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진균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6초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Antifung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 양은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6-284
    • /
    • 2008
  • 숙성된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1종과 감수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1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5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AF1으로 명명하였고, 감수성 곰팡이는 ITS-5.8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Epicoccum nigrum KF-1으로 명명하였다. Dual culture overlay assay를 통한 Lb. plantarum AF1의 항진균 활성 실험 결과 A. ochraceus, A fumigatus, C. gossypiicola 등 식품 부패 곰팡이 및 병원성 곰팡이에 강한 생육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균 물질에 의한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 외에도 식중독균주를 포함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들에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Lb. plantarum AF1은 넓은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b. plantarum AF1의 생육에 따른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은 배양 20시간부터 최대 활성(3,200 AU/ml)을 나타내어 120시간까지 활성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항진균 물질의 안정성 실험을 통하여 AF1 항진균 물질은 산성의 pH(pH $3.0{\sim}4.0$)와 열에 안정한 물질이며, 단백분해효소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비단백질성 물질이거나 단백분해효소의 영향을 받지않는 구조의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AF1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Lb. plantarum AF1의 배양액을 3,000 Da 이상과 이하의 분획으로 나누어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AF1 항진균 물질은 분자량 3,000 Da 미만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한 김치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은 넓은 범위의 항진균 활성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강력한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6-Chloro-7-(Halo-phenyl )-5,8-Quinolinedione류 합성과 항진균 작용

  • 유충규;박윤미;김희정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4-324
    • /
    • 1994
  • 5, 8-Quinolinedione모핵은 항진균, 항균, 항암제등의 pharmacophore 이다. 그리고 신약 창제의 lead compound로 생체내 전자전달계에 작용하여 환원을 받으면 quinone semiradical과 superoxide를 생성하여 진균, 세균등을 공격하여 항진균, 항균작용이 예상된다. 새로운 항진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6-chloro-7-(halo-phenyl)-5,8-quinolindione유도체 (RCK1-12)을 합성하여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항균작용 및 항진균작용을 검색했다.

  • PDF

피부사상균에 대한 편백정유의 Mono- 및 Sesquiterpene 항진균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es of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in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 곽기섭;박미진;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46-55
    • /
    • 2006
  • 본 연구는 피부사상균에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편백정유에 대하여 이를 구성하고 있는 mono- 및 sesquiterpene 성분들 중 어떠한 성분들에 의해 항진균 활성이 나타나는지 탐색하고 성분들 간의 synergy 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피부사상균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 Microsporum canis (KCTC6591), Microsporum gypseum에 대하여 디스크확산법,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항진균 활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편백정유를 7개(A, B, C, D, E, F, G)로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들에 대하여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분획 D, E, F, G의 항진균 활성이 높았다. GC/MS 분석을 실시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의 주성분을 확인하고 그 중 monoterpene인 borneol, linalool, ${\alpha}$-terpineol과, sesquiterpene인 ${\alpha}$-cedrol, nerolidol, ${\beta}$-eudesmol을 선택하였다. 단일 terpene의 항진균 활성 비교 시 monoterpene보다 sesquiterpene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sesquiterpene의 단일 및 혼합 성분들과 편백정유의 분획 중 항진균 활성이 높고 sesquiterpene의 함유량이 높은 분획 F의 비교 시, sesquiterpene의 조합 성분들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sesquiterpene 성분들의 혼합에 의하여 항진균 활성의 synergy 효과가 발현됨을 의미하였다.

고추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방제를 위한 길항 미생물의 분리 및 항진균 활성 (Screening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for Control of Red-pepper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박성민;정혁준;유대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0-426
    • /
    • 2006
  • 노르웨이의 Oslo시 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p. KMU-991를 이용하여 고추탄저병균인 Colletotruchum gloeosporioides KACC 40804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위한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항진균 물질의 생산은 기본배지로 TSB를 사용하였으며 탄소원으로 1.0% mannitol과 질소원으로 1.0% ammonium chloride를 첨가하였을 매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조건으로는 $30^{\circ}C$, 180 rpm,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30{\sim}60%$ ammonium sulfate 침전물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utanol을 이용하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항진균 물질을 회수하여 다양한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B. cinerea KACC 40573, C. orbiculare KACC 40808, F. oxysporum f. sp. radicus-lycopersici KACC 40537, P. cambivora KACC 40160, 그리고 R. solani AG-4 KACC 40142등에 대하여도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김치 분리 유산균의 치즈 곰팡이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heese fungi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최하늘;오현희;양희선;허창기;배인휴;이재성;정용섭;정은정;정후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27-734
    • /
    • 2013
  • 본 연구는 치즈 숙성 중 오염원인 곰팡이균 제거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치즈 및 치즈 숙성실에서 자생하는 곰팡이를 분리하고, 지역별 김치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여 치즈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즈와 치즈 숙성실에 분리된 곰팡이는 총 8종으로Penicillium과 Cladosporium으로 동정되었다. 지역별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은 총 44종이고 이 중 항진균 활성을 보인 유산균 22종을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와 Pediococcus로 확인되었다. 동정된 김치 분리 유산균 22종 중 항진균 활성도가 높은 유산균 6종(L. sakei subsp. ALJ011, L. sakei subsp. ALI033, L. sakei subsp. ALGy039, P. pentosaceus ALJ015, P. pentosaceus ALJ024, P. pentosaceus ALJ026)을 선발하여, 치즈 곰팡이균 8종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주지역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P. pentosaceus ALJ015, P. pentosaceus ALJ024과 임실지역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L. sakei subsp. ALI033 균주가 치즈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치즈 곰팡이에 대한 유산균 배양액의 최소저해 농도를 측정해 본 결과, 생육저지환으로 알아본 항균활성 실험과 동일하게 분리 곰팡이균 8종에 대하여L. sakei subsp. ALI033 유산균의 항진균 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메주로부터 분리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의 Bacillus polyfermenticus CJ9 (Bacillus polyfermenticus CJ9, Isolated from Meju, Showing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 정지혜;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40-349
    • /
    • 2009
  • 메주로부터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B. polyfermenticus CJ9로 명명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9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세균 활성은 배양 12시간에 최대 활성을 나타내며 72시간까지 90% 이상 활성을 유지하다 120시간에 활성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항진균 활성은 배양 24시간 이후부터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고, 사멸기 이후 활성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배양 120시간까지 활성이 유지되었다. B. polyfermenticus CJ9은 식품과 인체에 유해한 곰팡이, 효모,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었다. B. polyfermenticus CJ9의 항세균 활성은 $37^{\circ}C$ 에서 24시간 열처리 후에 활성을 상실하였으며, pH 5.0~9.0 구간에서는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pH 3.0~4.0 구간에서 활성이 감소하였다. 항진균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시 활성이 감소되었으나 역가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았으며, pH 3.0~9.0 구간에서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세균 물질과 항진균 물질은 proteinase K, protease, trypsin, $\alpha$-chymotrypsin 등의 단백분해효소 처리로 역가를 상실하거나 일부 감소되어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9의 항세균 물질과 항진균 물질을 $C_{18}$ Sep-Pak column에 흡착된 분획으로부터 역가를 확인하여 소수성 물질임을 알 수 있었으며, Tricine-SDS-PAGE 및 direct detection 실험을 통하여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항진균 물질은 약 1.4 kDa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항세균 활성 물질은 열 불안정성 때문에 동 실험법상에서 그 분자량을 확인할 수 없었다. B. polyfermenticus CJ9이 생산하는 항균 물질은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단백질성 물질로서 천연 식품보존제 및 정장제재로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항세균 물질과 항진균 물질의 정제 및 구조분석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석류에서 항진균성 활성의 탐색 (Detection of Antifungal Activities from Pomegranate)

  • 이금영;박태희;이다인;박정로;최상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87-2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석류에서 단세포성 곰팡이의 성장을 저해하는 항진균 물질을 탐색하고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석류를 과피, 씨, 전체로 각각 분리하고 추출하여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고흥에서 생산된 석류를 전체, 과피, 씨로 나누어 70% EtOH로 추출한 후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이 액체배지에서 각각 비슷하게 나왔으며 고체배지에서는 석류 전체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잘 나타났다. 고체배지에서와 액체배지에서 공통적으로 석류 전체 및 과피 추출물의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추출물의 C. albicans의 항진균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모두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C. albicans, Candida glabrata, Candida tropicalis, Candida lusitania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은 석류 전체 및 석류 과피의 ethyl acetate 용매 추출물에서 각각 36%, 25% 이상의 저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석류 내 존재하는 항진균 활성 물질은 ethyl acetate에 잘 녹는 지용성 물질인 것으로 추정된다.

식물병 관리를 위해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발효한 퇴비차의 항진균 활동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Antifungal Activity for Plant Disease Control by Compost Teas Fermen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 마사푸미 다데다;가네 야마다;김영철;유키오 사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0-28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발효한 퇴비차의 항진균 효능에 관한 연구내용을 제시하였다. 최근에 많은 농가에서 일반 대중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선호에 부응하고 식물병 예방을 위하여 퇴비차를 선택하고 있다. 퇴비차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 퇴비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퇴비차가 발효되는 동안 온도가 항진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10, 20, 30, $40^{\circ}C$에서 발효한 퇴비차의 항진균 활동이 본 연구에서 선정한 10종의 병원성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20에서 $30^{\circ}C$에서 발효한 퇴비차의 항진균 활동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circ}C$에서 발효한 퇴비차가 가장 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발효온도가 항진균 활동에 미치는 변화는 퇴비차의 미생물이 항진균 활동에 강하게 개입하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메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polyfermenticus CJ6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polyfermenticus CJ6 Isolated from Meju)

  • 정지혜;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9-516
    • /
    • 2009
  • 메주로부터 곰팡이 및 세균 등에 생육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B. polyfermenticus CJ6을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 균주 B. polyfermenticus CJ6는 2단 대수기를 나타내는 생육 곡선상 특이점을 나타내었으며 배양 30시간 이후부터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고 사멸기 이후 활성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120시간까지 활성을 유지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6의 항진균 활성 물질은 $70^{\circ}C$ 이상에서 활성이 감소되었으나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 시 역가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았다. pH 안정성 실험에서는 pH $3.0{\sim}9.0$ 구간에서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각종 효소에 대한 영향에서 항진균 활성물질은 proteinase K, protease, ${\alpha}$-chymotrypsin 등의 단백분해효소 처리로 역가를 상실하거나 일부 감소되어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균주의 항진균 활성 물질을 $C_{18}$ Sep-Pak column으로 부분 정제한 후 Tricine-SDS-PAGE 및 direct detection 실험을 통하여 분자량이 약 1.4 kDa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진균 활성 물질은 기존에 거의 보고되지 않은 B. polyfermenticus 유래의 단백질성 항진균 활성 물질로서 천연보존제 및 천연항균제재로 사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항진균 활성 물질들의 정제 및 구조분석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Rhizoctonia solani AGII-II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Bacillus sp. FF-9의 분리.동정 및 최적 배양조건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 of Bacillus sp. FF-9 Having Antifungal on the Turf Grass Pathogens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II-II)

  • 박진철;유지현;차재영;김민석;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73-378
    • /
    • 2004
  • 잔디병 유발균 Rhizoctonia solani AGII-II에 대한 강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토양에서 분리 동정하고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분리된 균주를 165 rDNA sequence로 동정한 결과 Bacillus sp.로 Bacillus sp. FF-9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FF-9 균체의 생육은 LB배지를 사용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한 결과 6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2시간째 가장 높은 생육을 나타내었다. 피검균인 Rhizoctonia solani AGII-II에 대한 최대 항진균 활성은 18시간째에 나타났으며, 최적 온도는 $30^{\circ}C$, 최적 pH는 8.0에서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탄소원과 질소원 실험에서는 1% lactose와 1% yeast extract에서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미량원소 첨가에 따른 항진균 활성은 0.15% $K_2HPO_4$에서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