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 콘텐츠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도시 인접 섬마을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해양문화콘텐츠개발에 관한 연구 (경남 창원시 실리도를 중심으로)

  • 엄민호;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45-147
    • /
    • 2021
  •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은 농어촌지역의 섬마을과는 차별화된 해양문화콘텐츠가 필요하나, 섬마을 내 농어업을 영위하는 주민들의 생업 형태는 대부분 유사한 실정임.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의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리도만의 특색있는 해양문화콘텐츠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함

  • PDF

Development of Busan Marine Tourism Contents using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Leisure Theme Course in Galmaetgil-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부산 해양관광 콘텐츠 개발 -갈맷길에서의 해양레저 테마 코스 개발을 중심으로-)

  • Lee, Bo-Bae;Kang, Bum-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8
    • /
    • pp.196-208
    • /
    • 2017
  • Busan is one of the most popular tourist cities of the Republic of Korea. To develop differentiated urban brand as the nation's flagship maritime city, Busan needs to explore diverse marine tourism stories and develop related content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torytelling as a way to facilitate the maritime tourism of Busan, this study attempted to i) create 'marine leisure Galmaetgil of Busan' contents using 5-step storytelling modules and ii) develop themed tour routes based on the marine tourist contents and related graphic elements such as tour route map and image editing. Galmaetgil is a beautiful trail developed along the coastal line. It is one of the most famous tourist contents of Busan. Based on this asset, Busan would be able to develop its own tourist contents as the nation's proud marine-leisure city. The emotional stories which can draw a great attention from the citizens and tourists and informative storytelling would make people understand and experience marine leisure in a fun and easy.

A Study on Development of Ocean Leisure-Weather Service Contents in Jeju Region (제주지역 해양레저-기상서비스 콘텐츠 개발 연구)

  • Kim, Jeong-Yun;Park, Ki-Jun;Shin, Hyun-Suk;Kim, Baek-Jo;Park, Gil-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49-350
    • /
    • 2014
  • 제주는 해양레저의 메카로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지만, 전문해양기상서비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상청의 기상정보를 활용한 해양레저 기상서비스 콘텐츠를 개발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콘텐츠 개발에 앞서 현재 해양레저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해외 사이트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그들의 기상정보 활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결과를 참고하여 해양레저 인구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 PDF

문무대왕릉의 가치정립을 통한 해양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 An, 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5-257
    • /
    • 2019
  • 경주 문무대왕릉은 신라 30대 문무왕의 무덤이다. 한반도 동해안에서 200m떨어진 바다에 있는 수중릉으로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건조물이다. 이 수중릉은 천녕을 넘는 예부터 내려오는 찬란한 해양문화으 결정체이다. 이 위대한 해양문화유산은 그 진정한 가치를 정립해야 할 것이고, 그를 토대로 하여 보전과 활용(Conservation & Utilization)의 맥락에서 해양문화콘텐츠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Applicability of Emotional Cultural Contents using Natural Landscapes of Marine Tourist Cities (해양관광도시의 자연경관 활용한 감성 문화 콘텐츠 적용 가능성 연구)

  • Yeom, jeong hwan;Kang, rea-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53-454
    • /
    • 2016
  • 콘텐츠는 다양한 문화적인 특징을 내포하고 있으며, 어떤 환경이건 그 지역의 문화를 콘텐츠로 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콘텐츠는 우리생활에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부산 해양관광지를 중심으로 해양도시의 자연환경을 활용한 특색 있는 감성 문화 콘텐츠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해변에서의 여가활동 증진에 새로운 디자인 시스템으로 도움이 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감성문화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감성문화사례를 통해 각 지역의 특색을 느낄 수 있는 '테마길', '지역성이 반영된 스탬프 투어' 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과제에서는 부산 해양관광지를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통한 분석과정을 이행할 것이며, '길'이라는 테마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그에 대응 하는 문화적인 콘텐츠로의 연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and Marine Life Culture Contents for 3D Realistic Experience-Based Learning (3D 실감 체험학습을 위한 증강현실 저작도구 및 해양생물 문화콘텐츠)

  • Won, Yong-Tae;Kim, Ha-D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5
    • /
    • pp.70-80
    • /
    • 2012
  • The marine life culture contents added with fun and learning factors are created in a 3D space, and the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ncerning marine life resources in islands and the utilization method of experience-based learning are proposed. As a WYSIWYG-based authoring tool, an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was made to easily use a authoring tool through a node structure and drag & drop. Marine life contents add the animation effect through a marker and event factors such as the change of modeling data, and also, they support real experience-based learning with the narration of marine life. Based on around 50 species of marine animals augmented reality contents, a marine animal AR book can be utilized as a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classes, and as a 3D image education utilizing augmented reality, it enhances a learning effect by allowing realistic observation, various ways of thinking, and the maximum flow.

해양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도시어항 공간환경마스터플랜 수립에 관한 연구 -부산 암남항 어촌뉴딜300사업을 중심으로-

  • ;엄민호;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83-285
    • /
    • 2022
  • 도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도시어항은 도시화에 비해 쇠퇴되고 있다. 도시어항 어민들의 어업활동은 축소되고 있으며, 어항의 새로운 변화와 활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어촌계의 고령화, 어항구역 및 인접 대지의 토지활용 등 실질적인 한계점은 어항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암남항 해녀와 낚시 콘텐츠를 활용한 해양문화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2022년 암남항 어촌뉴딜300사업 시행에 앞서, 암남항의 해양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도시어항 공간환경마스터플랜을 수립함으로서 암남항의 새로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수행의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Promotion of Island Tourism through Development of Marine Food Tourism Contents (해양음식 관광콘텐츠 개발을 통한 섬 관광 활성화 방안 고찰)

  • Lee, Woong-Kyu;Hong, In-G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5
    • /
    • pp.127-13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promote the tourism of the island by developing the contents of the marine food tourism. Activation of island tourism should begin with developing marine food tourism content. In the viewpoint that the development of marine food tourism content is a priority,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and related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various literature, periodicals, government documents an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As a result of this study, to develop the marine food tourism contents in Korea and to promote the island tourism,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arine food tourism contents as representative contents of the island tourism, develop and operate the high value added fusion food tourism product, And the development of marine food tourism products that meet the island tourism paradigm and changes in tourism patterns of tourists.

등대해양문화공간 스토리텔링에 따른 실질적 적용과 활성화방안 연구

  • Kim, S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43-447
    • /
    • 2013
  • 홍보관, 영상관, 야외공연장 등 체험하며 소통할 수 있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