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활동조건

Search Result 99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ffects of Wall Boundary Condition on Velocity Distribution of Shallow Water Flow (벽면경계조건이 천수흐름 유속분포에 미치는 영향)

  • Seo, Il-Won;Song, Ch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9-193
    • /
    • 2010
  • RMA-2, Telemac-2D, River2D 등 기존의 대부분 국내외 상용모형에서는 내부 경계인 하천구조물과 외부 경계인 측벽에서의 경계조건을 활동조건(slip condition)으로 가정하여 흐름장을 계산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벽면에서는 마찰력에 의해 흐름이 존재하지 않는 무활조건(no slip condition)이 물리적으로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부구조물인 교각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수평 2차원 유속분포를 구하기 위해 천수방정식을 Galerkin법과 Newton-Raphson법에 의해 이산화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Yulistiyanto 등(1998)이 수치모의 및 수리실험에 사용한 조건을 채택하여 벽면에서의 접선방향 유속이 존재하는 활동조건과 벽면에서 유속이 없는 무활조건을 부여하고 교각을 포함한 수로에서 유속, 수위 및 전단분포를 해석하였다. 활동경계조건을 적용한 경우 교각 표면을 따라 큰 유속이 분포하고 후면에서도 관성력에 의해 흐름방향 유속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무활조건을 적용한 경우 교각 후면에서 와가 형성되고 후류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무활조건을 적용한 경우 교각 전면부에서는 선수파(bow wave)가 4 cm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교각 측면부에서는 2 cm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각 후면에서는 후류의 영향으로 수면이 2 cm 낮게 분포하였다. 교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분석한 결과 무활조건을 적용한 경우가 활동조건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최대 6배 높은 전단력이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of Disabled People's Aid and Service Quality (장애인활동보조인의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Son, Myeo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1-162
    • /
    • 2018
  • 최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인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이용인을 보조하고 있는 활동보조인의 근로조건에 관한 연구와 함께 이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과의 연관성이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기에, 기존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이라는 개념에 근무조건이 하나의 요소로 적용을 시켰으나 구체적으로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근로조건이 이 서비스의 질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떠한 근로 조건이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지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추론하여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원활한 활동과 함께 보다 더 성장된 질적인 서비스가 진행 될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 PDF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elocity Conditions of Cylinder Boundary Under Low Reynolds Number (저 레이놀즈 수에서 실린더 경계 유속조건에 따른 흐름 특성)

  • Song, Chang Geun;Seo, Il Won;Kim, Tae 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6
    • /
    • pp.2267-2275
    • /
    • 2013
  • Existing conventional model for analysis of shallow water flow just assumed the internal boundary condition as free-slip, which resulted in the wrong prediction about the velocity, vorticity, water level, shear stress distribution, and time variation of drag and lift force around a structure. In this study, a finite element model that can predict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structure accurately was developed and internal boundary conditions were generalized as partial slip condition using slip length concept. Laminar flow characteristics behind circular cylinder were analyzed by varying the internal boundary conditions. The simulation results of (1) time variation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velocities, and vorticity; (2) wake length; (3) vortex shedding phenomena by slip length; (4) and mass conservation showed that the vortex shedding had never observed and laminar flow like creeping motion was occurred under free-slip condition. Assignment of partial slip condition changed the velocity distribution on the cylinder surface and influenced the magnitude of the shear stress and the occurrence of vorticity so that the period of vortex shedding was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of no slip condition. The maximum mass conservation error occurred in the case of no slip condition, which had the value of 0.73%, and there was 0.21 % reduction in the maximum mass conservation error by changing the internal boundary condition from no slip to partial slip condition.

Development of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 (SRRI) Using Fuzzy Synthetic Evaluation Method and Hydrodynamic Model (퍼지합성법과 동수역학 모형을 이용한 공간적 하천친수지수 (SRRI)의 개발)

  • Siyoon Kwon;Il Won Seo;Byungu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1-501
    • /
    • 2023
  • 하천에서의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친수활동에 대한 안전도 평가가 사고예방을 위해 중요해지고 있다. 친수 활동의 안전은 수리 및 수질 인자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기존 친수지수는 수질 인자에만 집중되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세일링, 패들링, 저동력보트 등 입수형 친수활동의 경우, 다양한 수리 현상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속, 흐름 방향, 수심 및 수면 폭 등의 수리인자를 친수지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친수활동에 위험이 되는 수리적 조건은 유량 조건과 하천의 평면적 공간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하기에 이를 공간적으로 평가하는 것 역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학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천 친수 활동에 대한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친수활동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SRRI (Spatial River Recreation Index)를 제안하였다. SRRI의 개발을 위해 1단계에서는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EFDC 동수역학모형을 이용하여 수리 인자들의 공간적 분포를 재현한 후, 2단계에서는 퍼지합성법 (FSE)를 적용하여 수리인자의 모든 소속도와 가중치를 종합하여 하천 지점별 하천친수지수를 산정하였다. 개발한 SRRI를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에 적용한 결과, 유량 및 지형 조건에 따라 각 수리인자가 친수활동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공간적으로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유향(흐름 방향)은 합류지점 부근에서 친수활동의 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반면, 사행구간에서는 수심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유량 조건에서는 유속이 세일링 및 패들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특히 세일링은 유량 변화에 민감하여 고유량시에는 주흐름부와 합류부 부근을 제외하고 일부 공간에서만 안전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무동력 및 저동력보트는 유량 변화에 덜 민감하여 고유량 조건에서도 부분적으로 허용될 수 있었지만 사행구간의 고수심부에서는 위험 등급으로 권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RRI는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을 기반으로 공간적 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이용자들이 하천에서 보다 안전한 친수활동을 즐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Male Activity in Laspeyresia pomonella (L.) in New York (온도와 광주기 조건이 코드링나방 수컷의 활동력에 마치는 영향)

  • SONG, YOO HAN;Ridel, Helmut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24 no.2 s.63
    • /
    • pp.71-77
    • /
    • 1985
  • The male activity in Laspeyresia pomonella (L.) measured by an activity recording device in New York had two distinct peaks, the first peak at lights-off and the second one at ligts-on signal, under the defined conditions of temperature above $23^{\circ}C$ and light:dark (LD) 16:8 regime. The activity initiation of the first activity was observed four to six hours prior to the onset of scotophase and seened to be entraind by lights-off cue. Under the continuous photophase (LL) the activity period freeran with a period slightly greater than 24 hours, indicating that the rhythmicity is circadian The activity pattern was measured in eigh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ranging from $11.3^{\circ}\;to\;30^{\circ}C$ under LD 16:8 regime. No activity was observed at $11.3^{\circ}C$ which seems to be temperature threshold for activity. The second peak of activity at lights-on signal disappeared at the temperature below $20^{\circ}C$ and the activity in scotophase was also suppressed at the temperature lower than $18^{\circ}C$. At the temperature range from $20^{\circ}\;to\;30^{\circ}C$,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second peak in the morning became larger and the activty in the scotophase was also increased. Because of the activity increase in the scotophase with rising temperature, the mean time of activity shifted towards the scotophase. The shift of the moth male activity period with the change of ambient temperature appears to be due to the suppression of activity under cool temperature (below $20^{\circ}C$) in scotophase.

  • PDF

Assumption of Shear Strength on Failed Discontinuities Due to Back Analysis (붕괴사면에서 역해석기법에 의한 활동면의 전단강도 추정)

  • 유병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13-227
    • /
    • 2002
  • 절토사면의 붕괴원인은 토질 및 지질조건, 지형, 강우, 지하수 및 지표수, 사면형상, 굴착 및 발파와 같은 인위적인 조건, 사면보호공 등과 같이 다양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 토질 및 지질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질조건에서 붕괴가 발생될 경우의 활동면에 대한 전단강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 역해석법에 의한 활동면의 전단강도 추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붕괴된 사면에서 화성암은 마찰각 20$^{\circ}$~30$^{\circ}$, 점착력 0~2t/$m^2$의 범위를 가지며 퇴적암에서는 마찰각 $10^{\circ}$~17$^{\circ}$, 점착력 0~2.5t/$m^2$의 범위, 변성암에서는 마찰각 $10^{\circ}$~40$^{\circ}$, 점착력 0~4.0t/$m^2$의 범위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질구별 구분에 의하면, 절리에 의해 붕괴가 발생된 경우에는 마찰각 30$^{\circ}$~40$^{\circ}$, 점착력 0~3.5t/$m^2$, 엽리면은 마찰각 30$^{\circ}$~35$^{\circ}$, 점착력 0.5~3.0t/$m^2$, 단층면은 마찰각 11$^{\circ}$~38$^{\circ}$, 점착력 0~3.0t/$m^2$, 층리면은 마찰각 $10^{\circ}$~17$^{\circ}$, 점착력 0~2.5t/$m^2$ 정도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양치유 옥외활동을 위한 기후환경 조건에 관한 연구

  • Im, Deok-Min;Lee, Han-Seok;Gang, Yeong-Hun;Do,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92-293
    • /
    • 2018
  • 여가생활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웰니스와 휴양과 관련한 컨텐츠가 요구되면서 산림치유, 해양치유와 같은 헬스 투어리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과 바다를 모두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치유산업의 발전가능성이 충분하고 치유자원 발굴, 효능에 관련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해양치유시설은 프로그램에 맞게 제어 가능한 실내에 비해 옥외활동에는 가능한 시간, 기후가 한정되어 있으며 지역특성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확한 기준이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치유 옥외활동에 적합한 기후환경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해 온열환경, 풍환경, 공기환경 및 체감온도, 불쾌지수와 같은 생활지수와 같은 항목을 정리하고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옥외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 기후 등 판단기준을 작성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Acute Soccer Game on Serum Levels of Neurotrophins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Male Adolescents (1회성 축구활동이 남자 청소년의 혈청 neurotrophins 수준과 신경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Yang, Jung-Su;Yoo, Shin-Hwan;Cho, Su-Youn;Roh, Hee-T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2 no.11
    • /
    • pp.1444-1450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soccer game on serum levels of neurotrophins and neurocognitive func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15 healthy male adolescents. The subjects underwent two experiments: one experiment in the soccer game treatment (SOC) condition, and the other in the self-study treatment (CON) condi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times: before treatment (Pre), after treatment (Post), and 2 hours post treatment (Post-2 h) for the analyses of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nerve growth factor (NGF),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For the measurements of neurocognitive functions, the Stroop Color-Word test was performed at blood collecting tim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erum levels of BDNF, NGF, and IGF-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soccer game (p<0.05), and significantly higher in SOC than CON at Post (p<0.05). In the Stroop Color-Word test,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were observed in SOC at Post (p<0.05), and significantly higher in SOC than in CON at Post and Post-2 h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te soccer game has positive effects on neurocognitive functions by increasing the neurotrophins.

Cyber Security Considerations for the NPP Digital I&C (원전 디지털 계측제어계통 사이버보안 방안 고찰)

  • Choi, Yoo-Rark;Lee, Jae-Cheol;Choi, Young-Soo;Hong, Seok-Bo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531-536
    • /
    • 2009
  • 원전 디지털 계측제어계통 통신망에서는 일반 산업체의 사이버보안과는 달리 안전성과 가용성, 그리고 경성실시간 조건을 매우 중시하면서도 일반 IT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이버보안 기술의 대부분을 수용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사이버보안 활동은 원전 디지털 계측제어계통 통신망에서 요구하는 통신망의 성능 조건을 저해하지 않아야만 하는데, 이러한 요구 조건들은 서로 상충되는 측면들이 있다. 원전 디지털 계측제어계통 사이버보안을 위한 보안기술들이 계측제어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통신망에 적용될수록 이들의 성능은 저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이버보안에 대한 위협이 일반 산업계는 물론 국가 핵심 기반 시설까지 확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안전성이 가장 우선시되는 원전의 핵심 제어계통인 원전 디지털 계측제어계통에 대한 사이버보안 활동은 매우 주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원전 디지털 계측제어계통 사이버보안에 활동 수행에 필요한 고려사항들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 Kim, Hee-Kyong;Song, Jin-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6
    • /
    • pp.1216-1234
    • /
    • 2004
  • School science practical work is often criticized as lacking key elements of authentic science, such as peer argumentation or debate through which social consensus is obtain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cent studies about the argumentation and to explore the conditions and the model of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hich is specially designed open inquiry in order to facilitate students' peer argumentation. For this purpose,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as the way of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was developed. The conditions for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ere found to be the following: multiple arguments, students' own claims, opportunities for oral and written argumentation, equal status of debaters, and community of cooperative competition. For these conditions, the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as organized into experiment activities and argumentation activities. During argumentation activity,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advance written argumentation through writing a group report for peer review and oral argumentation through a critical discussion. Through the argumentation between groups and in group, the students' arguments would be elaborated repeatedly. The feedback from argumentation links experiment activities to argumentation activities. Hence, the whole process of this inquiry model is circ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