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and Marine Life Culture Contents for 3D Realistic Experience-Based Learning

3D 실감 체험학습을 위한 증강현실 저작도구 및 해양생물 문화콘텐츠

  • Received : 2012.03.22
  • Accepted : 2012.05.09
  • Published : 2012.05.28

Abstract

The marine life culture contents added with fun and learning factors are created in a 3D space, and the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ncerning marine life resources in islands and the utilization method of experience-based learning are proposed. As a WYSIWYG-based authoring tool, an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was made to easily use a authoring tool through a node structure and drag & drop. Marine life contents add the animation effect through a marker and event factors such as the change of modeling data, and also, they support real experience-based learning with the narration of marine life. Based on around 50 species of marine animals augmented reality contents, a marine animal AR book can be utilized as a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classes, and as a 3D image education utilizing augmented reality, it enhances a learning effect by allowing realistic observation, various ways of thinking, and the maximum flow.

3D 입체공간에서 재미와 학습요소가 가미된 해양생물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도서해양 생물자원의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과 체험학습의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증강현실 저작도구는 위지윅(WYSIWYG) 기반의 저작도구로 Node 구조와 Drag & Drop을 통해 저작도구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양생물 문화콘텐츠는 marker를 통한 애니메이션 효과, 모델링 데이터의 변화 등의 이벤트 요소를 추가하고, 해양생물 내레이션(narration)으로 실감 체험학습을 지원한다. 해양생물 AR Book은 50여종의 해양생물 증강현실 콘텐츠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업 교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증강현실을 활용한 3D 입체영상 교육으로 실재적 관찰, 다양한 사고, 최대의 몰입감을 부여하여 학습효과를 높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반의 체험형 학습콘텐츠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2. 김영선, 증강현실 컨텐츠를 위한 저작도구 설계, 고려대학교대학원 컴퓨터전파통신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3. R. T.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In Presence :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 Vol.6, No.4, pp.355-385, 1997. https://doi.org/10.1162/pres.1997.6.4.355
  4.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pp.1-13. 2010(2).
  5.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현존감.학습몰입.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 장상헌, 계보경,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학회지, 제5권, 제2호, pp.79-85, 2007(12).
  7. G. A. Lee, G. J. Kim, and M. Billinghurst, "Immersive Authoring: What You eXperience Is What You Get,"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8, No.7, pp.76-81, 2005. https://doi.org/10.1145/1070838.1070840
  8. P. Grimm, M. Haller, V. Paelke, S. Reinhold, C. Reimann, and J. Zauner, "AMIRE - Authoring Mixed Reality," The First IEEE International Augmented Reality Toolkit Workshop, Darmstadt, Germany, 2002.
  9. 계보경, "증강현실의 교육적 이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10. Blair MacIntyre and Maribeth Gandy, "Prototyping Applications with DART, The Designer's Augmented Reality Toolkit," STARS 2003, pp19-22, 2003(10).
  11. 박지혜, 모바일 기기를 위한 증강현실 저작도구의 개발, 국민대학교대학원 컴퓨터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12. http://www.digilogbook.co.kr
  13. 픽토스튜디어, "애코와 한글 친구들", 상상스쿨, 2010.
  14. 픽토스튜디어, "애코와 숫자 친구들", 상상스쿨, 2010.
  15. http://www.hitl.washington.edu/artoolkit/
  16. 이지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증강 현실 기반 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멀티미디어교육공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09.
  17. 장한별,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상호작용 증강현실 전자요리 시스템, 전남대학교대학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18. http://www.easylear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