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회수 공기온도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haracteristics of Sensible Heat Storage for Gravel (자갈의 현열축열 특성)

  • 이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64-57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크기가 서로 다른 자갈로 이루어진 3종류의 축열 매체에 대한 현열축열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종 자갈: 축열조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0^{\circ}C$와 62$^{\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 축열시간은 각각 170분과 130분이었으며, 방열시간은 각각 210분 및 250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열시 출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 온도는 공급공기의 온도가 5$0^{\circ}C$와 62$^{\circ}C$ 일 때 각각 34.5$^{\circ}C$ 및 36.5$^{\circ}C$였으며, 출구 공기온도 33$^{\circ}C$이상을 기준으로 한 열 회수 시간은 각각 100분 및 115분으로 나타났다. (2) 제 2종 자갈: 축열조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각각 175분과 140분이었고, 방열에 소요된 시간은 각각 215분 및 250분으로 나타났다. 방열과정 동안 축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온도는 공급공기의 온도가 52$^{\circ}C$$65^{\circ}C$ 일 때 각각 35$^{\circ}C$ 및 38$^{\circ}C$였다.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 33$^{\circ}C$를 기준으로 한 열 회수 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 일 각각 120분 및 140분으로 나타났다. (3) 제 3종 자갈: 축열조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가열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각각 180분과 150분이었고, 방열에 소요된 시간은 각각 240분 및 270분으로 나타났다. 방열과정 동안 축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온도는 가열 공급공기의 온도가 52$^{\circ}C$$65^{\circ}C$일 때 각각 35.5$^{\circ}C$ 및 39.5$^{\circ}C$였다. 출구 공기온도 33$^{\circ}C$이상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 회수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일 때 각각 140분 및 160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갈이 작을수록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기준온도 33$^{\circ}C$에 도달되는 시간이 길었으며, 이것은 축열조내의 공극이 작고 비중량이 커 자갈층을 가열시키는 축열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작은 자갈일수록 방열시간도 다소 길어져 회수 가능 열에너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echanism improvement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 ventilator for the thermal efficiency increment of hot-air heater (온풍난방기의 열이용효율 증대를 위한 열교환부 및 송풍기 구조개선)

  • 이기명;박규식;최성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58-563
    • /
    • 2002
  • 시설원예에서 난방장치를 사용하는 겨울철 재배 농산물의 생산비 중 난방 연료비가 30%~37% 정도를 차지하여 비중이 가장 높다. 따라서 시설원예 농가에서는 난방비를 절감하는 것이 농가소득과 직결되므로, 난방장치의 선정이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재배 농산물의 생산비 중 30%-37% 정도를 차지하는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해 기존의 온풍난방기와 다른 새로운 방식의 열교환기와 원심식 송풍블로워를 사용하는 블로워 송풍방식의 온풍난방기를 개발하고 개발된 온풍난방기의 가동으로 인한 난방 연료비 절감효과와 온실내의 균일한 온도분포를 획득하기 위해 8연동 비닐온실에서의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저 정압용의 전동기 축직결식 송풍팬을 대신하여 고 정압용의 블로워 송풍팬을 장착하고 열교환 면적을 크게 한 지그재그식 환류의 열교환실을 채용한 온풍난방기를 개발하였다. 나. 공시한 온실에서 기존 온풍난방기의 2일 가동시 DH당 연료 사용량이 평균 1.082$\ell$/$^{\circ}C$.hr 이며, 블로워 송풍방식 온풍난방기의 3일 가동시 DH당 연료 사용량은 평균 0.854$\ell$/$^{\circ}C$.hr로써 21%의 난방 연료비 절감효과가 나타났다. 다. 블로워 송풍방식 온풍난방기는 동일시간대 3$^{\circ}C$의 경시적 온도변화가 발생하였고, 기존의 은풍난방기의 동일시간대 온도변화는 최대 6.1$^{\circ}C$로 나타나 개발된 블로워 송풍방식 온풍난방기가 동일시간대 온실내의 온도변화를 크게 줄일 수 있었고 온도분포를 비교적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3$^{\circ}C$를 기준으로 한 열 회수 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 일 각각 120분 및 140분으로 나타났다. (3) 제 3종 자갈: 축열조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가열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각각 180분과 150분이었고, 방열에 소요된 시간은 각각 240분 및 270분으로 나타났다. 방열과정 동안 축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온도는 가열 공급공기의 온도가 52$^{\circ}C$$65^{\circ}C$일 때 각각 35.5$^{\circ}C$ 및 39.5$^{\circ}C$였다. 출구 공기온도 33$^{\circ}C$이상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 회수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일 때 각각 140분 및 160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갈이 작을수록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기준온도 33$^{\circ}C$에 도달되는 시간이 길었으며, 이것은 축열조내의 공극이 작고 비중량이 커 자갈층을 가열시키는 축열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작은 자갈일수록 방열시간도 다소 길어져 회수 가능 열에너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의 사고시 UO$_2$의 산화거동 연구

  • 김건식;유길성;민덕기;김은가;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727-732
    • /
    • 1995
  •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의 누수사고시 예상되는 핵연료봉의 온도상승을 SFUEL 컴퓨터 코드 분석결과에 따른 실제 $UO_2$의 산화거동을 실험하였다. 외기 온도 38$^{\circ}C$에서 환기회수가 시간당 0, 1, 2회인 조건에서 저장용기 밑바닥 구멍 크기가 2.54, 5.08, 7.62 cm인 경우의 실험결과 환기회수 0회 바닥구멍 크기 2,54 cm 일 때 약 15시간 후 건전성 상실(0.6% 무게증가)이 일어났으며 환기회수 2회 바닥구멍 크기 7.62 cm 일 때는 약 21시간 이후에 건전성 상실이 일어나 가장 느렸다. 바닥구멍 크기가 증가할수록 공기 순환비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또 외기 온도가 낮을 수록 공기 순환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PDF

Design and Estimation of Performance of Heat Regenerator for Small-scale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소형 축열식 복사관 버너시스템용 축열기 설계 및 성능평가)

  • 조한창;조길원;이용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1-176
    • /
    • 2004
  • Heat regenerator attached in small-scale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was designed using the theoretical computation code and was confirmed the performance of waste heat recovery ratio. From the computation, when ceramic ball of 4-5kg was used, temperature efficiency and available waste heat recovery ratio were predicted 80% and 70%, respectively. Similar efficiencie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using LPG. However, since exhaust gas temperature entered into regenerator was below 85$0^{\circ}C$ 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we expected, preheat air temperature was lowered below 80$0^{\circ}C$.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of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ystem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Young-Soo;Choi, Kwan-Soo;Kim, Il-So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4
    • /
    • pp.445-450
    • /
    • 2012
  • At the limited space, the air conditioning may have difficult to control temperature or humidity for home use. Nowdays, the people reponse to temperature or humidity sensitively. This becomes the Indoor Air Quality (IAQ) is an important factor for comfortably. Heat recovery ventilator (HRV) is used for the solution of inconsistency between IAQ and power-saving. Als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pplied to HRV and compared with temperature efficiency and verifying the capacity of the system. To improve the temperature efficiency a single motor and thermoelectric element with the conductive guide vane is experimented. The results shows that it can save 23 W by using the single motor. The developed system of 250 CMH capacities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reveals the temperature efficiency improvement of 4.01% in cooling period and 2.98% in heating perio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Design and Performance Estimation of Heat Regenerator for Small-scale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열처리로용 소형 축열식 복사관 버너의 축열기 설계 기술평가)

  • Cho H. C.;Cho K. W.;Lee Y. K.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3 no.4
    • /
    • pp.291-295
    • /
    • 2004
  • Heat regenerator attached in small-scale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was designed using the theoretical computation code and was confirmed the performance of waste heat recovery ratio. From the computation, when ceramic ball of 4-5kg was used, temperature efficiency and available waste heat recovery ratio were predicted 80% and 70%, respectively. Similar efficiencie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using LPG. However, since exhaust gas temperature entered into regenerator was below 850$^{\circ}C$ which was moth lower than that we expected. air preheating temperature was lowered below 800$^{\circ}C$.

Application of high temperature air combustion for improvement of thermal efficiency of oxide furnace (산화로의 열효율 향상을 위한 고온공기 연소 적용연구)

  • 이현찬;유현석;이중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
    • /
    • 2002
  • 보일러 분야에 비해 요ㆍ로 분야는 로내 온도분포, 피가열물의 물리적 특성, 고열에 의한 열처리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공정개선, 폐열회수율 등이 떨어지는 설비이다. 이에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90년 초부터 연소배가스의 폐열을 적극적으로 회수하여 연소시키는 고온공기연소기술을 개발하여 상용화하였다.(중략)

  • PDF

Nitrogen-Oxygen Separation Characteristics by Polyimide Membrane System for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CA저장을 위한 폴리이미드 막 시스템의 질소-산소 분리특성)

  • 이호원;현명택;고정삼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5 no.3
    • /
    • pp.239-246
    • /
    • 1998
  • Polyimide membrane system was designed for manufacturing nitrogen-enriched gas, and basic technical data was suggested for appling this system to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Th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pure oxygen and nitrogen could be explained by dual-mode sorption model. There was substantial decrease in the permeation rates of oxygen, which is the more permeable gas, through the polyimide membrane due to the presence of nitrogen in comparison with pure oxygen. However, the permeation rates of nitrogen was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oxygen. The ideal separation factor was in the range of 5 to 6 in the rang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difference studied, and the separation factor of air was lower than the ideal separation factor. The increase of ideal separation factor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ctivation energy for oxygen is larger than that for nitrogen. Nitrogen concentration de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product recovery, and it was found that this is a major operating factor to obtain nitrogen concentration required for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A relation equation, by which nitrogen concentration in storehouse can be predicted, was suggested under the establishment of a hypothetical model for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process using polyimide membrane system.

  • PDF

Effect of Preventive Maintenance on Performance of Air Heater in a Power Plant (계획예방정비가 발전소 공기예열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Jang, Jin-Hyung;Hong, Eun-Kee;Hwang, Kwang-Won;Yun, R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5
    • /
    • pp.465-469
    • /
    • 2010
  • Air heater used in power plant helps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by recovering the heat from the boiler flue gas and thus preventing the loss of useful hea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reventive maintena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air heater in a power plant. Performance indexes for the air heater are calculated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status of the air heater before and after preventive maintenance. The major performance indexes considered are temperature efficiency of the flue gas side, air leakage rate, heat recovery rate, heat transmission rate, and heat capacity ratio. The performance of the air heater is evaluated before and after preventive maintenance; our results show that all the abovementioned performance indexes are improved after the maintenance.

Performance of Heat Recovery System using Evaporative Cooling (증발냉각을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의 성능에 관한 연구)

  • Yoo, Seong Yeon;Kim, Tae Ho;Kim, Myung 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1
    • /
    • pp.37-43
    • /
    • 2015
  • Evaporative cooling is a very effective way for exhaust heat recovery that uses both latent heat and sensible hea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a heat recovery system using evaporative cooling. The experimental apparatus comprised a plastic heat exchanger, a water spray nozzle, an air blowing fan, a water circulation pump, and measuring sensors for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flow 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ible heat recovery without evaporation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total heat recovery with evapo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ible and total heat recoveries decreased as the air flow rate increased, and a much higher effectiveness was obtained with the counterflow arrangement in both cases. For total heat recovery, the effectiveness increased with the water flow rate, and the parallel flow arrangement was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the water flow rate than the counterflow arran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