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rease of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I) -Decrease of MMS- induced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n Cul tared NIH3T3 Cells

홍삼 추출물에 의한 유전독성 감소효과(II) -배양 NIH3T3 세포에서 MMS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 처리효과

  • 차재영 (원광대학교 의약자원 연구센타) ;
  • 유병수 (원광대학교 의약자원 연구센타, 한국과학기술원생물과학과, 소망화장품, 소망화장품, 소망화장품, 소망화장품, 소망화장품)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red ginseng root extract on the derease of MMS-induced gemotoxicity in cultured NIH3T3 cells. The increase in survival and the recovery from DNA synthesis inhibition in MMS-treated cells as a function of normal medium incubation time was potentiated, at a rate higher than those in UV-irradiated cells, by the presence of the ginseng extract. The extract also increased the MMS-induced excision repair as determined by unscheduled DNA synthesis. The amount of MMS-induced DNA single strand breads that are accumulated by polymerase inhibitors was increased, but as a rate lower rate than in UV-induced strand break, by the presence of the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d ginseng extract increase MMS-induced repair and could be used as a reagent for protectiong alkylating agent-induced 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알킬화제인 MMS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세포계에서 분석하였다. 1mM의 MMS를 30분간 처리한 후 정상 배지에서 배양한 시간간격에 따라 세포의 생존률은 증가하였는데 홍삼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는 약 17%정도 증가한 생존률을 보였다. MMS 처리 후 감소된 DNA 복제가 정상배지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도 홍삼추출물을 후처리할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MMS 상해를 회복하기 위한 절제회복능은 홍삼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절제회복과정 중 효소에 의한 절제단계가 홍삼추출물 처리에 의해 활성화됨을 단사절단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자외선 상해의 경우와 비해서 MMS 상해의 절제단계를 활성화하는 홍삼의 효과는 약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나, MMS 상해회복의 전과정에 대한 홍삼의 효과는 자외선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며, MMS 상해에 의한 DNA 복제억제의 완화나 세포생존률은 자외선의 그것들보다 홍삼에 의해 더 증가된 측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추출물이 MMS 상해의 절제회복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따라서 유전독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제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DNA repair and mutagenesis Friedberg, E.C.;G.C. Walker;W. Siede
  2. Neoplasma (BRATISL) v.35 no.1 Gorbacheva, L.B.;G.V. Kukushkina;A.D. Durdeva;N.A. Ponomarenko
  3. J. Biol. Chem. v.257 Miller, M.R.;D.N. Chinault
  4. Cancer Res. v.34 Regan, J.E.;R.B. Setlow
  5. Annu. Rev. Biochem. v.48 Hanawalt, P.C.;P.K. Cooper;A.K. Ganesan;C.A. Smith
  6. Biochem. Biophys. Res. Comm. v.104 Seki, S.;M. Ohashi;H. Ogura;T. Oda
  7. J. Biol. Chem. v.260 Yamada, K;F. Hanaoka;M. Yamada
  8. Cell Biol.Toxicol. v.7 no.1 Park, I.S.;J.K. Park;H.Y. Koh;S.D. Park
  9. Planta Med. v.63 no.5 Kim, H.J.;Chun Y.J.;Park J.D.;Kim S.I.;Rho J.K.;Jeong T.C.
  10. In Vivo v.7 no.5 Kim, S.H.;Ho C.K.;Yoo S.Y.;Koh K.H.;Yun H.G.;Kim T.H.
  11. Izv Akad Nauk Ser Biol v.1 Salikhova R.A.;Umnova N.V.;Fomina M.M.;Poroshenko G.G.
  12. Planta Med v.57 no.2 Rhee Y.H.;Ahn J.H.;Choe J.;Kang K.W.;Joe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