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흉부상해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Accident and Injury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on Lateral Impact (고령 운전자 측면충돌 사고 및 상해특성)

  • Hong, Seung-Jun;Park, Won-Pi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2
    • /
    • pp.104-113
    • /
    • 2010
  • Domestic insurance claims were statistically investigated to analyze the elderly driver's accident patterns and injury types in side impact crashes. Medical treatment records and accident vehicle damage photos have been surveyed for 5,419 cases. The results of our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thorax injury risk of the elderly drive group is 8.8 and 4.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 and middle age group respectively. Diagnosis showed that most thorax injuries were caused by rib fracture. The head injury risk of the elderly female driver group seem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er female driver group, however, statistical test has not been conducted because of the lack of number of samples for elderly female accident.

Prediction of Thoracic Injury of Older Occupant from Belt Loading (벨트 하중에 따른 고령운전자의 흉곽 상해 예측)

  • Han, In-Seok;Kim, Young-E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3 no.8
    • /
    • pp.799-806
    • /
    • 2009
  • Thoracic injury from restraint loading is the principle causative factor of death, which was shown to be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older drivers. To characterize thoracic response to belt loading of older drivers, detailed finite element models of the adult and aged thorax were developed. The geometry of the 50th percentile adult male was chosen for the adult FE model. The thoracic FE model was validated against data obtained from results of PMHS pendulum impact tests. The quantified patterns of age-related shape and well-established material changes were applied to the adult model to develop the aged model. Belt force and chest deflection were applied to the developed two types of models. Rib and clavicle fracture risk obviously increased in the aged model. This finding showed that larger rib angle and reduced material properties of the ribcage produced more higher risk of injury in the older driver.

A Study on Injury Characteristics of Elderly in Car-to-Car Frontal Crashes (차대 차 정면층돌사고 시 고령자 상해 특성 연구)

  • Hong, Seung-Jun;Cho, Kyoung-Ke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7 no.2
    • /
    • pp.90-97
    • /
    • 2009
  •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a person's risk of injury in a motor vehicle crash is the age of the pers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crash injuries among young, middle-aged and older drivers and occupan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laim data from automobile insurance from 2000 to 2007, this study examines in great detail the drivers and occupants injury body regions and severity by age in car-to-car frontal crashes. It has been shown that elderly drivers and occupants suffer more injuries at a chest region compared to the middle-aged group. This research calls attention to the need for design to make vehicles more protective for older drivers in car-to car frontal crashes.

Characteristics of Vehicle Structure Deformation and Body Injury caused by Side Impact Test using AE-MDB (AE-MDB 시험결과에 따른 인체상해 및 차체 특성)

  • Kim, Doyup;Lee, Jaewan;Chang, Hyungjin;Yong, Boojoong
    •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 /
    • v.3 no.2
    • /
    • pp.34-41
    • /
    • 2011
  • Side collisions (or side crash) account for 51.6% of all car to car accidents occurred in 2010.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ose vehicles' structure deformation and passengers' injuries in the side collisions. A moving barrier (950kg) is currently used in the KNCAP side impact test. However, in order to enhance a passengers' safety in the side collisions, we introduce an AE-MDB (1500kg) which provides more severe conditions for this test. In this study, the test results using both barriers are compared and analyzed.

Side impact regulation trend and simulation technology (측면 충돌 법규화 동향과 해석 기술)

  • 김동석;이명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4
    • /
    • pp.27-35
    • /
    • 1996
  • 측면 충돌시 승객의 안전확보를 위한 미국 및 유럽의 법규 제정 과정과 배경을 살펴보고 이 두 법규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 신 법규에 대응한 신차 개발을 위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같은 해석 기법을 이용시 개발 비용의 절감은 물론 개발기간도 단출할 수 있음을 보이고 미국 법규에 따른 해석 사례를 소개하였다. 정적 도어 구조 강성 해석의 경우 시험값과 평균적으로 10% 내의 오차를 보여주었다. 또한 동적 측면 충돌 해석 결과는 시험값과 비교하여 이동 대차 중심, 우측 B-필라하단 및 운전석 도어 중심에서의 Y-방향 속도의 경우 평균적으로 약 5% 차이를 보였으며 운전석 더미의 상해치는 골반 가속도의 경우 약 30%, 흉부 상해치의 경우 약 4%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해석 기술의 발달은 해석 결과와 시험결과 사이의 차이를 더욱 줄일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시 시작차의 제작비 및 시험비 절감 및 개발기간 단축을 가져와 자동차 설계분야의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First Written Medical Record on Thoracic Surgery in Korean History (한국사 최초의 흉부외과 관련 의학기록)

  • Kim, Won-G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2 no.6
    • /
    • pp.813-820
    • /
    • 2009
  • On Dec 22, 1909, a young patriot called Lee Jae-Myung (1986~1910) attempted to assassinate Lee Wan-Yong, the prime minister of the last Yi Choseon cabinet and he later signed the annexation treaty with imperial Japan. Despite that Lee Jae-Myung failed in this assassination attempt, his heroic deed motivated national pride thereafter. After this attempted assassination, a medical record was prepared about stab wound that was inflicted upon Lee Wan-Yong during the trial of Lee Jae-Myung, and this record included many significant specific descriptions that were concerned with thoracic surgery. They included an intercostal stab wound and intercostal arterial hemorrhage, lung injury, chest contusion, traumatic pleuritis and supposedly pneumo-and hemothorax. Thoracentesis for drainage of the serosanguinous pleural effusion was also mentioned. This medical record is judged to be the first written medical record on thoracic surgery in Korean histo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record as it is related with a well known episode in modern Korean history.

Effect of Changing the Side Impact Dummy from EuroSID-1 to EuroSID-2 in the KNCAP Side Impact Evaluation (EuroSID-1에서 EuroSID-2로의 인체모형 변경이 KNCAP 측면충돌안전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im, Jae-Moon;Jung, Geun-Seu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5
    • /
    • pp.125-132
    • /
    • 2007
  • In order to provide consumers with safety informations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Kor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KNCAP),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star ratings of 21 vehicles for the side impact tests have been reported since 2003. Now, the KNCAP considers changing the side impact dummy from EuroSID-1 to EuroSID-2 near future. The rib deflection of EuroSID-2 is 20-30% higher than that of EuroSID-1 because of the removal of "Flat Tops" effe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hanging the side impact dummy from EuroSID-1 to EuroSID-2 in the KNCAP side impact evaluation is estimated through the previous KNCAP evalu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crease of the star ratings would be one star($\bigstar$) approximately.

충격완화형 철재 중앙분리대의 개발

  • 유경수;윤태양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4
    • /
    • pp.12-21
    • /
    • 1997
  • 차량충돌에 대하여 운전자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새로 개발한 철재 중앙분리대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위하여 인체모형을 탑재한 실물차량 충돌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체모형의 두부와 흉부, 대퇴부 및 차량의 무게중심점에서 가속도와 충격하중을 계측하여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차량충돌시 운전자의 안전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비해 운전자의 신체 상해치와 차량파괴 등에 있어서 뛰어난 충격흡수성능을 보여주었다. 2)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의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차량전복과 같은 2차사고의 유발 가능성이 전혀 없는 구조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3) 경량의 차량충돌에 대하여 자체 탄성영역내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함을 나타냈다. 4) 충돌 수 충돌차량에 대한 차량유도성능이 뛰어났으며, 차량의 충돌후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내로 나타났다. 5)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로부터 분리된 파편이 거의 없어 도로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 PDF

A Safety Assessment on Light Weight Wheelchair Occupant in Frontal Crash (경량 휠체어 탑승자의 차량 전방충돌시 안전성 평가)

  • 김성민;김성재;강태건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4 no.1
    • /
    • pp.15-21
    • /
    • 2003
  • In this study, for a safetv assessment of light weight wheelchair occupant in frontal crash, we tested a dynamic sled impact test. we carried out total 6 times test and impact speed was 20g/48 km/h. By using Hybrid III 50%ile male dummy, head injury criteria(HIC), neck flexion moment, neck axial tension force, neck shear force. chest acceleration, head, wheelchair and knee excursion were measured, we evaluated light weight wheelchair occupant safety by motion criteria(MC) which proposed in SAE J2249 and combined injury criteria(CIC) which is a voluntary standard(GM-IARV) of General Motors Co.. when we assumed that the maximum injury value in frontal crash was 100%, the result of motion criteria(MC) of wheelchair occupant was 52%, occupant upper body injury index(CIC) was 60.1%.

병원에서의 산업보건관리

  • Jeon, Gyeong-Ja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40-51
    • /
    • 1992
  • 본 연구는 병원에서의 산업보건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병원을 대상으로 1992년 12월 1일부터 1993년 1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응당한 병원은 41개병원으로 회수율은 51.9%였다. 조사에 이용된 설문지는 산업안전보건법 내용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한 것이며 안전보전에 관한 제반 규정, 안전보건관리체계, 근로자건강관리, 작업환경관리, 보건교육, 보건관련시설, 질병 및 상해에 대한 보상 등에 관한 45개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병원 중 68.3%가 안전보건관리 규정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77.5%의 병원이 단체협약 중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에 관한 조항을 포함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협약에 포함된 내용 중에는 정기건강진단(23.7%)과 질병 및 상해에 대한 보상(20.9%), 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18.1%)등이 많았다. 둘째, 대상 병원중 66.7%가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담당자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로자수가 1,000명 이상인 병원은 83.3%가 이들 인력을 선임하고 있다. 그러나, 보건관리자와 안전관리자를 전담으로 두고 있는 경우는 한 곳도 없었으며 50%이내에서 겸직으로 선임하고 있었다. 또한, 안전보건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거나 노사협의회로 이를 대치하고 있는 병원은 54.2%로 절반 수준에 머물렀고, 그나마 정기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다고 답한 병원은 3개 병원 밖에 되지 않았다. 세째,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진단 실시 현황을 보면, 채용시검진 97.6%, 일반건강진단 100.0%, 특수 건강진단 24.4%가 실시하고 있었다. 건강진단에서 주로 실시하고 있는 항목은 흉부 X선검사, 시력, 혈압, 혈청GOT/GPT, 체중, 신장등이었다. 그러나, 병원에서 감염될 수 있는 기회가 높은 간염항원/항체검사의 실시율은 85.7%로 아직도 실시하지 않는 병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네째, 작업환경관리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환경측정을 실시하는 병원은 21.6%였고 주로 측정하는 항목은 방사선이었다. 특히 소음, 조명, 분진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음은 근로자뿐아니라 환자의 안위에도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섯째, 안전한 작업과 근로자의 건강을 위하여 정기적인 보건교육을 설시하고 있는 병원은 불과 5.6%였다. 교육내용은 주로 안전에 관한 것이었다. 여섯째, 근로자의 일상적인 건강문제를 해결해주는 의무실을 독립적으로 마련하고 있는 병원은 한 곳도 없었고, 교대근무자나 당직자를 위한 수면시설은 44.7%, 작업 후에 사용할 수 있는 샤워시설은 35.1%의 병원이 마련하고 있었다. 일곱째, 근무중 다치거나 병에 걸렸을 때 치료비에 대한 부담은 대체로 병원이 하고 있으며 치료기간 중 근무는 병가나 휴직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는 병원이 산재보상보험법에 적용을 받지 않은 사업으로 분류되어 있는 현실에 기인된 것으로 보상과 관련된 부담을 병원이나 근로자 모두가 안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볼 때 병원근로자를 위한 산업보건관리는 주로 건강진단과 질병 및 상해에 대한 보상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질병의 예방이나 악화방지 나아가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병원은 전무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을 병원근로자를 위한 산업보건관리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