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효모 세포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21초

고온내성 에탄올 생산 효모균주의 개발을 위한 Saccharomyces와 Kluyveromyces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Saccharomyces and Kluyveromyces to Develop Thermotolerant Ethanol-Producing Yeast Strains)

  • 김민수;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0-86
    • /
    • 2000
  • $30^{\circ}C$에서 에탄올 발효력이 우수한 Saccharomyces carlsbergensis와 $42^{\circ}C$에서 성장력이 우수한 Kluyveromyces maxianus를 원형질체 융합을 통하여 고온에서도 발효력이 우수한 효모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을 위해 원형질체 형성율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는데, 두 균주 모 두 삼투안정제는 1.2M KCl, 세포벽 분해 효소의 농도와 처리 시간은 각각 200 (unit/ml)와 90분으로 동일하였고, 전처리용액으로서 EDTA와 mercaptoethanol의 농도, 그리고 최적 pH는 두 균주가 차이를 보여 S. carlsbergensis가 각각 10-20 mM/ml, $4.0\mu$l/ml, 그리고 7.0이었고, K. marxianus의 경우 20mM/ml, 2.5-4 $\mu$l/ml, 그리고 8.0이었다. 원형질체 형성을 위한 최적 조건하에서 원형질체 형성을 S. carlsbergensis의 경우 92.94%, K marxianus는 98%였으며, 두 균주의 원형질체 융합율은 $1.4\times10^{-6}-4.8$\times10^{-7}$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를 융합시킨 결과 SG배지$ 30^{\circ}C$에서 6-8일 배양 후에 27주의 융합주들을 획득하였고, 이 중에서$ 42^{\circ}C$에서 성장을 보인 융합주는 6주이었다. $42^{\circ}C$ 그리고 16%(w/v) 포도당이 함유된ㄴ 배지에서 3일 발효 후 모균주들이 3.2-3.4%(w/v)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는데 비해 융합주 SK41-4와 SK53-22는 같은 조건에서 모두 5.2%(w/v)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고온내성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SK53-22 경우 세포 분열이 거듭됨에 따라 안정성이 감소하였으나, SK41-4는 30세대 세포분열 후 100.0%로서 안정성이 매우 높았다.

  • PDF

고함량 RNA 효모 변이주의 선별 및 고농도세포 유가배양 (Selection of Yeast Mutant Strain with High RNA Content and Its High Cell-Density Fed-Batch Culture.)

  • 김재범;권미정;남희섭;김재훈;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72
    • /
    • 2002
  • RNA 함량이 증가되고, 증식속도가 더 빠른 효모 변이주를 선별하기 위해, 모균주 Saccharomyces cerevisiae MTY62 세포에 화학적 돌연변이제인 ethylmethane sulfonate를 처리하여, YPD 배지에서는 잘 자라고 KCl 함유 배지에서는 자라지 않는 변이주들을 선별하였다. 이 변이주들 중 시험관 및 플라스크 배양을 통해 균체농도와 RNA 함량이 모균주 MTY62에 비해 각각 1.5배, 1.3배 증가한 M40-10 변이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변이주 M40-l0을 발효조 회분배양한 결과, 최대비증식속도는 $0.38 h^{-1}$ , RNA 농도는 3210 mg-RNA/1, RNA 함량은 183mg-RNA/g-DCW 값을 보여, 모균주에 비해 각각 23%, 15%, 12%씩 증가하였다. M40-10 변이주를 간헐적 유가배양한 결과, 최대 균체농도는 35.6 g-DCW/1을, 최대 RNA 농도는 5677mg-RNA/l을, RNA함량은 160 mg-RNA/g-DCW을 나타내어 모균주보다 우수하였다. 일정속도의 유가배양에서도 M40-10 변이주의 최대 균체농도는 46.4g-DCW/1, RNA 농도는 6270mg-RNA/1, RNA 함량은 135mg-RNA/g-DCW을 보였다. 이들 유가배양에서 배양 중반기인 20시간 전후에서는 모균주에 비해 변이주의 세포농도는 30%, RNA 농도는 10% 정도 증가되었다. 또한 유가배양 말기까지도 RNA 분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아, M40-10 변이주는 산성 RNase 활성이 크게 감소한 변이주임을 알 수 있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 D-71과 Zygosaccharomyces rouxii SR-S의 원형질체 형성과 융합 (Protoplast Formation and Fusion between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SR-S)

  • 이종수;김찬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2-149
    • /
    • 1988
  • 고온에서 고농도 기질을 발효할 수 있는 효모를 육성하고자 8%의 NaCl 내성을 갖은 고온발효성인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과 Ca-pantothenate 를 절대요구하는 내삼투압성인 Zygosaccharomyces rouxii SR-S를 친주로 하여 원형질체 형성과 융합조건을 검토하였다. Sacch. cerevisiae D-71은 YEPG 배지에 12시간 배양한 세포를 0.1mM EDTA와 0.5M sorbitol를 함유한 인산완충액(pH7.5)에 현탁시켜 1%의 2-mercaptoethanol로 10분간 전처리한 후 Zymolyase-20T 4.0mg/$m\ell$를 가하여 3$0^{\circ}C$에서 50분간 반응시켰을 때 96% 이상의 수율로 윈형질체가 형성되었고 Zygosacch. rouxii SR-S는 YEMEPG 배지에 24시간 배양한 세포를 0.1mM EDTA와 0.5~l.0M mannitol을 함유한 인산완충액(pH7.0)에 현탁시켜 1%의 2-mercaptoethanol로 10분간 전처리 한 후 Zymolyase-20T 4.0mg/$m\ell$를 가하여 3$0^{\circ}C$에서 120분간 반응시켰을 때 95% 정도의 수율로 원형질체가 형성되었다. 시험효모의 원형질체를 CaCl$_2$와 Sorbitol 및 40% 의 PEG 4000을 함유한 융합배지에 1 : 1로 혼합한 후 35$^{\circ}C$에서 20분간 처리하여 융합시킨 다음 3%의 한천을 함유한 최소배지에 중층하여 5일간 배양하였을 때 9.1$\times$$10^{-6}$의 융합빈도수를 보였다. 또한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구형의 원형질체와 융합재생된 타원형의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Ethanol내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E211의 분리 및 특성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Ethanol Tolerant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SE211)

  • 서민재;유상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6-222
    • /
    • 2002
  • 고농도의 ethanol을 갖는 청주를 생산하기 위하여 일본양조협회 Saccharomyces cerevisiae 10호 균주로부터 ethanol 내성 균주 Saccharemyces cerevisiae SE211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는 10%(v/v) ethanol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서의 성장속도가 빨랐으며, 높은 ethanol 농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하였다 또한 ethanol내성, 내삼투압성, 내열성 등이 원균주에 비해 우수하였다. 선발균주의 세포막 성분을 분석한 결과 sterol, phospholipid의 함량은 원균주와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산의 조성비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분리균주는 외부자극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진 세포내 trehalose의 함량이 원균주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선발균주의 ethanol내성 및 ethanol배지에서의 높은 성장속도는 세포막의 fatty acid및 세포내 trehalose함량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높은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되었다.

Aureobasidium pullulans 에 의한 Exopolysaccharide 생산 - 멜라닌 색소의 출현에 관한 연구 -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Appearance of Melanin Pigment -)

  • 김재형;이기영;강성홍
    • KSBB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34-142
    • /
    • 1989
  •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세포외 다속류 생성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sucrose 농도가 50 g/l 이상일 때는 기질에 의한 저해 작용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으며 실소원의 증가에 따라서 균체량은 증가하지만 세포외 다속류 생성은 최적농도 (1 g/l )까지 증가하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했으며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은 길어졌다. (2) 최대 균체 성장은 초기 pH 3.0에서 보인 반면에 세포외 다속류 생성은 초기 pH 7.5에서 최대 값은 나타내었고 최대 PH가 증가함에 따라서 효모형 비율이 증가했으며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은 pH 4.5~8까지는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지만 pH 3 이하에서는 전혀 멜라닌 색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탄소원과 실소원을 증가시켰을 때 pH 5 이하에서는 멜라닌 색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H 6에서 pH 8.5 로 pH가 높아짐에 따라 멜라닌 색소는 빨리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 용존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균체량과 세포외 다속류 생성이 증가했고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이 빨라졌으며 potassium phosphate가 전혀 들어있지 않는 배지에서는 멜라닌 색소 출현은 관찰할수가 없었다.

  • PDF

분열형 효모에서 유전자 결실에 의해 알킬화제와 3-AMINOBENZAMIDE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유전자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a New Gene Resistant to Alkylating Agents and 3-Aminobenzamide When Knocked Out in Fission Yeast)

  • 박종군;차재영;황성진;박세근;김미영;백성민;최인순;이정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9-225
    • /
    • 2002
  • 진핵세포의 염색체는 전사, 복제, 회복 등의 과정에서 관여하는 단백질의 기능으로 구조가 변하게 된다. 이때 관여하는 단백질은 DNA-단백질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단백질의 일부분은 일정한 상동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부분은 motif나 domain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SAP domain등을 들 수 있다. S. pombe genomic DNA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Arabidopsis PARP 과 KU70과 상동성을 보이는 새로운 유전자를 찾았다. 이를 SAPuvs (SAP UV Sensitive)라 명명하였으며, Ura4를 선별표지로 이용하여 S. pombe SAPuvs 유전자 결실세포를 구성하였다. SAPuvs 유전자 결실세포는 자외선 조사 실험에서 정상의 세포에 비해 현저하게 죽었다. 그러나, MMS 또는 MMS와 3AB의 처리 실험에서는 저항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SAPuvs는 DNA 상해회복에서 염색사구조 형성에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출아효모의 세포주기동안 DNA 상해에 의한 발현 유도에 미치는 DPB11 유전자의 영향 (Effect of DPBll Gene for the Transcriptional Induction by DNA Damage During Cell Cycl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선우양일;임선희;배호정;김중현;김은아;김승일;김수현;박정은;김재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6-102
    • /
    • 2002
  • S기 checkpoint기작은 DNA복제 저해나 DNA상해 등에 반응하여, S기 세포주기 정지를 일으키거나 상해 회복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전사가 유도됨으로서 진핵세포에서의 유전적인 안정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반응에 대한것ba11 변이주의 결손을 확인하기 위해서, nPB11 (DNA polymerase B possible subunit)유전자의 과다발현 효과에 대해 조사하고, HU (Hydroxyurea)와 MMS (Methyl methanesulfonate)에 대한 감수성 및 DNA상해 물질에 의한 RNR3 (Ribonulectide reductase) mRNA의 전사 유도를 조사하였다. RNR3 mRNA의 전사는 DNA합성 저해에 의해 발생한 스트레스나 화학물질에 의한 직접적 인 DNA상해 등에 의해 유도되어진다. 그 결과, dpb11-1변이주는 DNA상해 물질에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RNR3 mRNA전사유도 또한 야생형 균주에 비해 약 40% 정도 감소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dpb2-1 균주에서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DPB2와 DPB11 유전자는 복제에 대한 sensor로서, 복제 정지 요인에 대한 세포주기 반응과 전사 조절에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rotein-Protein Interaction 에 세포 내 위치 정보를 활용한 단백질 신호전달 경로 추출 알고리즘 연구 (Algorithm for extracting signaling pathways based on Protein-Protein Interaction and Protein location Information)

  • 조미경;김민경;박현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9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2호
    • /
    • pp.77-84
    • /
    • 2009
  • 단백질과 단백질의 상호작용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야이다. 효모를 이용해 two-hybrid system의 실험으로 밝혀진 약 5,000여 개의 이스트 단백질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고 단백질 신호 전달 경로 추출을 위한 LSPF 알고리즘을 최초로 제안 하였다. 세포 내 단백질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안한 LSPF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된 결과 중 의미적 상관도가 높은 것을 채택한 후 KEGG에서 제공하는 신호전달 경로와 같은 신호전달 경로를 추출하는지 비교분석 하였다. 최초로 제안된 단백질 위치정보를 이용한 신호전달 경로 찾기 연구가 발전되면 다양한 유전적 질병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고 치료제 개발에 단서를 얻을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다.

  • PDF

Pichia pastoris로부터 Toll-like Receptor 9의 세포 내 도메인 단백질의 발현과 순수분리 정제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Toll-like Receptor 9 Cytoplasmic Domain in Pichia patoris)

  • 이균영;이곤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269-273
    • /
    • 2005
  • Methylotrophic 효모 Pichia pastoris 발현시스템을 사용하여 인간 TLR9 단백질의 세포내 TIR 도메인을 발현하였다. TIR 단백질이 P. pastoris에서 발현되어 배지 속으로 분비되는 것을 SDS-PAGE로 확인하였고, 발현된 단백질을 western-blot, MALDI-TOF 질량분석으로 동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TIR 딘백질이 P. pastoris에서 안정적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발현된 단백질을 니켈 친화, 양이온교환수지,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P. pastoris를 이용한 단백질의 발현과 정제방법은 대장균에서 잘 발현되지 않는 단백질의 발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실 적응진화를 이용한 Saccharomycopsis fibuligera의 젖산에 대한 내성 증대 (Enhanced Resistance to Lactic Acid by Laboratory Adaptive Evolution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 유병혁;박은희;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88-492
    • /
    • 2016
  • S. fibuligera 균주는 생전분을 분해하는 활성이 있는 효모 균주이다. 본 연구에서는 첨가되는 젖산의 농도가 점차 증가하는 장기간 반복 회분식 배양 방법을 사용하는 적응진화를 통하여 S. fibuligera 균주의 젖산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진화된 균주인 S. fibuligera MBY1940 균주는 비성장속도 측정과 평판배지를 사용하는 성장분석을 통하여 모균주가 성장할 수 없는 젖산 농도 2.5%에 대해서도 내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젖산이 첨가된 스트레스 조건에서 모균주는 신장된 세포 형태와 세포막에 손상을 입은 것으로 보아 진화된 균주에 비해 젖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