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3-$3{\beta}$

검색결과 1,348건 처리시간 0.028초

보건·복지계열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lleg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velop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Who Majors in Health or Social Welfare)

  • 박정연;박순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0-1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보건 복지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발달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에 소재한 전문대학내 보건 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20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각 변인의 평균값은 5점 만점 기준 진로발달수준 3.54, 대생활적응 3.07, 사회적 지지 3.59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 하위영역 평균값으로 학업적응 3.02, 사회적응 3.14, 정서적응 2.92, 대학환경만족 3.27, 사회적 지지 하위영역 평균 값으로 친구 지지 3.83, 가족 지지 3.97, 교수 지지가 2.98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발달수준 영향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대학생활적응(${\beta}=0.318$, p<0.001), 사회적 지지(${\beta}=0.222$, p<0.001) 모두 진로발달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활적응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발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적응 하위 영역, 사회적 지지 하위 영역 각각 진로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대학생활적응 하위 영역에서는 학업 적응(${\beta}=0.313$, p<0.01)이, 사회적 지지 하위 영역에서는 친구지지(${\beta}=0.190$, p<0.001)가 진로발달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친구 지지가 많을수록 진로발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 복지 전공대학생들의 진로발달수준을 높이기 위한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언을 논의하였다.

대한민국 비당뇨 성인에서 만성신장질환과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기능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ess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Beta Cell Function in Non-Diabetic Korean Adults)

  • 김형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65-17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20세 이상(50.32±16.14세)의 당뇨질환이 없는 성인에서 만성신장질환과 인슐린저항성(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및 베타세포기능(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beta cell function, HOMA-B)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질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대한민국 성인 4,3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신장질환과 HOMA-IR와 관련하여,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의 결과에서(Model 4), 그룹 1 (G1;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rate [eGFR], ≥90 mL/min/1.73 ㎡), 그룹 2 (G2; eGFR, 60~89 mL/min/1.73 ㎡), 그룹 3a (G3a; eGFR, 30~59 mL/min/1.73 ㎡), ≥그룹 3b (≥G3b; eGFR, <30 mL/min/1.73 ㎡)의 HOMA-IR 평균값(M±SE, 95% confidence interval [CI])은 각각 1.78±0.03 (1.73~1.83), 1.87±0.03 (1.81~1.93), 2.16±0.13 (1.91~2.42) 및 2.59±0.24 (2.12~3.06)으로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HOMA-IR은 증가하였다(P<0.001). 둘째, 만성신장질환과 HOMA-B와 관련하여,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의 결과에서(Model 4), G1, G2, G3a 및 ≥G3b의 HOMA-B 평균값(M±SE, 95% CI)은 각각 87.46±1.21 (85.08~89.84), 89.11±1.38(86.40~91.81), 104.82±5.91 (93.23~116.42) 및 123.97±10.87 (102.66~145.29)으로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HOMA-B도 증가하였다(P<0.001). 대한민국 당뇨질환이 없는 성인에서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였고, 베타세포기능 또한 증가하였다.

치과병·의원에 내원한 환자들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Investigation of Factor about Influet to Treatment to Happiness Index among Dental Patients)

  • 윤현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57-265
    • /
    • 2014
  • 본 연구는 주관적 치주건강인식 수와 진료내용(임플란트, 교정진료, 일반진료)에 따른 행복지수를 파악하고, 구강보건측면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구강보건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산.경남지역에 위치한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약 7개월간 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 16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료내용에 따른 행복지수는 단일문항(p<0.001), 5문항(p=0.037) 모두 교정치료를 받는 경우 높았고, 임플란트 진료를 받는 경우 낮았다. 주관적 치주건강인식 수에 따른 행복지수는 단일문항, 5문항 행복지수 모두 구강증상이 없는 경우 높았고(p<0.001),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에서 매우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행복지수가 높았다(p<0.001). 단일문항 행복지수에 영향요인은 소득이 많을수록(${\beta}$=0.198),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beta}$=0.340) 행복지수가 높았으며, 당뇨질환이 있을수록(${\beta}$=-0.103), 치주질환수가 많을수록(${\beta}$=-0.204) 행복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5문항 행복지수에 영향요인은 연령이 높을수록(${\beta}$=0.241), 소득이 많을수록(${\beta}$=0.198), 진료내용이 일반일 때(${\beta}$=0.107),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beta}$=0.27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beta}$=0.132) 행복지수가 높았으며, 치주질환수가 많을수록(${\beta}$=-0.195) 행복지수가 낮았다. 병 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을 향상하기 위한 구강건강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형태가 고정된 ${\beta}$-아미노케톤의 탈케탈화 (반응) 의 연구 (A Study on Deketalization of Rigid ${\beta}$-Aminoketones)

  • 김정균;이용태;윤웅찬;조인섭;문성환;한선홍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57-566
    • /
    • 1988
  • 구조 형태가 고정된 ${\beta}$-아미노 케탈의 탈케탈화 실패요인으로서, 반응 중간체의 정전기적 반발, 구조상 특징에 의한 전이상태의 각스트레인의 증가, 그리고 고정된 구조형태에서 오는 물분자의 $SN_2$ 형태공격의 입체적 차단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그들 요인의 중요성을 분리 평가하였다. 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아민, N-(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아세트 아미드, 그리고 트리메틸-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암모니움 요오드를 합성하여 그들의 탈케탈화 반응을 검토함으로서 이중 양이온의 정전기적 반발요인에 의한 실패요인 정도를 평가하였다. ${\beta}$-아미노기에 전자흡인기인 아세틸기를 넣어 아미노기의 양성자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서 탈케탈화를 용이하게 일으킬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정전기적 반발요인이 ${\beta}$-아미노 케탈화의 탈케탈화 방해요인으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구조상 특징에 의한 방해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구조형태가 고정되지 않은 ${\beta}$-아미노케탈, 2-아미노-1-에틸렌디옥시아세토페논과 아미노아세탈, 디메틸 아미노 포름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과 2-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의 탈케탈화 및 탈아세탈화 용이도를 검토한 결과 용이하게 탈아세탈화되었다. 이 결과는 구조상 특징에 의한 요인도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 PDF

국화과 허브류인 수입산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의 향기성분 비교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임성임;배정은;최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68-773
    • /
    • 2006
  • 유럽의 허브요법을 대표하는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에 속하는 감국차의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cdot}$동정하고 비교하였다. 캐모마일차의 휘발성성분으로는 cubebene(14.59%), ${\beta}$-elemene(4.88%), ${\delta}$-cadinol(1.54%)을 포함한 총 46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반면, 국내산 국화차에서는 santalol(6.25%), bornyl acetate(3.47%), farnesene(3.37%), 1,8-nonadiene(2.80%), caryophyllene oxide(2.77%) 및 thymol(2.16%) 등 총 45종류의 화합물이 동정 또는 추정되었다. 동정 또는 추정된 화합물 중 22종은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캐모마일차와 국화차에 공통으로 함유된 화합물 중 비교적 함량적으로 많이 들어있는 화합물은 4-terpineol, ${\alpha}$-terpineol, thymol, phenylacetaldehyde들이 었다.

산양의 과배란 처리에 따른 발정발현과 단발정주기의 발생 및 발정기의 혈중 estradiol-17$\beta$의 농도변화 (Behavioural Estrous, Short Estrous Cycles and Serum Level of Estradiol-17$\beta$ durig Peri-Estrus following Superovulation Treatments in Korean Native Goats)

  • 이지삼;박충생;최경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5-182
    • /
    • 1990
  • Behavioural estrus and short estrous cycles were observed and serum concentrations of estradiol-17$\beta$(E2) before and after of estrous were measured following superovulation treatments in 30 pluriparous Korean native goats. The go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Fifteen goats were injected IM with 1,000IU PMSG on Day 12 of the estrous cycle followed by 10mg PGF2$\alpha$ 48h later(P4+PMSG), and the other 15 goats were injected IM with 10mg progesterone(P4)in oil once daily for 10d beginning at any days of estrous cycle followed by 1,000IU PMSG and 10mg PGF2$\alpha$ at the 8th day of progesterone treatment(P4+PMSG group). After injection of PGF2$\alpha$, onset of standing estrus occurred in 12 of 15 goats(80.0%) at 50.0$\pm$7.7h and in 11 of 15 goats(73.3%) at 135.6$\pm$10.1h in PMSG and group and P4+PMSG group, respectively. The mean interval from PGF2$\alpha$ injection to first estrus was significantly(P<0.01) earlier in PMSG group than in P4+PMSG group. This result indicate that the delayed infusion of P4 in P4+PMSG group caused the later exhibition of their estrous behaviors. However, duration fo frist estrus(31.5$\pm$2.6h vs 26.2$\pm$2.3h), length of estrous cycle(14.1$\pm$3.3d vs 16.6$\pm$3.8d) and percentage of short estrous cycle(50.0% vs 45.5%) were not different between PMSG and P4+PMSG group. The mean concentration of serum E2 in 4 goats showing normal estrous cycle in P4+PMSG group(PP-NEC) was higher than in 6 goats showing normal(P-NEC) or in 6 goats showing short estrous cycle(P-SEC) in PMSG group. The peak level of serum E2 was observed at the time of onset of standing estrus in PP-NEC(67.6pg/ml), 6h earlier in P-NEC(53.1pg/ml) and 6h later in P-SEC(52.3pg/ml) than the onset of standing estrus. The profiles of serum concentration of E2 during the period of peri-estrus was similar in the goats of PMSG or P4+PMSG and also in the goats showing the subsequent estrous cycle of normal or short length.

  • PDF

한우에 있어서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 vitro Maturation of Follicular Oocytes in Korean Native Cattle)

  • 서태광;정범식;김규현;김익수;류재웅;박수봉;박항균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63-271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maturation in vitro of follicular oocytes in Korean Native Cattle. The bovine ovaries were obtained at a slaughter house and the follicular oocytes were recovered by aspirating the follicular fluid from the visible follicles of 3~6mm. The bovine oocytes were matured in vitro in TCM-199 containing FCS and hormones. The effects of TCM-199 salt type, number of oocytes per drop, incubation time and co-culture with granulosa cells on maturation of oocyt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turation rates of follicular oocytes cultured for 22, 25 and 28 hours in Hank's TCM-199 or Earle's TCM-199 were 59.3, 59.6, 80% and 80.0, 90.0, 93.7%, respectively. The maturation rate of follicular oocytes in Earle's TCM-199 was faster and higher than in Hank's TCM-199(P<0.05). 2. The maturation rates of oocytes were 54.5, 62.5 and 62.0% when cultured the oocytes number 10, 20 and 40 per 200${mu}ell$ drop for 18 hours. 3. The maturation of follicular oocytes in the Korean Native Cattle was induced at 14 hours culture, by giving the maturation rate of 90.0% after 20 hours. 4. The maturation rates were 63.3% and 66.7%, respectigely when the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granulosa cells from medium-size follicles used immediately after recover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ormones added(0.02AU/ml FSH, 10$\mu\textrm{g}$/ml LH and 1$\mu\textrm{g}$/ml estradiol 17-$\beta$). When the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granulosa cells from medium-size follicles cultured for 3 days, the maturation rates were 20.8% and 76.2%, respectively(P<0.05). 5. The maturation rate were 88.0% and 70.0%, respectively when the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granulosa cells from large-size follicles used immediately after recover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ormones added(0.02AU/ml FSH, 10$\mu\textrm{g}$/ml LH and 1$\mu\textrm{g}$/ml estradiol 17-$\beta$)(P<0.05). When the hormones added(0.02AU/ml FSH, 10$\mu\textrm{g}$/ml LH and 1$\mu\textrm{g}$/ml estradiol 17-$\beta$)(P<0.05). When the oocytes were co-cultred with granulosa cells from large-size follicles cultured for 3 days, the maturation rates were 41.2% and 73.3%, respectively(P<0.05).

  • PDF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i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 이장원;천상욱;한승관;류정;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3-209
    • /
    • 2007
  • 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cdot}$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1,4-terpineol, and ${\beta}$-terpinene 등 이었다.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가용화 및 연질캅셀제로의 설계 (Solubilization and Fomulation as Soft Gelatine Capsule of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 박기배;정채경;이광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1호
    • /
    • pp.1-11
    • /
    • 1996
  •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PMC), which has been used to treat hepatitis, is insoluble in water, therefore it has low bioavailability after oral administration.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dissolution rate of PMC, the physical mixtures and inclusion complexes of PMC and $dimethyl-{\beta}-cyclodextrin\;(DM\;{\beta}CD)\;or\;hydroxypropyl-{\beta}-cyclodextrin\;(HP{\beta}CD)$ in molar ratio of 1 : 1 and 1 : 2 were 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Mixed micelles of PMC were prepared by reacting PMC with bile salts [sodium cholate(NaC), sodium glycocholate (NaGC)] and oleic acid (OA) or palmitoylcarnitine chloride(PCC). Chloroform/water partition coefficient (PC) of PMC was 36.14 in artificial gastric juice (AGJ) and 33.47 in artificial intestinal juice (AIJ),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ctanol/water PC was 63.36. PMC formulation was prepared by reacting PMC with PEG400-glycerin system(95 : 5, 90 : 10, respectively) and PEG400-PEG4000-glycerin system (70 : 25 : 5, 65 : 25 : 10, respectively).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in AGJ and AIJ by paddle method at $37{\pm}0.5^{\circ}C$. The dissolution rates of PMC tablets on the market were 5.74% and 8.26% at AGJ and AIJ, respectively and marketed PMC capsules were 22.14% and 28.64% at AGJ and AIJ, respectively. The dissolution rates of inclusion complexes of PMC with $DM{\beta}CD$ and $HP{\beta}CD$ in a molar ratio of 1 : 1 were more fast than those of corresponding physical mixtures. The decreasing order of dissolution rates was as follows;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 PMC-PEG400-glycerin formulation > mixed micelles > CD inclusion complexes. The dissolution rates of PMC-PEG400-glycerin and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were most fast and the percentage of dissolution was almost 100% within 20 minutes. And their dissolution rates after 120 minutes were marked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capsules on the market (4.0-fold and 3.2-fold in PMC-PEG400-glycerin formulation at AGJ and AIJ, respectively, and 4.8-fold and 3.7-fold in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at AGJ and AIJ, respectively).

  • PDF

중년성인의 건강통제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lth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Aged Adults)

  • 김지현;권명진;정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4-503
    • /
    • 2017
  •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건강통제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와 건강증진행위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충북과 충남지역의 2개 도시의 중년 성인 13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간 시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일반적 특성 중 주관적 건강(F=10.14, p<.001)과 경제 수준(F=3.32, p=.03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주요 변수 간의 관계에서 건강증진행위는 자기효능감 (r=.44, p<.001) 및 사회적 지지 (r=.45,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 특성, 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beta}=.24$, p=.002), 자기효능감 (${\beta}=.29$, p<.001), 사회적 지지 (${\beta}=.30$, p<.001)가 주요 영향요인이었으며, 이 모델은 36.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중년 성인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반영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