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힙합 음악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대중음악 속의 저항의식 - Folk와 Rap Music 속의 저항의식 비교분석 - (Resistance Consciousness of Korea's Popular Music - Comparative analysis in the Folk music and Rap Music -)

  • 최용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97-100
    • /
    • 2011
  • 본 고에서는 포크음악과 힙합(랩)음악의 기본정신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에 따른 시대적 호응에 따른 저항의식을 알아보고 그러한 저항의식이 시대적으로 포크와 힙합(랩)음악에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적용이 되고 묻어나 있는지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이중언어 사용자와 K-Pop 노랫말 딕션과의 연관성 : 90년대 후반 재미교포 힙합가수를 중심으로 (The Correlation of the Diction of Korean Lyrics Employed by Bilingual Users and the General Diction of K-Pop Lyrics : Focusing on a Korean-American Hip-hop Singers in the 1990s)

  • 서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67-280
    • /
    • 2019
  • K-Pop은 세계 각지로부터 유입된 다양한 음악적 요소의 창조적 혼합과 절충을 시도함으로써 한류 콘텐츠의 일부에서 한류의 주역으로 확장되었다. K-Pop의 혼종적인 모습은 음악 장르뿐 아니라 K-Pop 노랫말의 언어선택과 발음법에서도 나타난다. K-Pop 음악 속 노랫말 발음의 혼종 현상, 즉, 노랫말의 딕션 퓨전 현상은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방안이 아니라 한국 대중음악사적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다.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으로 대중음악의 흐름이 발라드에서 댄스음악으로 전환·정착되고, 3년 뒤 힙합 댄스음악인 'Come Back Home'의 성공으로 힙합음악의 잠재적 경쟁력을 확인한 재미교포들의 한국 대중음악시장 진출은 현재 K-Pop 노랫말의 이중언어 사용과 한국어 노랫말의 딕션 퓨전 현상의 기원이 됨을 주장한다. 따라서 논자는 90년대 후반, 재미교포 출신 힙합가수들의 노랫말 속 이중언어 발음체계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어와 영어의 발음체계를 알아보고, 재미교포들의 서투른 한국어 노랫말 딕션이 지속적으로 허용 되고, 활용될 수 있었던 요인을 한국어 발음체계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K-Pop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노랫말의 영어식 딕션법을 90년대 후반의 재미교포 출신 힙합가수들의 한국어 노랫말 딕션법과 비교함으로써 이 둘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K-Pop 한국어 노랫말에서 나타나는 딕션 퓨전 현상의 요인을 한국 대중음악사적 흐름 속에서 밝히고, 90년대 이중언어 사용자의 노랫말 딕션 비교를 통하여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신한류의 지속화를 위해 K-Pop 노랫말의 딕션에 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 걸쳐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가을의 서점가, 음악향기로 그윽

  • 이현주
    • 출판저널
    • /
    • 통권243호
    • /
    • pp.12-12
    • /
    • 1998
  • 이즈음 서점가에는 다채로운 음악 장르를 섭렵한 책들이 음악애호가들을 손짓하고 있다. '댄스음악', '힙합', '모던 록'에서 클래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여성 힙합의 음악적 특성이 여성 힙합 패션에 미친 영향 - 국내 최초 여성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 『언프리티 랩스타(Unpretty Rapstar)』를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Female Hip-hop on Female Hip-hop Fashion - Focus on Unpretty Rapstar the First Female Hip-hop Survival Program in Domestic -)

  • 이서도;염미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9-14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hip-hop fashion in korea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mus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hip-hop. This study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hip-hop music and their fashion through the history of hip-hop. Data has been collected and analyzed from broadcastings, performances, music videos, and album jackets of female musicians who appeared in the cable television program 'Unpretty Rapstar' by MNET during two seasons in 2015. "Unpretty Rapstar" is the first program to focus on the music and fashion of female Korean hip-hop musicians. For the theoretical review, this article examines books and journal articles, which provide insight into the history and formation of hip-hop. It also analyzes the hip-hop styles of female musicians in Korea through Hiphopplaya.com, an Internet site specializing in hip-ho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ashion of female Korean hip hop musicians is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s of female hip-hop artists come out of Glam Style, which emphasizes femininity, but is also composed of a practical and dynamic street casual style. Most of the clothes are skinny jeans and sweat suits with vertical and slim-fit silhouettes or stadium jackets and jersey jackets with oversized silhouettes. The main colors of these outfits are prominently yellow and red with darker grayish tones, but also include natural achromatic colors.

  • PDF

개인 취향에 맞는 음악 장르 추천 시스템 (The Adaptable Music Genre Recommendation System to The Individual Taste)

  • 강성춘;이고은;박정근;손영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14-11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음악을 직접 선곡하지 않고 락, 트로트, 댄스, 힙합, 발라드 등 5가지의 장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장르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시간으로 연주되는 음악에서 Bass Drum 신호를 추출ㆍ분석하여, 기본적으로 한 마디에 소요되는 시간, 주법, 진폭 등 세가지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5가지 장르로 분류하였다 선택 곡 수와 들은 시간으로 퍼지 추론을 통해 각 장르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한다. 평가된 만족도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의 음악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열량 소비에 도움을 주는 음악장르 연구 (A Study on Music Genre Help to Burn Calories)

  • 윤지성;배명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291-292
    • /
    • 2016
  • 비만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동 시 열량 소비에 더욱 도움을 주는 음악장르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6가지 장르의 음악을 선정하여 10분간 사이클을 타며 칼로리를 비교분석 하였다. 평균적으로 디스코, 댄스, 힙합음악을 들을 때 더 많은 칼로리를 소모하였다.

  • PDF

2020년 멜론차트 내 대중가요의 랩 음악 적용 현황과 음악표현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Rap Music and Music Expression of Popular Songs in the 2020 Melon Chart)

  • 심인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01-111
    • /
    • 2021
  • 본 논문은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 주요 음원 사이트 중 하나인 멜론차트에 진입한 음악들 안에서 랩(Rap)의 활용과 기법을 분석한 연구이다. 대중들의 선호가 반영되어 차트에 진입한 곡들 중 힙합음악의 중요 요소인 랩 음악이 사용된 곡들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대표적인 아티스트, 혹은 자주 사용되는 리듬패턴 등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다. 본 논문을 통해 요즘의 대중음악에서 대중들과 아티스트들이 선호하는 랩 음악의 음악적 특징을 정리하고 정형화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술 연마를 위한 에튀드 개발의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오랜 시간 분석되고 체계화된 보컬과 악기 등의 연주기법들처럼, 다양한 스타일의 랩 음악 역시 이를 배우고 연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기술을 익혀나갈 수 있는 기법의 체계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힙합 문화, 하위문화, 그리고 이들 문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함축성: 독일, 한국 및 미국의 힙합 그룹들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Hip Hop Culture, Subculture, and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A Comparative Case Study on Hip Hop Culture among Germany, Korea and the USA)

  • 게르케 사브리나;백선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62-381
    • /
    • 2017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들이 갖는 국적에 따라 분류되지만, 각 개인의 문화적 경향은 반드시 자신들이 속한 국적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의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신이 속한 하위문화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과 다양성이 형성된다. 본 연구는 힙합 장르 노래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국, 독일, 한국의 하위문화적 속성을 밝혔다. 이를 위해 음원 판매액과 힙합의 역사에 관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각 국가에서 힙합이라는 장르가 출현한 시점 및 2016년의 가장 인기 있었던 노래를 각각 한 곡씩 총 여섯곡을 선정해 기호학적으로 분석했다. 국가별 힙합의 초기 및 현재 모습에 대한 비교 분석결과, 흥미롭게도 힙합은 대상에 대한 묘사에 있어 점점 유사해져 가는 동시에, 더욱 개인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음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각 국가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미국 힙합에서는 대표적으로 아메리칸 드림(American Dream)에 대한 열망이 드러났으며, 독일의 힙합에서는 과도한 남성성 이미지가 강조되었다. 한편, 한국 힙합은 보다 일상적인 생각과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띠었다. 나아가 비록 사회 비판의 도구로서 힙합이 갖는 중요도가 점차 감소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힙합은 강력한 문화적 반항이자 새로운 도전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힙합패션의 유행요인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 and Characters of Hiphop Fashion)

  • 이지현;정은숙
    • 복식
    • /
    • 제44권
    • /
    • pp.91-10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phop fashion which has the leading power of 1990's korean fashion flow. Hiphop Fashion represents individuals' unique characters and their culture. Baggy jeans with extra large shirts, various accessories, and a unique coordination of these items that is all their own represents the style that is hiphop. There are three major reasons why hiphop fashion has become so popular in the 1990's. First, the popularity of hiphop music whose singers directly influence the public. Second, the popularity of sports and sporting heros. These athletes' sporty Hiphop looks has amply shown that are also leaders of the hiphop fashion. Third, mass media like TV and many publications, defivitely helped to quickly spread hiphop all over the world. Music only TV stations like MTV and StarTV are good examples. Fashion always tells us much - as every anthropologist knows - and a thoughtful analysis of hiphop will reveal many interesting, and perhaps even surprising things about the men and women who wear 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