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홍삼 추출물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6초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홍삼박 n-hexane 추출물과 Arginine의 병용 효과 (Combinatorial effects of arginine and n-hexane extract from Korean red ginseng marc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337-34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항충치 활성을 보이는 지용성의 홍삼박 n-hexane 추출물과 수용성의 arginine의 병용이 S. mutan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heckerboard assay로 분석한 결과, 홍삼박 n-hexane 추출물과 arginine은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0.396으로 S. mutans의 생육 저해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과 arginine의 병용은 핵산 성분의 유출과 생균수의 감소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모두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였다. 결론적으로 S. mutans의 생육 저해에 대한 홍삼박 n-hexane 추출물과 arginine의 시너지 효과는 주로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이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홍삼 추출물이 두부의 저장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 이정숙;김교남;장해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97-1506
    • /
    • 2008
  •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 그리고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대두를 기준으로 홍삼 추출물을 $0.5{\sim}2%$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와 첨가하지 않은 두부의 물성, 색도, 관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부의 texture는 견고성과 탄력성에서만 홍삼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홍삼 추출물을 2% 첨가한 두부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고, 두부의 색도는 L, a, b값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color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홍삼 특유의 맛이 유의적으로 감지되면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통계상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아 홍삼 추출물의 첨가가 소비자의 기호에 특별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부를 $15^{\circ}C$에서 보관하면서 pH, 탁도 그리고 총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에는 변화가 없다가 pH와 총 균수는 저장 4일부터, 탁도는 저장 6일부터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홍삼 추출물이 첨가된 두부가 홍삼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두부보다 미생물 생육이 억제되어 두부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ORAC assay를 이용한 두부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된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antioxidan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ORACOH. assay에서 는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pro-oxidant 활성을 보여 주었다.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 중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Soft Tofu Manufactured with Red Ginseng Extract during Storage)

  • 황종현;이경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78-483
    • /
    • 2014
  • 생리적 기능성을 함유하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압착 성형 공정 없는 연두부의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605.25{\mu}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을 첨가군의 함량은 $598.51{\sim}681.65{\mu}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함량에 비례하였다. 대조군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6.42 mg%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5.74~7.67 mg%로 대조군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 화합물 및 ascorbic acid의 변화를 보면 저장기간 내내 대체적으로 대조군보다는 홍삼 추출물 첨가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 대조군은 O.D.값이 0.2781로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O.D.값이 각각 0.3260~0.3477로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어 홍삼 첨가가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내내 높은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은 대조군은 20.54 AEAC이었으나, 홍삼추출물 첨가군은 20.63~20.86 AEAC로 홍삼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추출물에 의한 유전독성 감소효과(II) -배양 NIH3T3 세포에서 MMS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 처리효과 (Decrease of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I) -Decrease of MMS- induced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n Cul tared NIH3T3 Cells)

  • 차재영;유병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7-99
    • /
    • 1998
  • 알킬화제인 MMS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세포계에서 분석하였다. 1mM의 MMS를 30분간 처리한 후 정상 배지에서 배양한 시간간격에 따라 세포의 생존률은 증가하였는데 홍삼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는 약 17%정도 증가한 생존률을 보였다. MMS 처리 후 감소된 DNA 복제가 정상배지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도 홍삼추출물을 후처리할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MMS 상해를 회복하기 위한 절제회복능은 홍삼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절제회복과정 중 효소에 의한 절제단계가 홍삼추출물 처리에 의해 활성화됨을 단사절단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자외선 상해의 경우와 비해서 MMS 상해의 절제단계를 활성화하는 홍삼의 효과는 약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나, MMS 상해회복의 전과정에 대한 홍삼의 효과는 자외선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며, MMS 상해에 의한 DNA 복제억제의 완화나 세포생존률은 자외선의 그것들보다 홍삼에 의해 더 증가된 측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추출물이 MMS 상해의 절제회복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따라서 유전독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제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홍삼 추출물 첨가 혼합 발효유의 특성 (Properties of the Mixed Fermentation Milk Added with Red Ginseng Extract)

  • 배형철;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7-135
    • /
    • 2006
  • 우유와 두유를 2:1로 혼합하고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고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하여 발효 특성을 시험하였다. 2종류의 스타터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 15시간 후 pH는 $3.90{\sim}3.94$ 사이로 나타나 산 생성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균수는 증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50를 스타터로 사용한 균에서 1.0% 홍삼 추출물 첨가량은 $6.26{\times}10^8\;cfu/m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배양 12시간 이후에 대조구에서는 감소하는 반면 홍삼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젖산균수는 계속해서 최대균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유기산 생성은 lactic acid인 경우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에서 1.0% 홍삼 추출물 첨가구에서 332.22 mM로 가장 높았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lactic acid의 생성량도 증가되었다. 당 분해율은 두 균주 모두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tachylose의 분해율이 증가하였고,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 균주의 경우 stachylose의 분해율이 최대 19%인 반면,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의 경우 stachylose의 최대 분해율은 54%로서 분해율이 월등히 높았다. 점도는 홍삼추출물 첨가량이 1.0% 첨가구에서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 각각 780 cP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0.2%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고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를 스타터로 사용한 발효유가 $4.14{\pm}0.64$로 기호도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연두부의 저장 중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oft Tofu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during Storage)

  • 최구희;김규천;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14-420
    • /
    • 2010
  • 저장성, 영양성 및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생리적 기능성이 널리 알려진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압착 성형 공정 없는 연두부의 형태로 제조하여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저장성, 이화학적, 항산화 활성 변화 및 관능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연두부 대조군의 pH 및 산도는 홍삼추출물 첨가 연두부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도 거의 없었다. 또한 일반세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도 대조군은 저장 10일차부터 약간의 일반세균이 발견되었으나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연두부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균수 또는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두부의 색도는 명도 및 적색도는 홍삼 추출물 첨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연두부의 조직감은 홍삼 추출물 첨가 유무에 크게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두부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보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을 때 억제능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에 대한 편견때문에 0.20% 이상의 홍삼 추출물 첨가군에서는 다소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0.18% 첨가군까지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를 유발하는 Streptococcus mutans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hexane extract from Korean red ginseng marc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causing dental caries)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57-3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홍삼의 항충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효과, 균체 부착과 생물막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S. mutans의 생육이 저해되었으며,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MIC=125 ㎍/mL).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이 세포막에 작용하여 세포의 핵산 성분이 유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 S. mutans의 부착과 생물막 형성을 90% 이상 저해하였다. GTase 활성은 50 ㎍/mL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S. mutans의 생육과 생물막 형성을 공통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의 pH 조정에 의한 홍삼 추출물 첨가가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와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Growth of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H Controled Medium)

  • 배형철;이조윤;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7-264
    • /
    • 2005
  • 홍삼 추출물이 유산간균 3종(L. acidophilus, L. casei 및 L. salivarius ssp. salivarius)과 병원성 균으로서 E. coli 및 L. monocytogenes에 대한 성장 촉진과 억제 효과를 홍삼 추출물 0, 1, 2, 5와 $10\%$ 농도로 조사하였으며, 홍삼 추출물에 의한 pH 저하를 buffer제를 사용하여 조정하고 미생물의 성장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유산간균 3종의 경우 홍삼 추출물 $1\%$ 농도까지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2\%$이상의 홍삼 추출물 첨가 시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산균의 성장도 둔화되었다. E. coli의 경우 홍삼 추출물이 $1\%$부터 높아질수록 성장이 억제되었고, L. monocytogenes의 경우 $5\%$ 이상의 처리구에서 억제 효과가 있었다. Buffer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하고 홍삼 추출물을 $10\%$ 첨가한 구와 pH를 조정하지 않은 구를 비교하여 보면 유산간균과 병원성 균의 성장이 두 구간에 모두 억제되므로 미생물의 억제 효과가 홍삼 추출물 중의 유기산에 의한 pH 저하가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억제 효과는 홍삼 추출물 중 다른 유효성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방사선에 조사된 생쥐의 간 및 신장에서 홍삼 추출물의 방어효과

  • 박영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0-125
    • /
    • 1992
  • 홍삼 추출물의 방사선(5Gy)에 조사된 생쥐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ICR계 생쥐를 대상으로 생리적 식염수구를 대구조로 하여, 홍삼 엑기스를 살균수 $10m{\ell}$에 50mg에 녹여, 매일 각각 $0.1m{\ell}$씩 10일간 복강내에 홍삼추출물 투여구와 방사선만을 조사한구 및 홍삼추출물 투여 후 방사선 조사구등 4그로 나누어 1일, 4일, 9일, 17일 및 30일 등 5회에 걸쳐 생체의 조직 중 간, 신장에서의 GOT, GPT의 활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얻었다. GOT의 활성도 변화는 간, 신장에서 초기에 현저히 증가했으며 이후 회복하는 경향이었다. 방사선 조사구들에서는 홍삼추출물 투여구가 방사선만 조사한구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경향이었다. GPT 활성도 변화는 간, 신장에서 모두 초기에 증가하다가 점차 회복하는 경향이었으며 홍삼추출물 투여 후 방사선 조사구가 방사선만 조사한구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홍삼 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기인된 간 및 신장의 GOT와 GPT 활성도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홍삼 추출물에 의한 유전독성 감소효과 (I) - 배양 NIH3T3 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 처리효과 (Decrease of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 - Decrease of UV -induced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n Cultured NIH3T3 Cells)

  • 김완주;유병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4-86
    • /
    • 1998
  •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세포계에서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정상 배지에서 배양한 시간간격에 따라 세포의 생존률은 증가하였는데 홍삼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는 약 15%정도 증가한 생존률을 보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감소된 DNA복제가 정상배지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도 홍삼추출물을 후처리할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자외선 상해를 회복하기 위한 절제회복능은 홍삼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절제회복과정 중 효소에 의한 절제단계가 홍삼추출물 처리에 의해 활성화됨을 단사절단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추출물이 자외선 상해의 절제회복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따라서 유전독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제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