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어미용업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미용실 ASP 서비스 확산사례 -헤어짱 가입자를 중심으로-

  • 조경래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0-306
    • /
    • 2003
  • ① 대표적인 소기업 업종인 미용업은 기업형 미용실을 중심으로 IT기술을 활용하여 경영의 효율성, 고객서비스의 다각화, 고부가가치의 창출을 도모하고 있음. ② 미용업 시장의 변화와 함께 IT기업도 패키지 소프트웨어 서비스,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서비스, 웹서비스 등의 다양한 형태를 통해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대응 ③ 저렴하고, 전문적이며, 고객요구에 대한 발빠른 대응의 가능한 미용업 특화 ASP 사업모델은 가장 경쟁력 있는 사업모델 ④ 미용실 종합관리 프로그램을 ASP형태로 제공하는 헤어짱은 '규모의 경제'에 도달함으로써 ASP사업모델의 약점인 '고정비용에 대한 대규모의 투자' '수익회수기간의 장기화'를 극복한 대표적인 소기업 ASP 서비스 브랜드(중략)

  • PDF

헤어미용업의 관계효익이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Relational Benefits of Hairdressing Business on Customer Commitment)

  • 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1-87
    • /
    • 2023
  • 본 연구는 헤어미용실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고객몰입의 차이와 고객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헤어미용업의 관계효익을 규명하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경남의 헤어미용실 고객으로부터 수집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실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고객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졸 이상 집단과 남자 집단에서 고객몰입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계효익과 고객몰입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계효익 중에서 고객화효익, 사회적효익, 심리적효익 각각 고객몰입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심리적효익이 고객몰입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업 종사자의 사고재해 경험 및 사용제품의 안전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eri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Level for Beauty Product Safety of Beauty Industry Employee)

  • 최순영;허국강;박동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2년 추계학술대회
    • /
    • pp.385-392
    • /
    • 2012
  • 본 연구는 미용업 분야를 헤어, 네일, 피부, 메이크업으로 나누어 사고재해 실태와 사용 제품에 대한 안전 인식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근무하는 사업장의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요인으로는 분진, 근골격계, 화학물질 함유 제품의 유기용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난 1년 동안의 사고 및 재해는 26.3%가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고나 재해의 종류로는 베임, 인대 늘어남, 하지정맥류 등의 근골격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미용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의 화학물질 함유에 대한 인지도는 77.2%, 중금속 함유에 대하여 인지도는 59.1%로 나타났으며, 미용업 관련 제품의 표시사항(성분, 주의사항 등)에 대한 확인 여부는 '중요한 내용만 확인'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인지여부는 88.8%가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대한 인식도 및 사업장의 비치 여부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안전교육의 필요성은 73.6%로 높게 나타나 안전 교육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미용업 전반에 대한 사고재해 실태 및 안전의식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미용업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와 정책적 안전관리 방안, 근로자 건강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Hairdressing Business Work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on Job Satisfaction)

  • 우미옥;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04-1015
    • /
    • 2017
  •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헤어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 김광희;김은영;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77-182
    • /
    • 2020
  •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운영이다. 그리고 미용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적 감각이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높은 인식이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이 평균학력이며, 5~10년 정도의 경력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는 전문적인 이론 지식과 기능이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이며, 미의 선도적인 역할이라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예비미용인과 일반인은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디자인 감각과 창조성이며, 청결과 봉사적인 역할을 감당해야한다는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헤어미용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실력이며, 여성헤어미용사를 선호한다는 인식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사의 이직 원인으로 임금관련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임 급여는 100만원 이상~150만원 미만이, 하루 평균 근무시간으로 9~10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에게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헤어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이 호전되고 있지만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미용업 분야의 사회보험 가입 실태 및 분석에 관한 연구 -헤어, 네일, 피부, 메이크업 분야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Beauty industry parts' current social insurance status and its analysis)

  • 최서연;이현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3-399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ek beauty industry parts' current social insurance admission status. To achieve the purpose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470 beauty artists an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study proposed that hairdresser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and field of nail art showed the lowest awareness in social insurance admission status. Social insurance admission status shows that beauty artists in hair field had the most applicants of national pension, health insuranc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beauty artists of skin field had the highest desire for social insurance application. This study hopes to be used as base line data of social insurance applicants' accurate status and application.

웨딩드레스 이미지에 따른 헤어 업스타일 연구 (Hair Up-styling Techniques by Wedding Dress Image)

  • 김영주;임순녀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63-72
    • /
    • 2020
  • 본 연구는 웨딩드레스 이미지에 따른 업스타일 표현 기법에 대한 연구로 웨딩드레스 이미지와 어울리는 업스타일을 찾고자 하여 미용업에 종사하는 미용사를 중심으로 설문을 했고 그 설문에 따른 결과로 작품을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로맨틱한 웨딩드레스에 어울리는 업스타일은 가르마가 없는 올백형으로 빗질을 시원하게 위로 향하게 하여 탑포인트에 연출하는 땋기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귀여운 이미지 연출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엘레강스한 이미지의 웨딩드레스에 어울리는 업스타일은 3 : 7 비율의 가르마를 형성하여 귀를 덮는 정도의 빗질로 네츄럴 포인트를 기준으로 롤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여 스타일을 표현하는 것이 엘레강스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클래식한 이미지의 웨딩드레스에 어울리는 업스타일은 2 : 8 비율의 가르마를 형성하여 귀를 절반 정도 덮는 정도의 빗질로 백 포인트를 기준으로 꼬기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클래식한 이미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용 전문가들이 꼽은 웨딩드레스 이미지에 대해 업스타일을 연출하였는데 이 자료는 업스타일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업스타일을 이해하는 디자인 영역에 기여할 것이다.

실버세대 헤어 미용업의 서비스품질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관계성 연구: 관계품질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of the Hair Beauty Industry for the Silver Generation : With a Focus on Relationship Quality)

  • 유민정;김성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10-416
    • /
    • 2017
  • 고령화 사회의 실버세대는 새로운 소비자군으로 급부상하여 실버고객들이 이용하는 서비스 산업이 발전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미용서비스 분야는 실버세대들에게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는 실버세대의 미용서비스 품질 형성요인을 알아보고 고객충성도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44명의 실버 세대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미용서비스를 이용하는 실버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은 관계품질인 신뢰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품질인 신뢰와 몰입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품질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신뢰는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확신성에서 매개효과가 있었고, 몰입은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확신성, 유형성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버세대를 위한 실버 전용 미용서비스 산업과 그와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이 미미한 실정에서 실버세대를 위한 미용산업이 중요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