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염문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6초

RuO2를 양전극으로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에서의 이산화염소수 제조 (Preparation of Chlorine Dioxide Aqueous Solution by 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using RuO2 anode)

  • 권태옥;박보배;노현철;문일식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296-300
    • /
    • 2009
  • $RuO_2/Ti$를 양전극으로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시스템에서의 이산화염소수($ClO_2$) 제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염소의 전구체로는 아염소산나트륨($NaClO_2$)이 사용되었으며, 무격막 전해셀에서 전구체 용액의 전해셀 주입유량, 전구체 용액 초기 pH, 아염소산나트륨과 전해질인 염화나트륨의 주입농도 그리고 전류밀도(current density)가 생성된 이산화염소수의 농도 및 p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성된 이산화염소수의 농도와 pH는 초기 전구체 용액의 pH와 전해셀 주입유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해질로 사용된 염화나트륨은 전해질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염소의 전구체로도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산화염소수 제조를 위한 무격막 전해셀에서의 전구체용액의 최적 주입유량은 90 mL/min, 전구체 용액의 초기 pH는 2.3, 아염소산나트륨 주입농도는 4.7 mM, 염화나트륨 주입농도는 100 mM 그리고 전류밀도는 $5A/dm^2$로 나타났으며, 이때 발생된 이산화염소수의 pH는 약 3, 이산화염소 농도는 약 350 mg/L이었다.

공동주택 세대 현관 방화문 구조 및 성능에 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n the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the Front Door in Apartment Housing)

  • 심한영;박원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5-123
    • /
    • 2022
  • 최근 10년간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 중 공동주택이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화재 확산 방지와 피난을 위해 방화문의 내화성능과 성능설계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화재성능시험을 통과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품질검사보고서 395건의 DB를 구축하고 방화문의 구조(12개 요소)를 분석을 통하여 방화문 성능영향인자를 도출하였다. 결과로서, 287건의 합격사례에서 내화충진재와 밀도, 접착제, 발포제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한편, 불합격 사례 108건에서 화염발생과 틈새발생이 방화문 내화시험에서 가장 큰 불합격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방화문은 내화성능 불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합자재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구성 요소들의 위치 등 형태를 정형화하여 일률적인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DB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주택의 대피공간문 및 공용부 방화문에 대하여도 추가적인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화재 탈출 체험 VR 게임 개발과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VR Game to Experience the Fire Evacuation and its Effect Analysis)

  • 김경식;박용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3-16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물 화재의 위급한 현장 속에서 침착하면서도 신속하게 탈출해야하는 상황을 가상 체험하는 VR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였다. 사용자는 바이브(VIVE) 양손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화재 건물 속에서 방화문과 계단, 복도을 통해 출구로 탈출해야한다. 화염이나 연기로 인하여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면 돌아서서 다른 통로로 진행할 수 있다. 호서대의 한 건물을 모델링 하였으며, 학생들에게 본 게임을 체험시키고 사용성과 효과성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하여 그 반응 결과를 분석하였다.

화재 사례 해석을 위한 전기다리미 소훼흔 실험

  • 문용수;서문수철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1
    • /
    • 2005
  • 본 실험은 화재현장에서 발견된 소훼된 전기다리미 내부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이 꺼짐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와 다리미에 접촉된 바닥재가 소실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의 과열 출화흔을 확인키 위해 조건별 A, B, C로 구분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중인 전기 다리미를 면셔츠 위에 1시간 정도 방치한 정도로는 자체 과열 발화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내부 안정장치(바이메탈 스위치, 온도휴즈 등)를 제거하여 자체과열 시킨 다리미의 경우 외부 화염으로 소훼시킨 다리미에 비해 발열선 주변과 발열판 바닥이 심하게 용융된 특징점을 발견하였으나, 실험의 조건상 바닥재 탄화소실정도에 대한 과열 특징점은 명확히 구분치 못하였다.

  • PDF

고구려고분벽화에 나타난 장식문양 연구 (A Study of Decorative Pattern Shown in e Mural Painting of Koguryo Dynasty′s Tomb)

  • 안창현
    • 복식
    • /
    • 제53권4호
    • /
    • pp.131-148
    • /
    • 2003
  • Mural Painting of Koguryo Dynasty. root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has 5 types of pattern in its 24tombs: Fire pattern. Sun . Moon pattern, Flying angel pattern. Hill.Tree pattern, Holy animal bird Pattern. These patterns had developed specially in 3 regions that are Hwanghae-region, Pyongan-region, Jipan-region. from 4th-7th Century. A lot of fire pattern has found at Pyongan-region in 5th century. The ceiling right above 'Dori' frequently had the pattern. The pattern is organized in 'Kyoho' method. The sun.moon pattern was shown in Pyongan-region in 5th century. '3-leg bird'. representative of sun, and frog, representative of moon. were drawn in the pattern in 6th century, rabbit was added with frog in the pattern. Flying angel pattern had found most in Jipan region in 5th century. The pattern was not found in 4th century. Two types of the pattern are angels playing $$\mu$ical instruments and angels preying. The hill tree pattern was simple, antique, and immature in the beginning. the pattern had developed with real description as a landscape picture after the beginning. this pattern has been categorized as a landscape painting. Holy animal and bird patternn had placed in supporting rock between ceiling and floor with the mean of protection in after life These pattern, which were previously influenced by Chines culture, were developed with a base of Koguryo own tradition and supported establishment of a characterized Koguryo Cloture. This study will be a basic document for modern fashion industry of 21 century.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기반 실시간 자동재난 및 안내방송시스템의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Automatic Disaster and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 이병문;박정인;강운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141-152
    • /
    • 2012
  • 극장이나 대형 빌딩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화재감지기 기반의 피난 유도시스템은 대체적으로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영되어 화재 발생 시 선로와 센서의 손실로 주 장치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정확한 발화위치 및 화재 진행위치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실시간으로 화재경보 사이렌과 상황에 맞는 최적의 피난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관리 안내방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객체지향 기법으로 설계하여 재난안내시스템과 시뮬레이션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실제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화재센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건물 내의 LCD에 피난유도를 위한 정보(발생지점, 발생시간, 대피경로)를 출력하는 시뮬레이션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염연기 확산경로를 고려한 최적의 재난대피경로를 찾는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 제안한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내열/차연성 방화제품의 내열 코팅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the Heat-resisting Coating of High Heat-resisting/Smoke Retardancy Fireproof Fabrics and Products)

  • 김상룡;김상욱;이도현;민문홍;손현식;안승국;배진화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97-97
    • /
    • 2011
  • 현대사회에서 화재에 의한 물적 피해는 물론 인적피해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희생자의 사망원인이 종래에는 화재시 발생한 열에 의한 화상을 중심으로 하는 소사였지만, 최근에는 화염보다 독성가스로 인하여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희생자는 거의 화상을 확인할 수 없거나 화상자이더라도 혈액 중에서 일산화탄소를 중심으로 한 유독가스가 확인되기 때문에 이들 유독가스의 흡입으로 인하여 행동불능상태 이후 열의 영향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규모 건축물에 있어서는 화재발생시 유독가스가 건물 전체로 연소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하거나 계단실 등과 다른 부분 또는 층별 등으로 구획하고 있으며, 국내의 방화구획은 크게 다른 층으로 화재전파를 막기 위한 층간 방화구획, 연소면적을 제한하기 위한 면적별 방화구획, 다른 용도로 인한 화재 위험성 감소를 위해 용도별 방화구획으로 3가지를 법에서 채택하고 있다. 방화구획은 방화문 또는 자동방화셔터를 이용하거나, 내부구조의 바닥, 벽, 각종 방화문으로 구획할 것을 정하고 있다.(피난방화규칙 제14조) 본 연구에서는 철제방화셔터 대체용으로 직물방화셔터용의 실리카 소재를 이용하여 제직한 직물에 내열/차연 기능성 코팅의 공정 조건을 변화하여 최종 방화시험을 거치기 전 내열성 테스트중 하나인 불꽃열 통과량 실험을 실행하여 방화 직물의 내열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내열/차연성 방화 제품 기술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자동차압 · 과압조절형댐퍼의 누설량 실험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Leakage of Automatic Pressure Differential · Overpressure Control Dampers)

  • 신평식;김학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71-75
    • /
    • 2015
  • 최근 건축물은 대형화, 고층화되어 화재발생시 소방대의 활동이 제한되어 화염 및 연기에 의한 인명피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인명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제연설비가 필수적이며 특별피난계단 부속실 및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급기 가압제연설비를 적용하고 있다. 국가 화재안전기준에서는 부속실 및 승강장과 거실과의 차압을 40 Pa~60 Pa을 요구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60 Pa 이상의 과압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과압의 원인은 댐퍼의 누설량의 과다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압은 피난자의 문개방을 어렵게 하여 피난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확인하고자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압 과압조절형댐퍼의 누설량을 측정하여 실제 누설량이 얼마인지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제조사 별로 최대 누설량은 $0.154m^3/s$로 나타났으며, 최소 누설량은 $0.090m^3/s$로 나타났다. 이 누설량으로 인하여 과압이 발생하면 피난문 폐쇄력이 증가하여 피난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댐퍼의 누설량 제한 기준이 필요하다.

고층 공동주택의 세대 내 피난시설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cuation Equipments for Units in High-rise Apartment)

  • 민세홍;사재천;장영진;이재문;남중오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83-186
    • /
    • 2011
  • 모든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피난시설은 고층부분에서 사용의 제한, 세대 간 보안 및 사용자의 제약 등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되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공동주택의 용도 특성상 조기 피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화재 때문에 세대 내 출구가 폐쇄되고 재해약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우며, 화염과 복사열로부터 안전을 해결하기에는 현재 공동주택에서 보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완강기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피난방법이 적용된 피난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난대피시설"은 공동주택 발코니 또는 외벽에 콤팩트(compact)하게 접혀 있다가 화재 시 수동 또는 감지기와 연동해 쉽게 작동되어 대피공간 용도와 유사시 자력으로 피난층까지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화재실과 접하는 부분은 $1,200^{\circ}C$의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소재로 구성되며 1차적으로는 화재 장소에서 외부 공간으로 일탈한 후에 2차적으로 아래층으로 사다리를 이용하여 피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연구개발의 주안점은 화재 시화염과 복사열로부터 공간 일탈을 하여 재실자를 보호할 수 있는 대피공간의 개념과 피난시설에서 피난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적극적인 피난방법을 접목한 것이 피난시설 개발의 핵심이다.

  • PDF

아염소산나트륨의 무격막 전기분해에 의한 이산화염소 생성: 양전극 재질에 따른 영향 (Electrochemical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from Sodium Chlorite Using 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Effect of Anode Materials)

  • 권태옥;박보배;노현철;문일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275-282
    • /
    • 2010
  • 아염소산나트륨($NaClO_2$)의 무격막 전기분해(un-divided electrolysis)에 의한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_2$) 제조에서 양전극(anode) 재질에 따른 이산화염소수 발생특성을 조사하였다. 양전극으로는 $IrO_2$-coated Ti, $RuO_2$-coated Ti,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음전극으로는 Pt-coated Ti 전극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양전극을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시스템에서 이산화염소의 전구체인 아염소산나트륨 ($NaClO_2$) 농도, 전해질로 사용된 염화나트륨(NaCl) 농도 그리고 전구체 용액의 전해셀 체류시간(cell residence time;$t_R$), 전구체 용액의 초기 pH 그리고 무격막 전해셀에 공급된 전류(current; A)와 같은 운전 파라미터가 이산화염소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IrO_2$-coated Ti, $RuO_2$-coated Ti 그리고 DSA 양전극 시스템에서 최적 전해셀 체류시간은 각각 약 2.27, 1.52, 1.52 s, 전구체 용액의 초기 pH는 약 2.3, 최적 아염소산나트륨 농도는 $IrO_2$-coated Ti와 $RuO_2$-coated Ti 양전극 시스템이 약 0.43 g/L, DSA 양전극 시스템이 약 0.32 g/L 그리고 최적전해질 농도는 약 5.85 g/L로 나타났으며 무격막 전해셀에 공급된 최적 전류는 약 0.6 A로 나타났다. 산출된 최적 무격막 전해셀 조건에서 이산화염소수 발생을 위한 $IrO_2$-coated Ti, $RuO_2$-coated Ti 그리고 DSA 양전극 시스템의 전류효율(current efficiency; C.E.%)과 에너지 소모율(energy consumption; E.C. $W{\cdot}hr/g-ClO_2$)은 각각 약 79.80, 114.70, 70.99% 그리고 1.38, 1.03, $1.61W{\cdot}hr/g-ClO_2$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