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Rap Music and Music Expression of Popular Songs in the 2020 Melon Chart

2020년 멜론차트 내 대중가요의 랩 음악 적용 현황과 음악표현 연구

  • 심인섭 (경기대학교 실용음악학과)
  • Received : 2021.05.21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use and techniques of rap in music that entered Melon Chart, one of the major music sites in Korea, during 2020. Among the songs that entered the chart, reflecting the public's preference, the trend of rap music, an important element of hip-hop music, is analyzed and musical features such as representative artists or frequently used rhythm patterns are analyzed. Through this paper, characteristics of rap music favored by the public and artists in recent popular music have been organized and formalized, and based on this, the elements of etude development for technical polishing are summarized.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just like the long-time analyzed and structured performance techniques such as vocals and instruments, various styles of rap music can develop into a systematic and step-by-step technique system for students who want to learn and practice it.

본 논문은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 주요 음원 사이트 중 하나인 멜론차트에 진입한 음악들 안에서 랩(Rap)의 활용과 기법을 분석한 연구이다. 대중들의 선호가 반영되어 차트에 진입한 곡들 중 힙합음악의 중요 요소인 랩 음악이 사용된 곡들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대표적인 아티스트, 혹은 자주 사용되는 리듬패턴 등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다. 본 논문을 통해 요즘의 대중음악에서 대중들과 아티스트들이 선호하는 랩 음악의 음악적 특징을 정리하고 정형화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술 연마를 위한 에튀드 개발의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오랜 시간 분석되고 체계화된 보컬과 악기 등의 연주기법들처럼, 다양한 스타일의 랩 음악 역시 이를 배우고 연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기술을 익혀나갈 수 있는 기법의 체계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섭(2001). 퓰리처상보다 권위있는 것은 없다. 관훈저널 79: 95-103.
  2. 김기덕(2015).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형성과정과 향후과제. 다문화콘텐츠연구 18: 297-325.
  3. 양우석(2012). 한국 랩의 형성과 케이팝의 발전. 음악학 23: 125-156.
  4. 이주연(2019). 한국대중음악에서 힙합이 성행하는 문화와 사회적 측면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1(1): 825-848.
  5. Forman, M.(2004). That's the joint!. New york : Routledge.
  6. 류재학(2019). 음악 샘플링의 제작 방법론 제시 및 적용: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7): 205-218.
  7. 황영순(2011). 미국 흑인음악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 과정. 미국사연구 34: 115-144.
  8. 이규탁(2011). 한국 힙합 음악 장르의 형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토착화. 한국학연구 26: 59-84.
  9. 서근영(2019). 이중언어 사용자와 K-Pop 노랫말 딕션과의 연관성: 90년대 후반 재미교포 힙합가수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267-280.
  10. 김영대(2019). [대중음악사10] 한국 힙합의 발생과 정립 과정: '문나이트'에서 '마스터플랜' 까지. 문학동네 26(2): 1-21.
  11. Antonio, M.(2019). Boom Bap, Trap and Ageing in Belo Horizonte's Rap Music. Journal of electronic dance music culture, 11(1).
  12. Setaro, S.(2018), How trap music came to rule the world, https://www.complex.com/music/2018/02/how-trap-music-came-to-rule-the-world
  13. Bradley, A.(2009). Book of Rhymes: The poetics of Hip Hop. New York: Basic Civitas Books.
  14. Adams, K.(2008). Aspects of the Music/Text Relationship in Rap. Society for Music Theory, 14(2).
  15. Ohriner, M.(2016). Metric Ambiguity and Flow in Rap Music: A Corpus-Assisted Study of Outkast's "Mainstream"(1996). Empirical Musicology Review, 11(2).
  16. 김성훈(2017). 누구나 랩. 한스미디어.
  17. 오이돈(2018). 음악형식과 분석. 음악세계.
  18.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ry.com/browse/rap--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