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허혈성 뇌졸중 환자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개별화된 교육이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Stroke Patients' Post-discharge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 박형숙;이미헌;하재현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stroke patients' post-discharge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Methods: It was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groups. A total of 32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individualized education three times at one day before, the day of and one week after dischar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x^2$-test. Results: The scores of anxiety at posttest were $45.66{\pm}9.58$ in control group and $35.44{\pm}8.21$ in the experimental group. Self-compliance scores were $44.00{\pm}7.99$ in control and $61.06{\pm}7.69$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indicate that anxiety score is significantly lower (t=-4.58, p<.001), and self-compliance score is significantly higher (t=8.70, p<.001) in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If stroke patients receive a relevant individualized education, it could help reduce their anxiety. Also it would be useful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self-care compliance after discharge.

경동맥 협착증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Carotid Artery Stenosis)

  • 김대현;이인호;윤효철;김범식;조규석;김수철;황은구;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15-821
    • /
    • 2006
  • 배경: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심한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은 뇌졸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술 후 사망이나 뇌졸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경동맥 협착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수술의 합병증을 줄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경동맥 협착증으로 한 명의 술자에 의해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 받은 74명(76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가 64명, 여자가 1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63.6세($40{\sim}77$세)였다. 경동맥 내막절제술만을 시행한 경우가 63예, 내막절제술과 함께 패취를 이용하여 경동맥 성형술을 시행한 경우가 8예, 내막절제술과 함께 경동맥의 일부를 절제한 후 단단 문합한 경우가 5예였다. 수술 중 동맥내 션트는 29예에서 사용되었다. 총경동맥과 외경동맥을 겸자한 후의 평균 내경동맥 역류압은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있었던 25예(A군)의 경우 $23.48{\pm}10.04$ mmHg이었고,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없었던 51예(B군)의 경우 $47.16{\pm}16.04$ mmHg이었다. 두 군 간의 내경동맥 역류압의 평균치는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p=0.095)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 환자의 내경동맥 역류압은 모두 40 mmHg 이하였다. 내경동맥 역류압에 관계없이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없으면 동맥내 션트를 시행하지 않고 수술하였다. 합병증은 일시적인 설하신경 마비 4예, 기존의 뇌경색 부위에 발생한 뇌출혈 2예, 경미한 뇌경색 1예, 봉합 부위의 혈액 누출에 의한 혈종 1예, 술 중 과도한 견인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생각되는 후두 부종에 의한 상기도 폐쇄 2예였다. 기존의 뇌경색 부위에 발생한 뇌출혈 2예 중 1예는 응급 수술을 시행한 경우로 뇌출혈이 심해 보존치료 도중 사망하였다. 결론: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수술 사망률이 낮은 비교적 안전한 수술 방법이다. 허혈성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맥내 션트는 내경동맥 역류압보다는 뇌파의 허혈성 변화 여부에 따라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후두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중 과도한 견인을 피하고 수술 직후 혈압을 엄격히 관리해야 하며, 후두 부종이 의심되면 작은 구경의 튜브를 이용한 기관 삽관이나 응급 기관절개술 등을 통하여 신속하게 기도를 확보해야 한다.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재원적절성 평가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Hospitalization for the Cerebral Ischemia Patients)

  • 염효영;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0-9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ppropriateness of admission and days of care for the cerebral ischemia patients as a basis to provide an effectiveness of hospitalization.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erebral ischemia patients in two hospitals from November 1997 to February 1998. Of 194 medical records reviewed, there were 2108 medical days. I t is used a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 previously developed by Gertman and Restuccia (1981) and translated by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Services Management (1993),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 had a high inter-rater reliability(k=.92), Statistical significant was tested by using the percentage, mean, and logistic regression by SAS 6.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ppropriate admissions were 87.6%, days of care 63.4%, and the average length of stay $10.9{\pm}6.7$ days. 2. The reasons of inappropriate admissions were for work-up(75.0%) and conservative care (25.0%). Major reasons of inappropriate days of care were 'cases in which the medical purpose of hospitalization has been accomplish or can be addressed in a less setting(45.0%)', and 'cases in which there is a delay in performing the work-up or treatment which required patients is hospitalized (44.4%)'. 3. Appropriate days of care were higher as ageing. Appropriate days of care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lower accademic back ground than those of upper college graduates, and in the patients who enter a hospital via emergency room than out-patients department. Appropriate days of care were higher in the patient with MCA infarction, and lower in the patient with cerebellar infarction than the patient with lacunar infarction. Appropriate days of care were higher in attack first than attack above second, in nomortension patients than hypertensive, and lower in groups who engaged in semi-private room and public room than private room in hospital. Appropriate days of care were higher in shorter length of stay than longer length of stay. 4. Diagnosis, admission path, and appropriate days of care explained appropriate admissions. Diagnosis, appropriate admissions, hypertension explained appropriate days of car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author confirms the substantial amount of inappropriate hospital bed utilization. To reduce inappropriate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me alternative services such as home care services or nursing home with which can be replaced inpatient services and to introduce policy such as case management which includes Critical Pathway for consistent management. And, it should be followed the further study for the effectiveness.

  • PDF

뇌졸중 이차예방 교육프로그램이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 강선미;윤은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46-655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o inhibit the recurrence of the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and to maintain and promote knowledge about stroke, self-efficacy and self-care.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take a quasi-experimental pre- and post-test wit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20 patients and control group consists of 20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knowledge about stroke, self-efficacy and self-care scale wer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4 weeks, 12 weeks after discharge. The tools for measuring knowledge about stroke, self-efficacy and self-care a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0.0 program using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Kolmogorov-Smirnov Z, and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bout stroke (F=4.021, p=.026), self-efficacy(F=6.096, p=.018), and self-care(F=8.026, p=.007)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 PDF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지식과 재발염려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troke Knowledge, Fear of Recurrence on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 최연옥;이주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2-31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ollowing: knowledge of stroke, fear of recurrence and health behaviors among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Further,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will be describ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t a general hospital.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items about general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 Stroke Knowledge Scale, a Stroke Fear of Recurrence Scale, and a Health Behavior Scale.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 was conducted to examine predictors of health behavior.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63.62{\pm}11.10years$, and 57.8% of the sample was men. The mean score for stroke knowledge (possible range=0~17) was $14.99{\pm}1.76$, the mean score for fear of recurrence (possible range=0~32) was $23.16{\pm}3.75$, and the mean score for health behavior (possible range=20~80) was $54.69{\pm}6.46$. Stroke knowledge and fear of recurrence were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F=9.98, p<.001, Adjusted $R^2=.43$).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troke knowledge and fear of recurrence impacts the health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Thus, nursing interventions which focused on fear of recurrence as well as enhancing stroke knowledge could help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일과성허혈발작 및 급성뇌경색환자에서 경두개도플러로 측정된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가 환자 예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symmetric Middle Cerebral Artery Velocity on Functional Recovery in Patients with Transient Ischemic Attack or Acute Ischemic Stroke)

  • 한민호;남효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6-135
    • /
    • 2018
  • 본 연구는 일과성허혈발작 및 급성뇌경색환자에서 양쪽 중 간대뇌동맥의 혈류속도 차이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예후예측력이 뇌졸중 아형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모든 대상자는 일과성허혈발작 및 급성뇌경색환자들이며, 기본적인 평가와 경두개도플러검사(TCD)가 실시되었다.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MCA asymmetry index)는 다음의 공식에 의해 구해졌다; MCA asymmetry index=(|RMCA MFV-LMCA MFV|/mean MCA MFV) ${\times}100$. 뇌경색 분류는 TOAST classification에 따라 진행되었다. 나쁜 예후(poor functional outcome)는 mRS score ${\geq}3$ at 3 months after stroke onset로 정의하였다. 총 988명의 급성뇌경색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그 중 157명(15.9%)이 나쁜 예후를 가지고 있었다. 뇌경색 하위유형 및 여러 혼란변수를 보정 후 실시한 다변량분석에서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만 유일하게 독립적으로 나쁜 예후와 연관성을 보였다. ROC curve 분석에서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를 예측모형에 투입하였을 때 투입 전에 비해 나쁜 예후를 예측하는 능력이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from 88.6% [95% CI, 85.2-91.9] to 89.2% [95% CI, 85.9-92.5]). 급성뇌경색환자에서 중대뇌동맥 비대칭 지수는 나쁜 예후를 독립적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경두개도플러검사는 급성뇌경색환자에서 나쁜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관류자기공명영상의 정량적 평가: 1.5 T와 3.0 T 기기 비교 (Quantitative Evaluation of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Hyper-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Comparison with 1.5 T and 3.0 T Units)

  • 구은회;문일봉;동경래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3-198
    • /
    • 2016
  •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e of biological mechanism are independent of magnetic field strength in hyper acute ischemic stroke. 3.0 T magnetic field, however, does affect the SNRs (signal to noise ratio) and artifacts of PMRI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e), which basically will influence the quantitative of PMRI.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ield strength on PMRI ar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iseases also are discussed. PMRI in WM(white matter), GM (gray matter), hyper acute ischemic stroke were companied with 1.5 T and 3.0 T on SNR. PMRI also was compared to the SI difference after setting ROI(region of interest) in left and right side of the brain. In conclusion, the SNRs and SI of the 3.0 T PMRI showed higher than those at 1.5 T. In summary, PMRI studies at 3.0 T is provided significantly improved perfusion evaluation when comparing with 1.5 T.

급성 뇌경색 진단을 위한 CT관류영상과 MR확산영상의 비교 (The functional imaging to Diagnose Acute Cerebral infarction Comparing between CT Perfusion and MR Diffusion Imaging)

  • 김선희;은성종;임채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9-26
    • /
    • 2012
  • 급성 뇌졸중의 경우 빠른 시간 내의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관류CT와 확산강조MRI의 영상을 비교하여 허혈 부위와 경색부위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관류 CT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MRI)을 시행한 12명의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각각의 CBF, CBV, MTT, TTP지도와 DW-MRI의 신호강도 값을 비교하고, 관류CT와 DW-MRI에서 병변의 크기 비교를 해보았다. CBF, CBV, MTT, TTP는 모두 관류결손을 보였고, 관류 결손이 인지되는 부위에서 MTT와 TTP시간의 현저한 지연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MTT와 TTP 지도의 결손부위 면적은 DW-MRI 보다 크게 나타나 허혈성 반음영을 추측할 수 있었고, 일부 DW-MRI에서 경색부위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류 CT의 지도를 이용하면 뇌경색의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허혈 중심부, 그리고 허혈성 반음영을 예측하여 관류결손 부위의 혈류 역학적 상태를 평가 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중환자실(重患者室)에서 기관내(氣管內) 삽관후(揷管後) 퇴원(退院)한 환자(患者)의 임상통계(臨床統計) 고찰(考察) (Clinical Observation for Endotracheal intubation Patients in ICU)

  • 남창규;문병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07-432
    • /
    • 1996
  • 연구배경(硏究背景) 및 목적(目的) : 중환자실에서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 환자의 실태분석과 질환별 빈도, 부위 및 예후판정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對象) 및 방법(方法) : 1992년 1월 1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대전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중환자실에 입실(入室)하여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을 실시한 환자 37명을 대상(對象)으로 조사하였다. 결과(結果) 및 결론(結論) : 1.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을 시행한 환자수는 37명으로 전체 내실(內室)환자의 4%를 차지하였다. 2. 질환별 빈도는 허혈성 뇌졸중이 가장 많았고, 출혈성 노졸중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뇌혈전이 뇌색전보다 많았다고, 뇌실질내출혈이 지주막하출혈보다 많았다. 3. 뇌색전의 병변부위는 중대뇌동맥이 가장 많았고, 뇌혈전과 뇌실질내흡연에서는 모두 뇌교가 가장 많았다. 4. 성별로는 남녀의 비가 1:1로 같았고, 연령별로는 60대가 가장 많았다. 5. 사상체질(四象體質)분류에서는 태음인(太陰人)이 가장 많았다. 6. 입실(入室) 당시의 의식상태는 GCS 3-7점이 가장 많았다. 7. 선행질환(先行疾患)(과거력(過去歷))으로는 고혈압이 가장 많았다. 8. 중환자실(重患者室) 체류기간(滯留期間)은 2일 이내가 가장 많았고, 발병후 중환자실 퇴원까지 경과기간은 1-3인이 가장 많았다. 9.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 시간별(時間別) 분포(分布)는 13-15(말(末))시(時)가 가장 많았고, 지속시간(持續時間)이 2시간 이내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월별(月別) 분포(分布)는 2월과 5월이 가장 많았고, 계절별로는 겨울이 가장 많았다. 10. 기관내(氣管內) 삽관시(揷管時)의 결정시간(決定時間)은 심전지후가 호흡부전시보다 빈도가 높았다. 11. 중환자실에서의 합병증으로는 비뇨기감염이 가장 많았고, 폐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으로 인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