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실적 수학 교육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영역에서 현실적 수학교육의 적용을 위한 문맥 연구

  • Kim, Won-Gyeong;Baek, Gyeong-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137-155
    • /
    • 2004
  • 현실적 수학교육은 탐구학습, 열린학습 등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신장하려는 최근의 수학교육의 방향에 걸맞는 새로운 교수${\cdot}$학습 방법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현실적 수학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문맥을 개발하였다. 이 문맥들은 수학사, 자연 및 사회 현상, 실생활의 상황, 타 교과에서의 활용 상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등학교 2${\sim}$2학년 수준에 알맞게 개발되었다.

  • PDF

Reanalysis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in Relation to Cultiv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의 재음미 :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관점에서)

  • Lee, Kyeong-Hwa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1
    • /
    • pp.47-62
    • /
    • 2016
  •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is one of the aims in the recently revised mathematics curricular. However, there have been lack of researches on how to nurture mathematical creativity for ordinary students. Perspective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RME), which pursues education of creative person as the ultimat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principle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is study reanalyzes RME from the points of view in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Major findings are followed. First, students should have opportunities for mathematical creation through mathematization, while seeking and creating certainty. Second, it is vital to begin with realistic contexts to guarantee mathematical creation by students, in which students can imagine or think. Third, students can create mathematics in realistic contexts by modelling. Fourth, students create the meaning of 'model of(MO)', which models the given context, the meaning of 'model for(MF)', which models formal mathematics. Then, students create MOs and MFs that are equivalent to the intial MO and MF given by textbook or teacher. Flexibility, fluency, and novelty could be employed to evaluate the MOs and the MFs created by students. Fifth, cultiv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can be supported from development of local instructional theories by thought experiment, its application, and reflection. In conclusion, to employ the education model of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by RME drawn in this study could be reasonable when design mathematics lessons as well as mathematics curriculum to include mathematical creativity as one of goals.

중등교사 임용고사와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 Kim, In-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527-537
    • /
    • 2001
  • 중등교사 임용고사는 현실적으로 수요를 초과하는 다수의 교사 자격증 소지자 가운데에서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여 공립 중등학교에 임용하기 위한 공개 경쟁 시험제도이지만, 그 영향력은 중등교육의 발전과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결정적일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지대하다. 여기서는 “좋은 수학교사”의 양성과 선발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임용고사가 수학교육의 발전에 순기능적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드러난 문제점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필연적으로 임용고사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는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의 관계에서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과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Children's Realistic Response on Realistic Word Problems (현실적인 문장제에 관한 초등학생의 반응 분석)

  • 김민경
    • School Mathematics
    • /
    • v.6 no.2
    • /
    • pp.135-151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children's realistic response on problematic word problems focused on number operations. Even though word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realistic context, results indicates that children's responses didn't show realistic consideration in solving problems. Also, children showed their tendency of mindless or mechanical operation in solving problems and modeling problems

  • PDF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고교수학의 수열의 지도에 관하여

  • Kim, Tae-Wan;Kim, Hya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09-122
    • /
    • 2003
  • 현재 초, 중, 고등학교의 수학교육 현실은 수학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공식의 암기와 그것을 이용하여 단순한 문제 풀이에 시간을 많이 할애함으로써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기호의 정확한 사용법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산 기능적인 면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나며, 문제 풀이의 창의적인 상황이 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교사 중심의 문제풀이 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속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구상할 수 있는 사고력의 배양에 소홀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 의미를 파악하여 학습 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이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현실적으로 매우 시급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수학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좀 더 쉽게 수학의 개념에 접근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한 노력 중의 하나로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수학교육을 말 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현 고등학교 수학I의 등차수열에 관한 내용을 Mathematica를 이용하여 다각수(도형수)로부터 등차수열의 개념을 유도하였다.

  • PDF

연속성을 이용한 편입학제도의 위상수학적 고찰

  • Mun, Gwon-B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331-341
    • /
    • 1999
  • 수학의 세계에서 진정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생각하는 수학적 힘의 양성과 현실에서 그것을 이용하여 예측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수학적 힘을 현실세계에 적용, 분석할 수 있는 것 중 그 틀이 구조적이고 수학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제도에 관한 건은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 본 논문은 많은 제도 중 하나인 편입학제도를 수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연속성을 이용하여 위상수학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대학수학 교육 연구의 원칙과 기준들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33-44
    • /
    • 2005
  • 한국의 대학수학 교육에 대한 여러 종류의 관심이 다양한 현실적 필요성에서 대학의 수학 교수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 대학수학 교육의 어떤 연구 주제를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연구하여야 연구로서 가치, 타당성 그리고 연구 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등 연구의 방향, 목표, 그리고 결과의 활용에 대한 적절한 합리적 준거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실제 수학 수업을 수행하는 교수, 교사 또는 교육행정가에게 유용한 정보, 지식 그리고 수업 수행 방법(기술) 등을 제공하여 그들의 의사결정 문제를 결정하도록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성을 가져야 한다. 학교수학 교육은 국가적 교육과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하여 대학수학 교육은 각 대학마다 다른 교육 환경과 목표를 반영한 대학교육과정에 대학수학 관련 교과(강좌) 또는 수학전공 교과들이 포함되어있다. 다양한 대학교육 환경과 시스템에 놓여있는 대학수학 교육의 상황 또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 원칙과 질적 기준들 무엇인가?를 논하였다.

  • PDF

수학사를 도입한 수학교육지도방법에 대한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

  • 장미화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 no.1
    • /
    • pp.86-89
    • /
    • 1984
  • 196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일어난 수학 교육현대화 운동은 범세계적인 문화현상으로서 발전하는 방향으로 철저히 진행되어야 했으나 교재내용을 지나치게 비현실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교육의 현장에 선교사의 창조적 노력보다는 무비판적인 수학교육이 됨으로써 원래의 수학교육목표와는 달리 진도에만 급급하다. 현실적인 요인으로서 중등학교 진학률의 증가 및 평준화에 대한 원인도 있겠지만 시험에만 연결되는 교육에 이상적인 논리주의 구조주의 적인 수학의 도입도 적지않은 문제 요인으로 되어 있다. 앞으로 교과과정의 개선이 있겠지만, 우선 지도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선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수학사적 자료를 도입하여 수학의 역사 및 수학의 사상적 배경등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교과내용에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 PDF

인터넷 상의 조작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 Jo, Han-Hyeok;Choe, Gyeong-Sik;Kim, Min-J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49-562
    • /
    • 2002
  • 저학년 학생에게도 적절한 표상이 제공되기만 하면 고등 지식을 수용할 수 있다는 사실은 브루너(J.S. Bruner)의 EIS 이론에 의하여 뒷받침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조작이나 시각적인 표상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물로써 교구를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그 대안으로 컴퓨터 환경에서 제공되는 조작 도구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인터넷 환경은 접근에 있어 용이하며 별도의 비용이 필요 없고 업데이트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구로써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상의 조작 도구를 통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