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교육모형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31초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A Curricular Model of Information Literary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 박명규;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7-194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 학교교육 현장에 체계적으로 정착하지 못한 정보활용 교육의 기반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과목명을 정보교과로 규정하고, 국가차원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함으로서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을 위한 GIS수업모형개발 (GIS study model develop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 조선형;홍명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81-286
    • /
    • 2007
  • 최근 디지털 맵이나 GIS와 같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사회과 지리영역은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교육방법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북돋워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시청각매체는 학생들의 흥미를 만족시켜주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신의 자료가 반영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요즘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으며 구글 어스 등의 새로운 GIS를 활용하여 세계의 모습을 정확하고 손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교육과정에서 GIS를 활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맵과 GIS를 조사하고, 이를 수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융합형 CT-FL 수업 모형 설계 (The Design of the Convergence CT-FL Instructional Model for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 구재훈;김태영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14
    • /
    • 2018
  • 빠른 속도로 끊임없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미국이나 영국 등 세계 각 나라마다 앞으로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핵심 역량의 하나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들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교육계에서도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어 학문의 각 영역과 정보 기술 활용의 융합된 교육 방법론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융합된 교육 방법론의 필요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교육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교육과정에 포함될 정도로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다. 전 세계적인 정보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도 교육부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 교육을 포함시키고,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표를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르는 데에 목표가 있다'라고 발표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방향과 운영에 필요한 내용들 중에 교육 현장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기에 부족한 소프트웨어 교육 시수의 적절한 확보와 교수 학습 방법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부족한 소프트웨어 교육 시수의 해소와 여러 교과 간의 융합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위한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 모형을 설계하게 되었다.

  • PDF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어린이집 보수교육프로그램 평가 (The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 In-servi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 김보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하여 어린이집 유아교사가 이수한 보수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은 목표제시와 사전분석과 같은 교육상황은 다른 평가영역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아교사 개인요인과 같은 교육과정은 상대적으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으로 평가 되었다. 유아교사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교육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교사의 현장과 실태를 고려하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의 현장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의 평가를 통해 보수교육프로그램의 실정과 추후 보다 바람직한 어린이집 보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보수교육 내실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자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포물선 운동을 중심으로 한 가상현실 기반 물리 실험 교육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Based Physics Experiment Training Simulator Centered on Motion of Projectile)

  • 김연정;윤세희;신병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호
    • /
    • pp.19-28
    • /
    • 2021
  • 최근 교육 분야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교육현장에 접목하여 교육 매체로 사용을 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과학교과 방면에서도 가상현실 환경 구축 기술을 이용하여 공간 및 상황 등의 여러 제한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하고 활동적인 실험을 할 수 있는 과학 실험 시뮬레이션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과 중 물리 과목을 선택하여 물리 현상 중 하나인 포물선 운동 공식을 활용한 실험 시뮬레이션을 가상현실 공간에 구현한 뒤, 융합인재교육(STEAM) 이론의 학습 준거를 기준으로 실제 물리 교육에 활용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공간을 활용한 구체적인 교육 모형을 설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전통적인 교육 모형과 현대적 기술의 접목으로 여러 교과에서 보다 효과적인 학습 방법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연구 방안 및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서자격제도 개선안 연구 (A Study on the Credential System of Librarian in Korea)

  • 정동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29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 전반적인 환경변화와 대학교육정책의 변화로 야기되어 온 사서자격제도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제기, 선행연구와 외국의 사례분석, 국내 학계와 도서관 현장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실정에 적합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서자격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내부 전문성 강화 모형, 전공이수 최소학점제 모형, 자격시험제도 모형, 전문대학원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네 가지 모형을 중심으로 앞으로 학계와 도서관 현장에서 더욱 깊이 있는 연구와 논의를 통하여 보다 적합한 새로운 모형의 사서자격제도 개발이 요구된다.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평가를 강화한 동기 모형 설계 (Design of a Motivation Model for Reinforcing Evaluation on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 김창규;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3-148
    • /
    • 2006
  •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웹기반 학습에 이어 휴대인터넷 (WiBro)과 UMPC (Ultra Mobile PC)를 비롯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학습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형태인 모바일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Keller의 동기 유발 이론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모바일 학습에 적합한 새로운 동기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동기 모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현장에서 이 모형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실적이고 꼭 필요한 절차만 거치도록 하였다. 둘째, 다양한 평가 과정을 절차에 삽입함으로써 학습활동에 대한 보상과 강화를 학습중에 얻도록 하였다. 셋째, 개발된 콘텐츠를 수업안에 바로 적용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개별화에 중점을 두어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 주도 평가의 효과성 고찰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er-l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 신희남;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101-106
    • /
    • 2020
  • 미래교육을 준비하면서 소프트웨어 교육은 그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운영의 내용과 더불어 평가 부분도 중요한 영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 주도 평가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이것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대상으로 학습자 주도 평가 모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학습자 주도 평가는 학생들의 창의력, 문제해결력, 정보 활용력 등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흥미 또한 높아지게 하였다. 앞으로 관련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이 학생주도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미래교육을 준비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Goal-based Scenarios(GBS) 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 연구 (Design and Development of WBI Contents: A Goal-based Scenarios (GBS) Model Approach)

  • 조규락;조영환;김미경;성봉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21
    • /
    • 2004
  •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IT기술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강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웹기반 교육의 정착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원인은 현재 웹기반 교육이 전통적 교실수업과 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웹기반 교육에 적합한 설계모형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학습관에 기반한 GBS 설계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거나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와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개발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3개월 간 요구분석, 학습내용분석, 학습자 및 학습환경분석을 통해서 GBS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설계하고 GBS의 7가지 구성요소들에 충실하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학교와 기업에서 새로운 형태의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고자 하는 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해줄 것이다.

  • PDF

중국 의무교육단계 학생 부담경감 정책의 흐름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Student Burden Double Reduction Policy in China -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 이효휘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4권1호
    • /
    • pp.35-56
    • /
    • 2024
  • 이 연구는 중국 의무교육단계 학생 부담경감 최신정책 '쌍감'정책을 중심으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하여 정책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데이터의 직관적인 반영, 현행 정책의 피드백 등으로 문제의 흐름을 구성하였다. 중국 정부의 높은 관심, 정치협상회의 위원과 전문가의 건언, 학교 현장과 이해관계자의 강한 요구 등은 정책대안의 흐름을 구성하였다. 집권당의 집권 이념과 교육 지침, 국민 정서, 전환기 이익 게임 등은 정치의 흐름을 구성한 것이다.문제의 흐름,정책대안의 흐름, 정치의 흐름 세 가지 흐름이 결합되어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