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파초지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2초

혼파초지에서 봄철 예취방법에 따른 목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비교연구 IV. 1차 이용시기와 재생기간이 목초의 건물생산성 , 경엽분포비율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the Grass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as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Sprin (Studies on the Grass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as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Spring IV. Effects of the first harvesting times and regrowth periods on dry matter productivity, leaf : stem ratio and nutritive value of grasses.)

  • 이종경;서성;한영춘;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20
    • /
    • 1990
  • 본 실험은 혼파초지에서 봄철 1차 이용시기와 1차 이용후 재생기간에 따른 목초의 일당 건물생산량, 경엽분포비율, 일반성분함량 및 세포벽 구성물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차 이용시기(주구)를 영양생장기(초장 25-30cm), 절간신장기(초장 40~50cm) 및 출수기(초장 60~70cm)로 하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세구)을 20, 30 및 40일로 하여 1987년도와 1988년도 2개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이용시 일당생산량은 늦게 이용할수록 증가하나 2차 이용후부터는 감소하여 1차 이용을 빨리 하는 것이 좋았으며, 재생기간은 건물생산량 측면에서 20일은 너무 짧고 40일은 너무 길어 30일이 가장 유리하였다. 목초 경엽분포비율은 1차 이용을 일찍 할수록,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을 짧게 할수록 잎의 비율은 증가하고 줄기의 비율은 감소하여 사료가치는 증진되었다. 목장의 사료가치(일반성분함량과 제포벽구성물질)도 1차 이용을 영양생장기로 일찍 할수록,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을 짧게 할수록 증가하였다. 조사자질생산량은 1차이용을 늦게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2차 이용시부터는 상살되었으며, 재생기간 30일에서 조사자질생산량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초지에서 목초의 양호한 재생, 건물생산성, 수절생산성 및 사료가치 등을 고려해볼 때 봄철 1차 이용은 가급적 일찍하는 것이, 그리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은 1차 이용시기에 관계 없이 30일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Turf Grass 초종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Turf Grasses)

  • 이형석;이인덕;이중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7-192
    • /
    • 2003
  • 본 시험은 국내에 도입된 잔디형(turf type) 초종을 공시하여 이들 초종의 수량과 사료가치 등을 상호 비교하여 혼파초지를 조성하는데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1999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잔디형 초종은 Kentucky bluegrass(Newport), red fescue(Salem), creeping bentgrass(Crenshaw), perennial ryegrass(Palmer II), tall fescue(Rebell Jr.) 및 redtop(Barricuda) 등 6초종 이었으며,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 평균 ha당 건물수량은 tall fescue (11,439kg)와 red top(11,312kg)이 다른 초종에 비하여 높았다(P <0.05). 2. 조단백질 함량과 건물소화율이 높은 초종은 creeping bentgrass, perennial ryegrass 및 Kentucky blueuass 등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초종은 redtop, red fescue 및 tall fescue 이었다. 3. 3년 평균 ha당 조단백질 수량(CPDM)은 Kentucky bluegrass(2,329kg)와 redtop(2,300kg)이 높았던 반면에, red fescue(1,646kg)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가소화건물수량(DDM)은 tall fescue(8,995kg)와 redtop(8,896kg)이 높았던 반면에, creeping bentgrass(7,152kg)와 red fascue(6,966kg)는 낮은 편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혼파초지에 보조초종으로 기대되는 잔디형 초종은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redtop 이라 하겠다.

맥종간 혼파재배시 생육,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Seed Blending Effect on Growth, Yield and Feed Value among Four Winter Cereals for Whole Crop Silage)

  • 주정일;이승수;유지홍;이정준;박기훈;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3-214
    • /
    • 2008
  • 조사료 생산에 유망한 동계작물 중 보리, 밀, 귀리(월동 가능), 트리티케일(라이밀) 등 4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보리를 주품종으로 한 혼파재배시 조사료 생산 증대 효과를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식물체의 건물중과 이삭크기 등으로 볼 때 혼파재배시 보리의 생육이 저하되는 작물은 트리티케일이 가장 심하였고, 다음은 밀이었으며, 귀리는 생육차이가 없었다. 보리를 주품종으로 하고 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과의 혼파재배시 이삭수 증가 또는 보조작물의 생체량 증가 등에 의하여 총 생체수량은 증수되었으나 보조작물의 건물율이 낮아 건물수량은 증수되지 않았다. 청보리와 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과의 혼파재배시 NDF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ADF 함량과 DDM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상대적 사료가치는 보리와 밀의 혼파재배에서 높아졌으나, 보리와 트리티케일, 보리와 귀리와의 혼파재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중부지방에서 보리와 혼파재배시 조사료 생산 증대 가능성이 높은 작물로는 밀이나 트리티케일에 비하여 분얼력이 왕성하고 출수기의 차이에 의한 생육단계의 상이한 진행 등의 장점과 풍엽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귀리가 유망하였다.

혼파초지의 이용방법 비교시험 I. 방목 및 예취이용에 따른 목초생산성과 식생구성 변화 (Trials of the Utilization Method in Mixtures Swards I. Effects of graz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for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 신재순;박근제;이필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6-102
    • /
    • 1989
  • Thi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az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at different legumes sown swards of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from Aug. 1985 to Oct. 1988.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Dry matter yield of cutting management (1213.0 kg/lOa) was higher by 19% than that of grazing management (1016.8 kg/lOa). Yield of pasture mixtures including alfalfa both cutting and grazing were higher than those including ladino clover and red clover. Yield under grazing was inferior to cutting in the first year but superior in the second year. 2. Seasonal dry matter production under grazing showed 5 1% in spring, 33% in summer and 16% in autumn, but under cutting showed 46% in spring, 42% in summer and 12% in autumn. 3. Daily dry matter production per 10a under grazing is decreased 5.9 kg in spring, 5.5 kg in summer and 3.7 kg in autumn. But under cutting is decreased 8.7 kg in summer, 6.6 kg in spring and 3.4 kg in autumn. 4. Botanical compositions of mixtures swards involving ladino clover and red clover were not influenced by method of defoliation. But mixtures swards including alfalfa were highly influenced by method of defoliation. Alfalfa ratio at the time of final utilization under grazing was about 30%, but under cutting was about 70-80%.

  • PDF

방목이용 혼파초지에서 질소비료시용이 식생구성과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iated N Rate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herbage in White Clover ( Trifolium repens )/ Grasses Sward under Grazing Ultilization)

  • 윤순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6-41
    • /
    • 1990
  • The more N fertilizer, the more grass proportion (58 8, 240 kg N/ha) and the less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6 %, 240 kg N) under grazing utilization. The proportion of white clover was maintained about 27 % at 60 kg N/ha/yr and weed proportion was reached 33 %. Under the condition of differentiated N rates, the proportion of white clover was ranged from 10 to 36 % at 20 kg N/ha/cut which was allocated after every grazing and it probably dependent on differentiated N rates rather than total amounts of N applied annually. 53-74 % of total dry matter yield were concentrated at 1st and 2nd growth under grazing system and there were no great differences in dry matter yield at 3rd, 4th, and 5th growth in comparison with the variations of N rates. There was ver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s of white clover and the amounts of N uptaken by herbage upto 180 kg N/ha. About 138 kg N/ha were uptaken by herbage without N fertilizer but only with white clover (31 %) as a substitute of N. In the amounts of crude fiber and crude protein by differentiation of N fertilizer, there were no any great variations and liveweightgain during grazing periods was reached 1583 kg liveweightlha.

  • PDF

혼파초지에서 Gypsum 처리가 목초의 질소 및 황화합물조성과 토양중 황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ypsum Application on the Composition of Nitrogen and Sulfur Compounds in Mixed Pasture and on the Sulfur Balance in Soil)

  • 윤순강;황석중;김재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2-157
    • /
    • 1988
  • The effect of gypsum application was tested on dry matter yield, sulfur uptaken, composition of Ritrogen compound and sulhr compound and sulfur balance in mixed pasture. Total dry matter yields and sulfur uptake by grasse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gypsum application rates. The ratios between total nitrogen and total sulfur in mass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ulfur uptake at 2nd and 3rd cutting times. Cysteine content was little affected by gypsum while methionine content slightly increased an 4.0, 6.0 kg3 per 10a levels at 2nd and 3rd cutting times. The uptake of nitrate nitrogen decreased with gypsum applica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increased about 1.1 to 3.3%. The soil pHs after experiment become high in surface and subsoil till 6.0 kg.S per 10a, but low at 10.0 kg.S per 10a. The content of sulfur in surface soil was 19.9 ppm after experiment, but very high in subsoi1,ranging from 94 to 143 ppm.S. Sulfur leached from the surface soil by 0.69, 2.39, and 6.24 kg.S per 10a in the plots of 4.0, 6.0, and 10.0 kg.S per 10a, respectively.

  • PDF

혼파초지에서 액상구비 시용에 관한 연구 II. 액상구비의 시용시기 및 시용수준이 목초의 Net energy 축적과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in Grassland II. Effects of the application times and levels of cattle slurry on the net energy value and mineral content of grasses)

  • 박근제;김재규;황석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8-103
    • /
    • 1992
  •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thc nutrient contents of herbages and energy productivity in grasslan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times and five level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field was designed in a split-plot with threc replications, and lasted from September, 1986 to October, 1990 at the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et energy(NEL, StE and TDN) contents of grasses in the plots with cattle slurry application just after cutting were slightly higher when compared to manuring 15 days after cutting. but DCP content has reverse trend. 2. Average net energy(NEL. StE and TDN) and DCP production of the plot with cattle slurry application 15 days after cutting were insignificantly increased by 26 % than those of manuring just after cutting. The energy and DCP yields in the plot with cattle slurry and with slurry + mineral fertilizer were decreased by 21 -27 % and 8- 11 %, respectively than those of the plot with single dressing of mineral fertilizer. 3. Mineral contents of grass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of cattle slurry. but considering nutrient balance of animals,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f 30-$60m^3$/ha with mineral fertilizer was profitable as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 PDF

혼파초지의 이용방법 비교시험 II. 방목 및 예취이용이 목초의 품질과 토양경도에 미치는 영향 (Trials of the Utilization Method in Mixtures Swards II. Effects of gras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foragequality and soil hardness)

  • 신재순;이필상;박근제;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6-101
    • /
    • 1990
  • This field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effect of graz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forage quality and soil hardness at different legumes sown swards of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from August 1985 to October 1988.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s under grazing were higher than these under cutting, but showed the reverse results in crude fiber and nitrogen free extracts contents. Averag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under grazing (72 %)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under cutting (71 %).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mong the mixtures swards in mineral contents and IVDMD. 2. The contents of Ca, P and Mg were a little high in the cutting, but K and Na contents were in gazing. Ca: P ratio in grazing (2.97)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cutting (2.94). 3. Production of energies(TDN, StE and NEL) with cutting were appeard to increase by 19.4 %, 13.5 %and 19.0 % than those of grazing, respectively. Mixtures swards including alfalfa showed more production both grazing and cutting. 4. Soil hardness in the top lOcm of soil by cattle grazing was changed from 15.5mm at startihg year to 22.6 mm after 3 years, but in cutting slightly increase from 15.5mm to 16.2mm. Generally it was low in early spring and high in autumn.

  • PDF

표고별 파종시기가 서로다른 두과 - 화본과 혼파초지에서 두과목초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Season on the Growth and Dry Matter Yield Legumes in Different Legume-Grass Mixtures according to Altitude)

  • 정의수;김현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3-160
    • /
    • 1992
  • 본 시험은 고령지 두과목초의 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표고가 다른 3개지역(600,800,1000m a.s.l)에서 주구를 파종시기(추파.추파), 세구를 혼파조명(알팔파-화본과, 레드크로바-화본과, 화이트크로바-화본과)으로 두고 분할구 배치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1.600m에서 두과목초의 적응성을 보면 알팔파, 레드클러버 및 화이트클로버 공히 추파를 했을 때 연차간 악화없이 약 30%를 유지하여 적응성이 매우 양호하였다.2. 800m에서는 화치트클로버를 춘파하므로써 연차간에 심한 감소없이 최종 예취시 약 14.0%를 점유하고 있었으며 또한 10a당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다. 3. 1000m에서도 800m와 비슷한 경향으로 화이트클로버를 춘파했을 경우 어느정도 적응이 가능하였다. 4. 표고별 두과목초의 비솔 및 수량이 표고가 증가 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알팔파는 800m 이상에서는 생육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 PDF

혼파초지에서 지역별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Dry Matter Yield and Days of Summer Depression in different Regions with Mixed Pasture)

  • 오승민;김문주;팽경룬;이배훈;김지융;베페카두;김시철;김경대;김병완;조무환;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3-60
    • /
    • 2018
  • 본 연구는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에서 기후특성이 뚜렷한 지역의 자료 제거 및 지역별 구분을 통해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데이터세트는 총 582점으로 11개 지역으로 분류되며 혼파조합은 총 41가지였다. 변수에서 반응변수는 건물수량 이었으며 설명변수는 하고일수를 포함한 5가지의 기상변수를 이용하였다. 통계방법은 산점도,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산점도 분석 결과 데이터세트를 지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9개 지역 중 7개에서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지역을 구분할 필요가 있었으며 대표본 근사이론을 적용할 수 있었던 5개 지역(화성, 수원, 대전, 시흥 및 광주)을 선정하였다. 5개 지역의 상관분석 결과 3개 지역(화성, 수원 및 시흥)에서, 다중회귀분석결과 화성에서 건물수량에 대한 하고일수의 효과가 부(-)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파초지의 건물수량에 대한 하고일수의 상관관계는 지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풀사료 생산이론과 일치하여 수량예측모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