pichia pijperi을 선발하였고, 2-MBQ와 2,6-DMBQ 생산을 위한 밀배아 발효의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P. pijperi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 2-MBQ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2,6-DMBQ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 $0.02{\pm}0.01$ mg/g 및 $0.02{\pm}0.001$ mg/g의 농도로 생성되었고 Lb. zeae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에는 발효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2-MBQ는 $0.21{\pm}0.02$ mg/g에서 $0.28{\pm}0.06$ mg/g으로 증가하였고 2,6-DMBQ 생성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효모와 젖산균을 동시에 사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했을 때에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이 경과한 후 2,6-DMBQ의 생성량은 효모 및 젖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MBQ의 농도는 0.39${\pm}$0.06 mg/g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48시간이 경과하면 더욱 증가하여 0.46${\pm}$0.07 mg/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젖산균인 Lb. zeae 균주가 효모인 P. pjperi보다 상대적으로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 균주를 동시에 사용하면 각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latinum(Ⅱ) Complexes of 6,6$^\prime$-Dimethyl-2,2$^\prime$-diaminobiphenyl

  • 전무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6권4호
    • /
    • pp.238-240
    • /
    • 1985
  • Carbonato and diammine platinum(Ⅱ) complexes of resolved 6,6'-dimehtyl-2,2'-diaminobiphenyl have been prepared. The absolute configuration of the square planar platinum(Ⅱ) complexes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stereospecificity of the 6,6'-dimethyl-2,2'-diaminobiphenyl ligand, circular dichroism spectra of the complexes, and nonempirical circular dichroism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