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6초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on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김보라;정미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51-158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도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12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연령(F=5.52, p<.001), 간호사 직업 이미지(F=1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r=.563, <.001)과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며,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𝛽=.338 P<.001), 학습열의(𝛽=.195 P=.027)로 확인되었고,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35%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effect of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Core Nursing Skills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 Ji-Yeong Ryu;Seo-A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45-152
    • /
    • 2024
  •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경상북도 소재 K대학교 간호학과 3,4학년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학년(F=-2.08,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자기효능감(r=.50, p<.001)과 전공만족도(r=.62,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β=.49, p=.002), 자기효능감(β=.24, p<.001)으로 41.7%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전략을 수립하고 이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Cor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Confidence of Performance in Core Nursing Skills,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구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01-511
    • /
    • 2023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24일부터 10월 1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 3.36점,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3.42점, 임상실습 교육환경 3.20점, 임상수행능력 3.66이었다.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사키기 위하여 핵심간호술 교육을 체계화하고, 유기적인 산학협력을 통하여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Solving Skills on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서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59-166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에 소재한 S대학의 간호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14일부터 2023년 8월 18일까지 자가 기입식 설문지로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4.2.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는 lavaan package의 sem function, multilevel package의 sobel funct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핵심간호술 수행자심감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지식, 수행,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based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Program on Knowledge, Nursing Practic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이경미;정미란;임소연;유영미;민신홍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97-10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HMD 기반의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간호 학생의 지식, 수행도,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A지역 소재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학생 45명이며, 가상현실 활용 핵심간호술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21명, 마네킨 모형 사용의 고전적 방법을 활용한 대조군 24명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핵심간호술 훈련을 마친 후, 술기가 포함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3일부터 10월 28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검정(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이후 간호학생의 지식은 실험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고(t=-2.13, p=.039), 수행자신감은 대조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t=2.63, p=.012). 수행도,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학생들이 실제 수행을 하기 전 지식과 수행 절차를 익히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마네킨 모형을 사용하는 고전적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 학생들의 술기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On-line-Based Education by COVID-19)

  • 차혜경;김한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59-46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C시에 소재한 N대학 간호학과 14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 test를 활용한 차이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은 자기 주도 학습준비(r=.368, p<.001), 학습 동기의 하위영역인 내재적 동기(r=.232, p=.005), 외재적 동기(r=.344, p<.001), 과제 가치(r=.237, p=<.001), 학습통제신념(r=.262, p=<.001), 자기효능감(r=.44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 요인으로는, 4학년(β=0.413, p<.001), 학습 동기의 하위 영역 중 외재적 동기(β=0.307, p<.001), 자기효능감(β=0.316, p=.005)이었으며, 설명력은 35.8%였다(F=8.354,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증진을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외재적 동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이는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온라인 중심의 간호교육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상호동료 교수학습 기반의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323
    • /
    • 2020
  • 본 연구는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학생 83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수술전간호, 개인위생, 수술후간호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수술전간호, 수술후간호의 숙련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의 실습만족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은 난이도 '중' 정도의 핵심간호술의 수행자신감과 숙련도에 효과가 있으며 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다양한 실습교과에 확대 적용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의 난이도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Nursing Skills Improvement Program on Nursing Skills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하영옥;안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23-231
    • /
    • 2017
  • 본 연구는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융합적으로 검증하여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첫 임상실습을 앞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7개 핵심간호술(활력징후 측정, 경구투약, 근육주사, 피하주사, 단순도뇨, 배출관장,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을 선정하여 2015년 1월 19일부터 23일까지 5일간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58명의 자료는 서술적 분석과 짝비교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 후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 점수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신감과 문제해결능력에서 사전보다 사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총 수행능력과 관련변수들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작성 지식의 중요도, 비판적 사고성향, 핵심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portance in the Knowledge of Nursing Record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e with Nursing Students)

  • 오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27-63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작성 지식의 중요도, 비판적 사고성향, 핵심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기록 작성 지식의 중요도, 핵심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β=.43, .31, .24)순이었고, 설명력은 61.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해볼 것을 제안한다.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among Nursing Students)

  • 김애경;김래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5-6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43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43명으로 총 8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는 2명의 연구자에 의한 관찰평가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hi}^2$-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실습 자신감(t=2.170, p=.033), 학업적 자기효능감(t=3.096, p=.033), 핵심 기본 간호술 성취도(t=2.817,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실습만족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 교육현장에 도입되어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