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Grass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as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Spring IV. Effects of the first harvesting times and regrowth periods on dry matter productivity, leaf : stem ratio and nutritive value of grasses.

혼파초지에서 봄철 예취방법에 따른 목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비교연구 IV. 1차 이용시기와 재생기간이 목초의 건물생산성 , 경엽분포비율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the Grass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as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Sprin

  • Published : 1990.01.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st harvesting times (vegetative, stem elongation and heading stage) and regrowth periods (20, 30 and 40 days) after the first harvest on dry matter (DM) productivity, crude protein (CP), CP yield and cell wall constituents of gasses during 1987 and 1988. Although the dry matter productivity of grasses at the first was decreased with earlier cutting, the regrowth DM productivity after the first harves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earlier cutting (p < 0.05). Also the 30 days of regrowth periods w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DM productivity p <0.05). The percentage of leaf in the leaf: stem ratio was increased with earlier initial harvest and shorter regrowth period after first harvest. The nutritive value of grasses was increased with earlier initial harvest and the 30 days of regrowth period after fist harvest.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good grass DM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could be achieved by the earlier harvest at first and the regrowth period of 30 days after first harvest in spring.

본 실험은 혼파초지에서 봄철 1차 이용시기와 1차 이용후 재생기간에 따른 목초의 일당 건물생산량, 경엽분포비율, 일반성분함량 및 세포벽 구성물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차 이용시기(주구)를 영양생장기(초장 25-30cm), 절간신장기(초장 40~50cm) 및 출수기(초장 60~70cm)로 하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세구)을 20, 30 및 40일로 하여 1987년도와 1988년도 2개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이용시 일당생산량은 늦게 이용할수록 증가하나 2차 이용후부터는 감소하여 1차 이용을 빨리 하는 것이 좋았으며, 재생기간은 건물생산량 측면에서 20일은 너무 짧고 40일은 너무 길어 30일이 가장 유리하였다. 목초 경엽분포비율은 1차 이용을 일찍 할수록,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을 짧게 할수록 잎의 비율은 증가하고 줄기의 비율은 감소하여 사료가치는 증진되었다. 목장의 사료가치(일반성분함량과 제포벽구성물질)도 1차 이용을 영양생장기로 일찍 할수록,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을 짧게 할수록 증가하였다. 조사자질생산량은 1차이용을 늦게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2차 이용시부터는 상살되었으며, 재생기간 30일에서 조사자질생산량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초지에서 목초의 양호한 재생, 건물생산성, 수절생산성 및 사료가치 등을 고려해볼 때 봄철 1차 이용은 가급적 일찍하는 것이, 그리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은 1차 이용시기에 관계 없이 30일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