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액의 성상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31초

한우 육성우의 성별 군집두수에 따른 사양성적, 행동특성 및 혈액성상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Growth Performanc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Blood Parameters of the Sex in Different Group Sizes of Hanwoo calves)

  • 하재정;오동엽;이제영;양가영;김종복;오상집;송영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381-388
    • /
    • 2013
  • 친환경 축산을 통한 고품질의 축산물 생산을 목표로 세계적인 트랜드에 부합하는 축산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본 시험은 한우의 군집두수에 따른 우방내 낮은 사육밀도의 정도가 증체, 행동형태 및 스트레스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강원대학교 부속 동물사육장의 한우 육성우 54두를 공시하여 성별에 따라 군집두수별 4두, 3두 및 2두로 처리하여 각각 3반복을 실시하였으며, 한우 사양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사료급여를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로 사양성적 (BW, ADG 및 FCR)의 경우 암소 육성우는 10개월령을 제외한 모든 개월령에서 군집두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거세우의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행동관찰에 따른 육성우의 행동시간 발현에서 암소의 경우, 횡와시간은 3두 처리구에서, 거세우의 경우 기립시간은 3두 처리구, 횡와시간은 2두 처리구, 걷기시간 4두 처리구에서 각각 유의적 (p<0.05)으로 길게 나타났다. 행동빈도는 암소에서 음수, 자기 몸핥기, 핥아주기, 투쟁행동에 있어 각각 2두 처리구가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고, 거세우는 음수, 몸 비비기 및 투쟁행동에서 군집두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 (p<0.05)으로 빈도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성상에 있어서 육성암소는 2두 처리구에서 백혈구와 콜티졸 수치가 유의적 (p<0.05)으로 높았고, 글로블린은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양성적, 행동특성 및 혈액성상 등의 전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표준우사의 우방크기를 고려할 때 한우 육성우의 군집두수는 2두 및 3두 대비 4두로 수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본 시험결과는 추후 친환경 복지형 한우 육성우 사양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 내 복합생균제 첨가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분내 유해가스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tabolites, Noxious Gas and Fecal Microflora in Weaning Pigs)

  • 김동우;최요한;김조은;조은석;정현정;오승민;김정대;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66-273
    • /
    • 2020
  • 본 연구는 생균제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분 내 유해가스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총 234두의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 Duroc, 6.14±0.78kg)을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에 기반하여 3처리 6반복, 반복당 13두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은 Phase I(0~14일), PhaseII(15~28일) 총 4주간 조사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T1(basal diet), T2(basal diet+0.13% complex probiotics) 및 T3(basal diet+0.25% complex probiotics)로 구성되었으며, 복합생균제는 Bacillus subtilis 1.0×106 CFU/g, Enterococcus faecium 1.0×106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1.0×106 CFU/g, Bacillus licheniformis 3.0×108 CFU/g 및 Bacillus polyfermenticus 3.0×108 CFU/g를 함유하였다. 사양성적은 PhaseII에서 T3 첨가구에서 일당증체량 및 일일사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기간에서는 PhaseII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영양소 소화율은 PhaseI에서 단백질 소화율이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PhaseII에서 건물 소화율 및 에너지 소화율이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액성상에서는 PhaseI과 PhaseII에서 모든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내 유해가스에서는 PhaseII에서 NH3가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분 중 미생물에서는 PhaseI과 PhaseII에서 Clostridium spp.이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이유자돈 사료 내 복합생균제 첨가는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분 내 유해가스 및 분 중 미생물을 개선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총체 보리사일리지를 첨가한 유기 TMR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TMR with Whole Barley Silage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김광국;황보순;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3-424
    • /
    • 2007
  • 본 연구는 흑염소의 합리적 사료 급여체계를 모색하기 위하여 관행사료(A: 볏짚+시판 배합사료)구, 시판 TMR 급여(B: 볏짚+시판 TMR)구, 30% 총체보리 사일리지 함유 TMR 급여(C: 볏짚+30% 총체보리 사일리지+유기곡류)구 그리고 60% 총체보리 사일리지 함유 TMR 급여(D: 60% 총체보리 사일리지+유기곡류)구로 나누어 각각의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질소 축적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건물섭취량, 분 배설량, 가소화건물, 대사체중당 건물섭취량 및 건물 섭취비율은 공히 A구, B구, C구의 순으로 낮아졌고 D구는 이들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영양소 소화율은 D구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C와 D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NFC 소화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구가 가장 높았다. 질소 섭취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D구가 가장 낮았고, 분 중 질소 배설량은 A와 B구가 D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질소 축적율은 B>C>D>A구 순으로 낮아졌다. 혈액성상에서 HDL cholesterol과 Immunoglobulin G는 C구와 D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관행사료(볏짚+시판 배합사료)구와 시판 TMR 급여구에 비해 총체보리 사일리지를 30% 혼입하여 자가 TMR을 조제 급여한 구에서 흑염소의 건물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축적율 등이 크게 감소하지 않았고, 특히 혈액 성상에서는 HDL cholesterol 및 Immunoglobulin G는 증가함을 나타내 어 기호성과 섭취량만 개선된다면 흑염소에 있어서도 총체보리 사일리지 이용에 의한 기능성 및 안전 축산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실험구에서 플러그 묘의 생존율은 90% 이상으로 나타나 자연강우 조건에서도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상기결과로 볼 때 종자파종으로 만든 플러그 묘 식재는 한국잔디 조성 시 파종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방법은 재현성 있는 안정적 분석조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두 약제의 잔류분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로 작용하였다.> dS $m^{-1}$이었고, 평균은 1.15 dS $m^{-1}$이었다. $NO_3-N$, $PO_4-P$, $K^+$, $Ca^{2+}$, $Mg^{2+}$$Na^+$ 의 분포범위는 각각 $10\sim212$, $0.56\sim26.1$, $10\sim295$, $16\sim215$, $9\sim54$$10\sim53$ mg $L^{-1}$이었다. 평균 농도 값은 $NO_3-N$ 100, $PO_4-P$ 12.15, $K^+$ 99, $Ca^{2+}$ 78, $Mg^{2+}$ 26 및 $Na^+$ 26 mg $L^{-1}$이었다. 양액 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액 중의 무기성분 함량은 양액재배에 이용되는 원수에 비해 상당히 높아졌다.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약재료인 약초류 등을 이용하였는데 오랫동안 푹 삶아 그물에 곡류 등을 넣어 죽이나 밥으로 조리하였으며 면으로도

  • PDF

화강암 추출 활성 광물질의 사료 내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깔짚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ineral Extract from Granite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and Ammonia Production from the Litter)

  • 조중호;정병윤;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3-48
    • /
    • 2005
  • 화강암으로부터 추출한 활성 광물질액이 육계의 생산성과 깔짚에서 암모니아 발생, 육계 혈액 성상 및 혈청 내 ND titer,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5주 동안 육계 실험을 실시하였다. 960수의 갓 부화한 육계 병아리를 공시하였고 5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48수씩 배치하여 생산성 및 암모니아 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C; control, zeolite; control + zeolite $1\%$, AM10; control + 활성 미네랄수 $10\%$흡착 zeolite $1\%$, AM20 control + 활성 미네랄수 $20\%$ 흡착 zeolite $1\%$, AM30; control + 활성 미네랄수 $30\%$ 흡착 zeolite $1\%$). 또한 사양 시험과 동시에 48수의 육계 병아리들을 반복당 2수씩 6처리 4반복으로 배치하고 ND 백신을 접종하여 ND titer와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증체와 사료 섭취량, 사료 효율, 폐사율 등은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증체량과 사료 섭취 량에서 AM30구가 처리구들 중에서 가장 높았는데 특히 4, 5주간의 증체량이 높았다. 사료 전환율(사료섭취량/증체량)에서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폐사율은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깔짚에서 암모니아 발생은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P<0.01)가 있었는데 AM30 구가 가장 낮았다. ND titer는 모든 처리구들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혈액 성상에 있어서 처리구들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는데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농도(MCHC)에 있어서는 zeolite 구가 타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하게(P<0.05) 낮았다. 장내 미생물 중에 Clostridium perfringens의 수는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P<0.01) 낮았고 Ercherichia coli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actobacilli의 수는AM30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결론적으로 활성 미네랄수 $30\%$흡착 zeolite의 사료 내 첨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육계의 증체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깔짚에서 암모니아 가스 발생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장내 Lactobacilli의 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랫트에 있어서 captafol의 독성에 대한 cysteine의 방어 작용 1.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Cysteine antagonism of captafol induced toxicities in rats 1. Effects on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values)

  • 김성훈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37-445
    • /
    • 1995
  • 과일 및 채소류의 곰팡이 억제제로 개발된 captafol은 인간 및 동물에서의 독성작용은 많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들의 독작용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에 대한 연구는 별로 알려진 바 없다. captafol에 의한 혈액학 및 혈청 생화화적 변화에 따른 cysteine의 방어 작용을 확인할 목적으로 랫트에 5mg/kg 용량의 captafol을 1회 복강 투여하고 동시에 5, 58, 290 및 580mg/kg cysteine을 각각 투여하고 체중의 변화, 부검소견, 절대장기중량,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 하였다. captafol 단독 투여군에서는 체중 및 간 장기중량 감소, 복강내 장기들의 섬유소에 의한 유착 및 복수 등이 현저하였으며 적혈구 수, hemoglobin 농도, 혈청 AST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또한 혈청 인지질 함량 감소가 확인되었다. 한편, cysteine 58mg/kg 이상의 용량군에서는 복강내 장기들의 유착 및 복수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장기중량,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소견에서도 정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는 captafol의 중독증상에 대해 cysteine 및 sulfhydryl군을 가진 물질은 그 증세를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Resveratrol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 특성, 혈액 내 면역글로불린과 혈액 내 항산화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Resveratro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arameter, Immunoglobulin, and Blood Antioxidant Activity in Broiler Chicks)

  • 김동욱;홍의철;지상윤;이왕식;방한태;강환구;김현수;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7-156
    • /
    • 2015
  • 본 연구는 육계사료 내 resveratrol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율 및 조직 중량, 혈액 생화학적 성상, 면역 및 혈액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육계 수평아리 (Ross ${\times}$ Ross 308) 320수를 선별하여 육계초기(0~3주령)와 육계후기(3~5주령)의 35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8처리구(C(-), 대조군; C(+), 항생제 처리군; ${\alpha}$-tocopherol 20 IU 처리군; ${\alpha}$-tocopherol 200 IU 처리군; resveratrol 20 ppm 처리군; resveratrol 200 ppm 처리군; methylated resveratrol 20 ppm 처리군; methylated resveratrol 200 ppm 처리군)를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으로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육계의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종료체중과 증체량은 항생제와 resveratrol 및 methylated reveratrol 처리구에서 무항생제와 ${\alpha}$-tocopherol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도체율과 조직 중량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간과 F낭 무게는 항생제와 resveratrol 20 ppm 및 methylated resveratrol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췌장의 무게는 resvertrol과 methylated resveratrol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맹장 미생물 균총(total microbes, Coliform bacteria, Salmonella, lactic acid bacteria)은 resveratrol과 methylated resveratrol 처리구가 무항생제와 항생제 처리구 및 ${\alpha}$-tocopherol 처리구와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육계 혈액 내 creatinine, BUN, total protein, albumin, AST 그리고 ALT는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globulin 함량은 resveratrol 200 ppm과 methylated resveratrol 20 ppm 처리구에서 무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처리구 사이에 유의차는 없었다(P<0.05). IgA, IgG와 IgM는 항생제 처리구와 reveratrol 처리구에서 무항생제와 ${\alpha}$-tocopherol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SOD 유사 활성은 resveratrol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MDA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뽕나무 유래 resveratrol은 육계 생산성 개선 및 건강성 유지를 통해 천연 항생제 대체물질로 이용 가능성이 시사된다.

유황을 급여한 육용 교잡계의 성장능력과 계육의 물리.화학적인 성상의 비교 (A Comparison of Fattening Performanc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st Meat, Vaccine Titers in Cross Bred Meat Type Hybrid Chicks Fed Sulfur)

  • 박재홍;류명선;이영은;송근섭;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17
    • /
    • 2003
  • 본 실험은 유황을 육용 교잡계에 급여하여 성장능력, 계육의 물리$.$화학적인 성상, 항체가,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8주령 교잡 육용계를 케이지에 암수 1:1의 비율로 처리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8수씩 총 288수를 배치하여 3주간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유황은 황 함유량이 45%제재로서 0, 1.0, 2.0, 4.0%를 시판용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여 계산하였으며, 실험 종료시에 계육의 일반성분, 물리$.$화학적인 성상, 백신항체가, 관능검사를 실행하였다. 유황 급여구에서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복강지방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슴육의 지방함량은 유황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P<0.05), 적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리감량은 유황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며(P<0.05), 조직감 특성중 응집성, 탄력성 및 검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유황을 첨가함에 따라 다즙성은 증가하고, 기름이 있는 입촉감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P<0.05) 유황 첨가가 닭고기의 수용도에 좋은 영향을 주는데 기여하였으며, 씹힘성은 유황 첨가수준 2%에서 가장 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닭고기에 대한 전체적인 수용도는 유황 2% 첨가구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으므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황의 급여로 혈액의 AST, ALT, BUN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항생제 대체 감초와 용규 혼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체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and Solanum nigrum L. Mixture for Alternate the Antibiotics on Productivity and Blood Composition in Broiler Chickens)

  • 조성구;김혜인;이민경;이정주;곽용철;이석천;이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5-222
    • /
    • 2009
  • 항생제 대체제 개발을 위한 용규와 감초 건조분말 복합제를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하여 생산성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7일령 이후 육계 숫병아리(Ross)를 3단 케이지에 5처리 3반복, 반복당 10수씩, 총 150수를 공시하여 5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는 무첨가구, 항생제(avilamycin) 첨가구, 항생제 대체 용규 감초 건조 분말 0.5%(0.25+0.25), 1.0%(0.5+0.5%) 및 2.0%(1.0+1.0) 첨가구로 구분하여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도체중은 4주령에서 용규 감초 1.0% 첨가구에서 높았으며(P<0.05), 6주령시에는 용규 감초 1.0% 첨가구에서 약간 높았다. 도체율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처리구간에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간장 중량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용규 감초 0.5% 첨가구에서 무거웠다(P<0.05). 비장중량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4주령과 6주령시 혈중 protein, albumin, glucose, total bilirubin 농도와 GOT 및 GPT, TG,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농도에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용규 감초 복합 첨가급여는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서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음은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사용가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의 과산화수소;($H_{2}O_{2}$) 처리 농도가 생리.생화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hydrogen peroxide ($H_{2}O_{2}$) treatment level o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최미경;여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9-27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H2O2)처리농도에 따른 체내에서의 혈액생리학적 변화, 항산화효소 및 열충격단백질(HSP)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화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H2O2의 실험구는 각각 0(대조구), 100, 300 및 500 ppm으로 설정하였으며, 1시간 약욕처리 후 순환시켜 1, 3 및 5시간 후에 혈액성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2O2 처리에 의한 혈액성상에서의 헤마토크리트 수치인 경우에는 농도 및 시간에 의존하여 유의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있어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적혈구 수에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3시간까지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5시간 경과 후에는 이전 대조구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농도는 500 ppm 처리구에서 0시간 및 1시간째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3시간 경과 이후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및 CAT 효소활성은 유의하게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SP70 단백질량이 대조구에 비해 전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HSP70 mRNA량은 500 ppm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우 암소, 수소, 거세우의 비육단계별 발육성적과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among Bull, Steer and Heifer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ttening Phase in Hanwoo)

  • 이상민;현종환;이신자;김언태;문여황;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31-944
    • /
    • 2016
  • 본 연구는 한우의 성별 발육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12개월령 한우 수소구(4두, 체중 $339.8{\pm}18.5kg$), 거세우구(4두, 체중 $309.8{\pm}13.2kg$), 암소구(3두, 체중 $290.0{\pm}16.7kg$)를 개체 사료급여기가 부착된 우사에 배치하여 총 20개월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비육전기에는 한우 수소, 거세우 및 암소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비육중기부터 수소구가 높았으며 암소구가 가장 낮았다(p<0.05). 공시축의 체형차이는 24개월령부터 나타나, 한우 암소는 체고와 체장에서 가장 작았으나(p<0.05), 체고는 32개월령대에서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12개월령 공시축의 혈액성분 중,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및 total protein함량은 암소구에서 높았으며, GPT 수준은 수소구에서 높았다(p<0.05). 혈청 GOT 수준은 처리구 공히, 비육후기에 높았으며, 수소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육량지수는 수소구와 암소구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거세우구가 가장 낮았다(p<0.05). 육질평가에서 근내지방도는 거세우구와 암소구가 수소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육질등급은 거세우구가 가장 높았다. 본 시험은 한우사양표준 개정에 있어서 성별간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