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어패션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1초

테크놀로지 이미지적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ir Styles Featuring Technological Images)

  • 오문균;임영자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45
    • /
    • 2004
  • Hair styles which independently coexist by transcending the time and space under the environment of highly develop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recent years, were analyzed. Moreover the concerned trends of art which influenced on these styles were introduced in this study. Through IT based information exchange produced new hair styles which have the technological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air styles are investigated also. For the examination of yearly trends, hair styles in fashion collections of Yves Saint Larent during 1962 to 1999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The results show that time variated trends are appeared in this period. For the analysis of the trends of hair styles featuring technological images, hair styles in fashion collection of Christian Dior, Giorgio Armani, Gucci, Jean Paul Gaultier and Chanel in the early 2000s are quoted.

  • PDF

왕실 머리장식을 응용한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Hair Accessory Designs Using Royal Hair Ornaments)

  • 유진영;김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3-90
    • /
    • 2023
  • 최근 젊은 세대의 전통 복식 체험이나, 퓨전 한복의 일상복화 등의 추세에 따라 한복용 헤어 액세서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왕실 여성의 머리 장식을 활용하여 한복과 어울리는 실용적이고 현대적인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을 개발하여 한복 문화를 활용한 패션 콘텐츠 개발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전통 문화의 다양한 경험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전통 머리모양 및 영왕비의 전통 장신구들을 조사하였고, 실증연구로 실물을 제작하였다. 제작과정은 먼저 전통 머리모양을 응용하여 나일론 메쉬로 기본 형태를 만들었고, 그 위에 장엄하고 화려한 왕실 유물을 활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원단을 접목하여 궁극적으로 전통 장신구를 착용한 듯한 트롱프뢰유 기법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을 설계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6개의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이 완성되었으며, 헤어 밴드, 헤어 핀, 헤어 고무밴드의 구조로 제작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헤어 스타일에 관계 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일론 메쉬 소재의 특유의 빳빳하면서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볼륨감 있는 머리 모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마치 머리카락과도 같은 시각적인 착시 효과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일상의 유희와 희소성 있는 가치를 추구하는 대중들에게도 독특한 미적, 문화적 경험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D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현황과 3D 시스템 도입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daptation of 2-Dimensional Hair-Style Computer Simulation and Prospects of the 3D System)

  • 황보윤;하규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21-229
    • /
    • 2008
  • 컴퓨터와 더불어 멀티미디어의 발전은 가상현실이라는 신기술을 만들어 내게 하였고 가상현실 분야 중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은 항공, 자동차, 의학, 스포츠, 교육, 패션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헤어스타일링 분야에서 기존의 2차원 헤어시뮬레이션의 개발 및 상용 현황과, 연구 단계에 있는 3차원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의 개발 현황을 살펴본다. 아울러 현재 개발된 3차원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3D 시스템 부스의 조정, 저가 저화질의 카메라 개선 등의 문제점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object photography 방식에서 panoramic photography 방식의 전환, 중 고가의 고화질 카메라로의 대체들을 제안한다.

  • PDF

1960년대 패션트렌드에 따른 헤어스타일의 양상 (A Study on the Hair style in Respect of Fashion Trend in 1960's)

  • 유미금;최정순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air style trend in the respect of fashion trend in 1960s. The study also attempted if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to current hair designers and hair styles as beehive, mods hair, short cut. geometric cut, wigs, natural hair, unisex hai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involving the collection of picture data and examine the art of the 1960's. Because 1960's is a revolutionary decade in the way of living and fashion trend. This study also adopted review of literature and analysis of magazines. 1960's was a period of major street fashion as Mods, Jackie Look, Miniskirt, Pop Art, Op Art Look, Space Look, Hippie Look, Unisex L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review of literature had shown that little or no studies for an in depth analysis of 1960's fashion trend and hair design. 2) During the sixties, the trend of fashion and hair style were remarkable change in the way of living. 3) There were strong influences hair styles of 1960's until today.

  • PDF

계절(季節)에 따른 헤어컬러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2003 $\sim$ 6년 여성잡지(女性雜誌)에 나타난 헤어컬러 트렌드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Seasonal Changes of Hair Color - Centered on 2003 $\sim$ 6' hair color trends published on women's magazines -)

  • 안현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1호
    • /
    • pp.1-14
    • /
    • 2007
  • This study was aimed at giving help to the people intending to change their own hair color design and also providing the guide line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hair color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statistically analyzing seasonal changes of hair colors puplished on women's magazines(Vogue Korea, Estetica Korea, Woman Chosun, Ce.ci) from 2003 to 2006. The researching methods were as follows; (1) hair colors published on women's magazines from september 2003 to August 2006 were measured by N.C.S. color reader(4 magazines $\times$10 main hair colors/magazine $\times$ 12 months $\times$ 3 years = 1,440 colors). (2) N.C.S. tone is made of percentage, so measured values and chroma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seasonal deferenc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and specified on high significant values. But hues were not made of percentage, so thes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cross tabulation analysis, $x^2$ -test and specified on high significant values. These all had been analyzed by SPSS program(ver. 1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sually seasonal changes of hair values were significant, specially in foreign licensed magazines, and bright values appeared in S/S and dark values in F/W. (2) Seasonal changes of hair hues were significant only on foreign women's magazines. Therefore seasonal changes of korean hair colors were not significant compared by foreign hair colors because of hardness of color changes of dark black hair and hair damages by hair tints and bleaches and trends of well being and hair care. But hair color changes have been developed gradually and will developed furthermore. So korean hair cosmetic circles have to present hair color trends deferenciated by seasons. And S/S hair values have to be brignt and F/W have to be dark. And new seasonal hair hues matched by korean have to be developed and presented.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선호 헤어스타일 및 헤어추구이미지와의 관계: 미용실 방문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red Hairstyle and Pursued-Image of Hairstyl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cusing on Hair Salon Visitors)

  • 김선미;하경연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2호
    • /
    • pp.66-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hairstyle and pursued-image of hairstyl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ontent analysis and survey research using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of pursued-image of hairstyle, preferred hairsty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450 women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hair salon located in Seoul, Inchon and Bundang. For the material analysis, We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12.0; frequencies, factor nalysis,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 Test and ${\chi}^2$ Test were carried out as the methods of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hairstyle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usually resulted 5 hairstyles, such as cuts and crew cut, bobbed hair, long layered hair styles and nonelayered long hair styles. Second, under the survey regarding the difference of preferred hairstyle and pursued-image of hairstyl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ety of hair styles due to the subjects were more willing to try a consciousness about other's suggestions and how they are portrayed. Moreover a low level of education was ralated to a attempting a variety of styles, considering their social life. Subjects with higher age, education level and salary preferred a glamorous image as well as crew cuts. Which made them look younger. However, when they were younger, they preferred long nonelayered hair styles. In conclusion,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level are important variations affecting the property of change in hairstyles and pursued-image of hairstyles.

한국.중국.일본 전통 헤어스타일&두식과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Korean Chinese Japanese Hair Style and Ornament and Make-up Style)

  • 이은영;왕홍굉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3-13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헤어스타일과 머리장식, 메이컵의 특성에 대하여 비교 정리해 보았다. 각 나라의 전통 헤어스타일 장식 등의 비교를 통하여 현대패션에 새롭게 해석된 오리엔탈 룩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의 스타일은 소박하고 단순하며, 중국은 과장적이고 장식적이며 일본의 스타일은 당나라 장식의 영향과 로맨틱한 소녀적 꽃장식을 볼 수 있었다.

  • PDF

영화 의상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 정현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84-86
    • /
    • 2004
  • 21세기를 대표하는 종합예술 중의 하나인 영화는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여 거대한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영화는 패션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영화의상은 영화의 극적인 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복식을 뜻하며 배우가 착용하는 의상과 헤어스타일, 머리장식, 액세서리, 신발, 분장 등은 영화의 내용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스타일이 여성 패션의 흐름을 주도하기 시작한 1950년대에 유행하였던 영화들을 중심으로 영화의상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과 한국인의 일상복이 전통적인 의상에서 현대적이고 서구화된 의상으로 변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1950년대에 유행한 미국영화의 분석과 195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복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패션 디자인 조형을 응용한 캐릭터 컨셉 디자인 (Character Concept Designs Utilizing Formative Methods in Fashion Design)

  • 최미정;김예진;백철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3-112
    • /
    • 2018
  • 캐릭터 디자인에 있어 '패션'은 캐릭터의 정체성과 성격, 개성과 설정을 한눈에 뚜렷하게 제시해주는 강력한 도구이다. '특정한 시기에 유행하는 복식이나 두발의 일정한 형식'으로 정의되는 패션은 의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신구, 헤어를 포함한 메이크업 등을 아우르는 하나의 '이미지'를 창조해낸다. 현재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반영하는 실제 런웨이 위의 패션 디자인과 게임업계 내의 캐릭터 디자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러한 패션의 중요성에 비해 캐릭터 디자인에서 패션 디자인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과 접목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캐릭터 디자인과 패션 디자인 사이의 상호 영향에 대한 고찰을 하고, 패션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조형적 고찰의 접목이 보다 응용된 시각적 시도의 캐릭터 컨셉 디자인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능유형, 자기외모인식이 화장, 헤어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lent Types and Self-Appearance Perception on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 구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1-2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alent types and self-appearance perception on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in 367 adults(female and mal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consider both human talent type and the self-appearance perception on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correlates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alent types, the self-appearance perception and the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appearance managing reason, appearance managing area, and consulting with doctor related to appearance unsatisfaction. Also,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talent, bodily kinesthetic talent among 8 talent types on the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were significant, and that the effects of real and ideal self-appearance perception factors on the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were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