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외취업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2초

해외취업자 실태조사를 통한 청년 해외취업전략 연구 (Developing Strategies for Youth Overseas Employment Through a Survey of the Overseas Employed: Focusing on the K-Move Program)

  • 유재홍;엄기용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69-378
    • /
    • 2021
  • 최근 우리나라 청년실업은 경제사회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실업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글로벌 일자리 창출이 오래 전부터 대두되어 왔으며, 정부는 2013년부터 기존의 해외진출 사업들의 내실화를 위해 해외 취업, 인턴, 봉사 및 창업 지원을 "K-Move" 브랜드로 통합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018년 기준으로 볼 때 해외취업 희망자 중 실제로 해외취업에 성공하는 비율은 24.5%에 불과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해외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외취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가 주는 주요 해외취업 전략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취업의 명확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해외취업을 위한 사전준비 활동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해외취업과 관련한 정보인프라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넷째, 지역 및 국가별 차별화된 취업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외취업 희망자 뿐만 아니라 해외취업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정부기관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s for Overseas Field Training and Overseas Employment to cultivate Global Leaders)

  • 장지연;고경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01-308
    • /
    • 2020
  • 최근까지 해외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관련 연구들은 이론적 고찰, 실태 분석, 해외 노동시장 동향 분석과 같이 주로 노동시장과 관련한 이슈들을 다루어 왔을 뿐 실제로 다양한 국가에 파견되어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업무를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이나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인 니드(need)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못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FGI, 성공사례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당자사들의 현황을 심도있게 진단해 보고, 이를 통해 향후 해외취업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이 취해야 할 교육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재의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도출된 요구사항들을 체계화함으로써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프로그램에 대한 바람직한 운영지침을 도출하고, 학생들의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과 정책적 대안들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해외취업 해기사의 평생 임금 외화가득액, 1978-92

  • 김성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5-197
    • /
    • 2021
  • 한국의 현대 해운업이 불과 반세기 만에 세계적인 수준으로 성장하는 데 해기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는 1960년대 중반에 시작된 해외취업과 외화획득, 선원송출업, 해운대리점업, 선박소유 등의 연관 산업의 발전을 통해 해운산업의 성장에 '내부 '파급효과'와 '외부경제 효과'를 미쳤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해외취업선원의 외화획득은 경제발전 초창기에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외화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경제적 의의가 컸다고 할 수 있다. 1965년부터 1999년까지 해외취업 선원들은 82억 6178달러를 벌어들인 데 반해, 파독 근로자들은 1963년부터 1977년까지 1억 15만달러를 국내로 송금한 데 그쳤다. 이 연구에서는 1978년에서 1992년까지 미국선사인 Lasco에 취업했던 해기사의 월급여명세서를 분석해 해기사의 평생 임금수입액을 계산해 볼 것이다. 분석 결과, 11년 5개월간 승선기간 동안 24만 3230달러(1억 6606만 7839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승선기간 월평균 120만 5282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우리나라 제조업 월평균임금의 약 3.8배에 상당하는 것이고, 1963-1977년까지 파독근로자 1인의 평균외화송금액 5273달러에 비해 46배에 상응하는 것이다.

  • PDF

CIPP모형을 이용한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Overseas Field Practice and Overseas Employment Programs using CIPP Model)

  • 고경일;홍성혁;조정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02-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프로그램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관련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고 CIPP모형에 맞추어 설문을 구성하고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해외진출 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주요결과로는 참여자들의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인의 참여의지가 강해야 하고 해외취업 프로그램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해외취업 성사 후에도 담당자의 현지출장 및 업체와의 관계유지 등 지속적인 지원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현행되고 있는 해외진출 프로그램들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효과와 문제점들을 확인함으로써 국가, 대학, 지자체의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관련 사업 정책 수립시 도움될 만한 시사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해외취업사업 평가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최병기;박재현;양광모;나승훈;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3-440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까지 주먹구구식, 각 부처별로 평가가 이루어져 왔던 해외취업사업을 통계적, 경영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새로운 정책 발굴의 여지가 많은 청년층 국가 간 교류사업 즉 해외취업사업에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틀을 제시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한다. 해외취업사업은 국가 중요 정책사업이면서 형태가 구축되지 않은 비표준 정책으로 정책의 완성을 위해 현재 이루어졌던 사업에 관련된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의 미래방향에 대해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초국적 이동성과 일 경험: 한국 청년들의 싱가포르 해외취업 사례 연구 (Exploring the Transnational Mobility and Work Experience of Young Koreans in Singapore)

  • 육주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3호
    • /
    • pp.111-158
    • /
    • 2018
  • 최근 정부 및 교육기관 차원의 해외취업/인턴십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싱가포르의 저숙련 저임금 서비스 직종에서 일하는 한인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싱가포르 내 새로운 유형의 한인 이주자로 등장하고 있는 이 청년들과 싱가포르, 한국에서 진행한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해외 취업 동기와 기대, 취업 이주 경로, 싱가포르에서의 일 경험, 귀국 후 생활을 살펴본다. 싱가포르 해외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중 다수는 싱가포르 취업 사증 중 가장 낮은 등급의 저숙련 사증인 WP(Work Permit)를 소지하고 서비스직에서 근무하며 탈숙련화를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이 취업 이주를 통해 자신들의 기대와 목표를 충족하고 있는지, 아니라면 어떻게 대응하며, 자신의 이주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청년단기 해외취업 현상에 대해 만족도 효용 평가, 프로그램 정책 평가 및 제언 등을 담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이주 연구(migration studies)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청년들의 구체적인 경험들과 그에 대한 본인들의 해석에 집중하는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경험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탈숙련화와 이동성 자본(mobility capital) 개념을 통해 해석해 봄으로써, 청년 해외취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냄과 동시에 이들의 행위자성에 주목한다.

해외 취업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일본 IT과정을 중심으로) (Curriculum Design for Overseas Employment (focused on Japanese IT courses))

  • 권윤경;이면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1-36
    • /
    • 2022
  • 로컬에 국한되지 않고 글로벌한 지식경제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사회 많은 분야에 글로벌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은 국내 취업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의 높은 스펙과 자격요건에 대한 취업 진입 장벽이 높아 정부와 지자체, 대학에서는 글로벌 해외 취업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IT 기업 취업을 목표로 한 K-MOVE 해외취업연수 사업의 교육과정 설계이다. 이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구인업체와 학생들의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를 도출한다. 이후, 정규교과와 K-MOVE 교육과의 효율적인 연계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는 일본 IT분야 해외 취업을 기획하는 교육 전문가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방사선사 해외취업 및 국내 연계교육에 대한 요구도 : 방사선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Requirements in the Overseas Employment and Domestic Connected Educ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 Refers to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 한은옥;김부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2호
    • /
    • pp.191-198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방사선사의 해외취업 및 국내 연계교육에 대하여 방사선과 재학생의 정보습득 실태와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방사선과 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교육적 개입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방사선과 재학생 688명에게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방사선사 해외취업이나 이를 위한 연계교육에 관한 정보습득이 없다는 경우'가 487명(70.8%)이고 그 이유로 '교육의 기회가 없기 때문'이 424명(6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외취업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유학을 하지 않고 학교자체에서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을 선택한다'가 436명(63.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외 취업에 대해 관심 있는 국가는 '호주'가 247명(35.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외취업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은 반면에 관심, 필요성, 참여의향, 해외취업 희망 정도는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화 흐름에 본 대상자들도 동감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구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PDF

중국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의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Identity i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Overseas-Employed families of Yanbian in China)

  • 박수영;김순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89-697
    • /
    • 2019
  • 본 연구는 연변지역 조선족 가족으로 부모가 해외취업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부모가 해외취업중인 청소년은 부모와의 장기적인 별거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부모와의 장기 별거로 우울·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살펴보고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변지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에 해당하는 총 16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의 우울·불안은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조선족 청소년의 우울·불안 수준을 줄이고, 자아정체감의 향상을 통해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