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안과정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3초

연안류에 대한 2D-H 사면구조에 기초한 수치모델링 (2-DH Quadtree based Modelling of Longshore Current)

  • 박구용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1
  • 파랑으로 인해 발생되는 흐름은 연안에서 질량수송의 일련의 과정을 야기시키므로 연안유역의 관리에 파랑과 흐름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적응가능한 사면 구조 격자에 근간을 둔 파랑장과 흐름장을 혼합한 수치모델을 기술하였다. 사용한 모델은 쇄파, 천수, 굴절, 회절, 파랑과 흐름의 상호작용, 평균해면의 저하와 상승, 혼합 과정, 바닥 마찰 효과 그리고 해안선에 접한 운동 등을 해석할 수 있다. 주기와 수심으로 평균한 지배 방정식은 단계적으로 엇갈린 사면구조 격자에 적응 가능한 Adam-Bashforth 2차 유한 차분 기법으로 양해적으로 모델화 되었다. 본 모델로부터의 결과는 평면 해변에서 경사 입사파에 의해 발생된 연안류의 실험치와 타당한 일치를 보였다.

  • PDF

해양과정의 컴퓨터 동주화 -지진진파(쯔나미)의 경우- (Computer Animation of Marine Process - Tsunami Events -)

  • 최병호;이호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4
    • /
    • 1993
  • 슈퍼컴과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여 해양과정의 모델링 결과를 고화질의 컴퓨터 영상으로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년에 발생한 지진진파(쯔나미)에 대한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산정된 수위를 3차원적으로 연속적인 동화로서 제시하였다. 이 결과 광원, 반사 및 음영을 나타내는 최신 렌더링 기법에 의한 사진과 같은 효과를 갖는 영상들을 구축하였다. 비디오동화에 의한 수치모형의 결과는 실제적인 쯔나미의 파급거동을 잘 제시하였다.

  • PDF

한국근해의 디지털 수심.표고 데이터베이스 (Digital Bathymetric and Topographic Data for Neighboring Seas of Korea)

  • 최병호;김경옥;엄현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5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 근해인 황해, 동중국해 및 동해 전역의 1분 수평격자 간격의 표고와 수심자료와 한반도 주변해역인 동·서·남해안 해역의 1초수평격자 간격의 표고, 수심자료를 결합 생성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창출하였다. 육상표고와 해양수심자료의 결합에서는 공통기준면으로서 평균해면을 사용한 자료결합이 시도되었으며, 편집된 1분 격자 수치수심은 지금까지 보고된 한국근해 수심자료로서는 가장 신뢰성이 있으며 심해인 동해와 대륙붕해 인 황해 및 동중국해의 조석, 해일, 순환과정을 상세하게 해상하는 중규모적 해양과정과 연안범람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형성하였다.

전방추적법에 의한 오염물질의 전송 모델 (A Pollutant Transport Model by the Forward-Tracking Method)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4
    • /
    • 1998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혼합 방법(hybrid method)은 흐름이 우세한 영역에서의 전송 문제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오일러-라그란쥐적 방법과는 달리 전방추적에 의하여 이송 과정이 수행되므로 보간 기법이 불필요하고 무작위 행보에 의한 라그란쥐적 방법과 달리 유한 차분법에 의하여 확산 과정이 수행되므로 많은 입자가 요구되지도 않는다. 한 점에 순간적으로 부하되는 오염원과 연속적으로 부하되는 오염원에 대한 이론적인 해와 비교하여 확산 계수와 무관하게 상당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현 방법은 또한 2차원 상에서 주변 5격자로부터 보간하는 오일러-라그란쥐적 방법과 무작위 행보로 입자 추적하는 순수 라그란쥐적 방법과 비교하여 정확성은 물론 계산 시간에 있어서도 상당히 월등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 PDF

우이도 해안사구의 지형특성과 형성과정 (The Processes of Coastal Dunes and its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i-island, Shinan-gun, Korea)

  • 신원정;김종욱;김종연;최정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
    • /
    • 2017
  • Massive coastal sand dunes are distributed in Ui-island, Shinan-gun. The sand dunes in Ui-island is worth studying, in terms of preserving natural environment without anthropogenic impacts. In this study, we surveyed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the sand dune based upon measuring of geometric properties, grain size analysis, and OSL(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age dating. The sediments of the dune consist mainly of well sorted medium sand with about 250$\mu$m.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of sand dunes, we found that they are formed by northwest monsoon during winter, and sands are supplied from Seongchon area in northern UI-island. According to OSL age dating, the sand dunes were deposited from $0.07{\pm}0.01ka$ to $0.17{\pm}0.04ka$. This result show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dune due to the sand movement by wind was active during the last 100-200 years. The aerial photograph indicates that the dimension of the largest sand dune has decreased since 1945.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get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geomorphic changes of sand dunes in UI-island.

라디에이션 응력의 평가방법에 따른 평균수위변화 (Variation of Wave Set-Up/set-Down due to the Evaluation of Radiation Stress)

  • 김경호;차기욱;조재희;윤영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63-270
    • /
    • 1993
  • 일정 경사 해저면을 갖는 해안에 입사한 파가 천수변형을 거치고 쇄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디에이션 응력 및 평균수위 변화를 다루었다. 일반적으로 선형파동 이론에 의해 산정된 라디에이션 응력은 쇄파대내 및 그 부근에서 과대 평가되는데, 이것이 평균수위 변동의 계산치와 실험치와의 불일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Svendsen(1984)이 제안한 라디에이션 응력을 수정해서, 수심의 함수로 표시하고, 계산결과를 선형이론, 쇄파의 성분파고 스펙트럼에 기초한 Sawaragi(19梨) 방법 및 기왕의 실험데이타와 비교하였다. 수정된 Svendsen의 방법은 실험치와 비교적 양호한 일치를 보여 주었다.

  • PDF

강원도 중부(주문진-양양) 해안평야의 형성과정과 고환경 (The Geomorphic Development and its Paleoenvionment of the Middle Part of the Coastal Plain Gangweondo, Korea.)

  • 오건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68
    • /
    • 1996
  • 강원도 주문진에서 양양에 이르는 해안평야의 지형형성과 고환경을 신석기유적의 기초조사 연구의 하나로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4기 최종빙기의 최성 기에 해당되는 15,000y.B.P. 경에는 연구지역은 해수면의 하강에 따른 연장하천의 개석곡으 로서 아한대의 침엽수림의 육상영역하에 있었다. 2. 15,000y.B.P.경 이후 해수면은 기온의 호 전으로 7,500y.B.P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개석곡은 연장하천의 후퇴로 육성에서 얕은 하성으로 바뀌었다. 3 해수면 상승은 7,500y.B.P. 이후 빨라지면서 해진 (transgression)으로 되었고 그결과 개석곡은 4,000y.B.P.경에 이르러 하성에서 내만 또는 익 곡의 기수성으로바뀌게 되었다, 이 기간은 후빙기의 이른바 고온기(hypsithermal period)로 서 낙엽활엽수 시대였고 내만 또는 익곡의 가장자리에서는 수생식물이 생육하는 습지환경으 로 변모되었다. 4. 개석곡을 내만 또는 익곡으로 변모시킨 해진은 1,500yB.P.경까지 이어지 면서 지금의 고도에서 안정되었다. 그 결과 내만 또는 익곡의 만입부에서 사주가형성되면서 내만 또는 익곡은 곳에 따라 담수 또는 기수역의 석호로 변하였고 기후는 이전의 고온시대 와는 달리기온은 조금식 하강하는 한랭기후로 서서히 변모시켰다. 5. 석호는 1,000y.B.P. 경 에 이르는 동안 배후로부터 운반된 하천의 토사와 전면의 풍성사 그리고 무성하게 생육하는 수생식물에 의해 서서히 고석호로 등장되기 시작되었다. 6. 1,000y.B.P. 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하천의 토사와 풍성사의 퇴적증가로 육화가 가속되면서 본래의 개석곡은 매적곡으로 등장되었고 그 결과 지금의 해안평야가 형성되었다.

  • PDF

천해역으로 확장된 WAM모형에 의한 영일만 파랑모의 (Wave Simulation on Youngil Bay by WAM Extended to Shallow Water)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11-520
    • /
    • 2007
  • 심해역 파랑모형인 WAM에 쇄파와 삼파 상호작용을 추가하여 모형의 적용영역을 천해역으로 확장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영일만에서의 파랑변형 모의를 수행하였고, 수치모의된 파랑자료는 영일만 입구 1개소와 영일만 내부 2개소의 관측 결과와 양호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수치모의 결과를 보면, 영일만 입구에서 입사되는 파랑은 영일만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의한 에너지 감쇠와 쇄파 작용 등으로 인해 파고의 점진적 감소가 나타나고, 파향은 주로 NE 계열로 입사되어 연안 근처에서는 굴절 효과로 인해 해안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비디오 모니터링을 이용한 연안환경 관측기술에 대한 고찰 (Review of Coastal Environmen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Video Monitoring)

  • 김태림;이광수;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3
    • /
    • 1998
  • 비디오_모니터링 기술 및 이의 해안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최근에 비디오 하드웨어 및 영상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연안 사주의 형태, 파의 쳐올림 및 스워쉬(swash)운동 등에 대한 관측이 가능해졌다 특히 영상의 디지털화(digitization),좌표수정(rectification)및 영상 처리과정을 통하여 비디오 영상으로부터 정량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비디오 모니터링 기술은, 비록 정밀도가 낮고 육지 및 해수 표면에 대한 정보만을 간접적으로 제공하지만, 기존의 관측 기술에 비해 훨씬 적은 비용으로 장기간의 관측을 가능하게 해 준다.

  • PDF

GIS를 이용한 해안단구 지형면 분류 기법 연구 - 감포지역을 사례로 - (Development of the GIS Method for Extracting a Specific Geomorphic Surface of Coastal Terrace at Gampo Area, Southeastern Coast in Korea)

  • 박한산;윤순옥;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58-473
    • /
    • 2001
  • 지형면 분류도는 지형학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자료이다 최근가지 이루어지고 있는 항공사진, 지형도 및 현지조사에 의한 지형면 분류 방법은 많은 시간과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며, 항공사진 획득에도 어려움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수치지도가 거의 완성되었으므로. GIS를 이용하여 해안단구 지형이 갖는 해발고도와 경사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면, 적합한 지형면을 찾아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 해안단구 연구가 다수 이루어진 한국 남동해안 경주시 감포읍 지역에서, GIS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해안단구 지형면 분류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안단구 지형면 분류 과정을 설계하였으며, 지형면 분류에 적합한 분류요인을 선정하고, 최적분류기준을 추출하여 지형면을 분류한 후, 부합을 및 오류율을 통하여 이러한 방법에 대한 효용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