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균활성물질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29초

배풍등 분획물의 항균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Solanum Iyratum Fractions)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48-954
    • /
    • 2005
  • 민간에서 만성간염, 수종, 옹종, 습진, 류마치스성 관절통, 소변분리, 말라리아, 황달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해열 진통제로 약용하고 있는 배풍등을 metanol (SLM)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hexane (SLMH), ethylether (SLMEE), ethylacetate(SLMEh), butanol (SLMB) 및 수층 (SLMA) 등 다섯가지의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배풍등의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배풍등의 항균효과를 알아보았다. P. mirabilis, S. aureus, S. marcescens 및 B. substilis의 4가지 사용균주에 배풍등의 각 분획물을 처리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SLMEA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는 SLMEE에서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풍등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cytotoxicity)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4종의 암세포주 HeLa, MCF-7, HT-29 및 HepG2 모두 배풍등의 ethylether 분획층인 SLMEE총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암예방 QR유도 활성을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에서도,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SLMEE층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극성과 비극성을 둘 다 가지는 SLMEA층에서의 항균활성 물질과 비극성 용매층인 SLMEE 층에서의 암 예방 물질의 단계적인 분리 동정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 - 헛개나무 목부의 항균활성 물질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 - Antifungal Compounds of Hovenia dulcis -)

  • 최윤정;이학주;이성숙;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03
  • 항균활성이 우수한 헛개나무 목부 에탄올 조추출물로부터 7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기기분석 결과 flavonoid인 5-hydroxy-7-methoxyflavone를 비롯하여 5,7-dihydroxyflavone (chrysin), 5,7-dihydroxyflavanone (pinocembrin), 3,5,7-trihydroxyflavanone (pinobanksin), 3,4',5,7-tetrahydroxyflavanone (aromadendrin)과 stilbenoid인 3-hydroxy-5-methoxystilbene과 3,5-dihydroxystilbene (pinosylvin)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이들 단리물질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stilbenoid인 3-hydroxy-5-methoxystilbene이 공시균주의 생장을 완전히 저해하여 단리물질 중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pinocembrin과 pinosylvin으로 Cryphonectria parasitica, Trametes versicolor, Tyromyces palustris 그리고 Trichoderma viride에 대해 높은 균사생장억제율을 나타내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lavonoid인 pinobanksin, 5- hydroxy-7-methoxyflavone, chrysin, 그리고 aromadendrin은 항균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헛개나무 목부 에탄올 조추출물의 높은 항균활성은 3-hydroxy-5-methoxystilbene과 pinocembrin, 그리고 pinosylvin에서 유래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Aspergillus terreus 균주가 생산하는 항암항생물질 B-1123의 성상 (Characteristics of Antitumorial Antibiotics B-1123 from Aspergillus terreus)

  • 박부길;박현묵;이진하;함승시;한재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1-337
    • /
    • 1990
  • 토양에서 새로히 분리한 곰팡이를 배양하고 그의 배양액 중에 함암활성을 갖는 물질을 screening한 결과 시험균 B.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고 glutathoine에 의해 항균활성이 길항되는 물질을 생산하는 B-1123 균주를 얻었다. 생산균주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성상의 관찰 결과 B-1123 균주는 Aspergillus terreus로 동정되었다. 대두분을 질소원으로 한 배지에서 $30^{\circ}C$, 5일간 진탕배양하고 배양여액 중의 활성물질을 ethyl acetate로추출하고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 하여 연황색 판상결정을 얻었으며 B-1123 물질이라 명명했다.

  • PDF

고려인삼의 세근을 이용한 항균성 물질 탐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Compounds from Korea Ginseng Fine Root)

  • 김아름;이명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44-1250
    • /
    • 2011
  • 인삼의 효과적 이용을 위해 부산물로 취급되어 대부분 폐기되는 세근을 발효공학적 기법으로 항균성 물질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발효에 적합한 균주의 선별과 발효에 사용될 인삼 세근 분말의 농도를 선별하여 발효 시킨 후 항균성 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8종의 유용 미생물 중 L. plantarum이 가장 적절한 균주로 선정 되었으며, 영양원인 인삼 세근 분말의 농도는 5%로 밝혀졌다. 또한, 발효 추출물의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분석 결과 항균성은 있으나 항바이러스 활성은 미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항균 활성의 경우 비발효 추출물 보다 발효 추출물이 약 2배 정도 증가되었고, Gram Positive 균주에서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발효에 의한 항균 활성 물질의 성분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서 HPLC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ginsenoside Rg1, Re, Rd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고, 이 중 가장 많은 함량 변화를 보인 성분은 Rd로 약 50 ${\mu}g/g$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삼 세근 발효물 중 항균 활성을 보이는 주된 물질은 ginsenoside Rd 성분인 것으로 추정된다.

감자 더뎅이병원균에 대해 길항활성을 갖는 방선균 탐색 및 항균 활성물질의 분리 (Screening of Antagonistic Actinomycetes for Potato Scab Control and Isolation of Antibiotic Compound)

  • 이향범;조종운;임치환;김창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164-169
    • /
    • 2004
  • 감자더뎅이병 방제용 생물제제(biocontrol agenL BCA)를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5,000여 방선균 균주를 대상으로 더뎅이병 관련 병원균(Streptomyces scabiei및 S. turgidiscabies)에 대한 in vitro또는 in vivo 활성검정을 실시하였다. 활성검정 결과 길항력이 우수한 균주로서 9균주가 선발되었으며 실제 재배포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dazomet및 mancozeb 등 농약에 대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하여 A020645 균주가 길항활성 뿐만 아니라 약제저항성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고 더뎅이병 방제용 BCA 균주로 선발하였다. 본 균주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액체배양액으로부터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solidphase(ODS) extraction, TLC, 역상 HPLC 등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compound A와 B를 순수 분리하였다. Compound A와 B는 NMR 분석 결과 nucleoside계 화합물로 판단된다.

항생물질의 최근의 발달

  • Papich Mark G.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6-400
    • /
    • 1998
  • 최근 항균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10년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수종의 항균약이 이전에 사용됐던 약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갖고 있다. 인의의 경우 심각한 면역억제 질병이 출현하고 있을 경우 (예를들어 HIV) 및 병발증의 문제를 갖은 환자의 경우, 활성이 높고 내성발현빈도가 낮은 항균약에 대한 요구가 늘어났다. 타의 병발증이란, 예를들어 암과 같은 장기 집중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수의의 경우에도 세균의 악제내성 및 원내감염의 문제가 증가했기 때문에 인체의료에서 발달한 새로운 많은 치료방법도 행하고 있다. 수의용으로서 개발된 새로운 약물도 있다. 여기에서는, 소동물의 항균치료에 공헌하고 있는 극히 최근에 개발된 약제에 한해 기술한다.

  • PDF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의 병원성 미생물 및 반추위 미생물 활성에 대한 영향 (Effects of Plant-origin Biological Active Materials on the Activities of Pathogenic Microbes and Rumen Microbes)

  • 옥지운;이상민;임정화;이신자;문여황;이성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709-718
    • /
    • 2006
  •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인 garlic, scallion, fla- vonoid, urushiol 및 anthocyanidin과 기존의 항균 제품인 Bio-MOS?瑛? 병원성 미생물과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병원성 균인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paratyph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에 항균활성과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성장률, 가스 생성량, 암모니아 농도, CMCase 활성 및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생리활성물질 0.10% 첨가 후, 배양시험에서는 flavonoid, scallion 및 Bio-MOS?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나, paper disc법에 의한 항균활성 시험에서는 flavonoid나 scallion을 5.00%이상 처리 시 clear zone이 뚜렷하였으며, scallion이 가장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물질의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았는데, 병원균에 활성을 나타내었던 flavonoid는 1.00% 처리 시 CMCase의 활성이 완전히 없어져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callion은 병원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가지면서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는 저해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반추 가축의 대체 천연항균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벼메뚜기의 항산화 효과와 항균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grasshopper, Oxya chinensis sinuosa)

  • 김현진;강성주;김선곤;김정은;구희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0-1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벼메뚜기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벼메뚜기의 성충을 실험재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 항균활성, 항균 물질의 열 안정성, pH 안정성, total polyphenol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항균력은 E. coli 균주의 경우 ethanol 혼합용매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항균 활성은 열풍건조 $40^{\circ}C$와 동결건조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암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항균 물질은 열과 pH에 안정하였다. 벼메뚜기의 항산화 활성은 50% ethanol 추출물과 70%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고 total polyphenol은 12 ~ 17 mg/100 g으로 건조조건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Wild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이행재;최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8-157
    • /
    • 2005
  • 국내산 야생9차를 발효정도에 따라 몇 단계의 발효차를 제조하여 일반세균, 젖산균 및 효모 총 8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항균활성 물질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 에탄올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산 야생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최소저 해농도는 그람양성균에서는 B. subtilis가 0.2 mg/mL로 가장 낮았고, 그람음성균에서는 P fuorescens가 0.3∼0.5 mg/ mL로 가장 낮았으며, 젖산균과 효모는 1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불발효차인 녹차에 비하여 항균활성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항균효과가 더 높았다. 차 항균활성 물질의 열 및 pH 안정성 은 50∼121$^{\circ}C$ 및 pH 3∼11까지 각 균주의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대조구와 비슷하게 나타나 녹차, 반발효차, 발효차 모두 열과 pH에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차 에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결과 물분획물에서 생육억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에틸아세 테이트 분회물, 에테르 분획물의 순으로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적었으며, 발효도가 높은 국내산 강발효차와 중국산 홍차의 경우 에테르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두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HS 25가 생산한 항균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HS 25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Foods)

  • 박석규;류현순;이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0-305
    • /
    • 2008
  • 대두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B. subtilis HS 25가 생산한 항균물질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열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100^{\circ}C$에서 10분 처리에서는 항균활성이 전혀 떨어지지 않았지만 15분 이상의 처리에서는 항균활성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pH 안정성은 pH $4.5{\sim}5.0$의 산성측보다 pH $7.42{\sim}12.0$까지의 알칼리 범위에서 안정된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E. coli 및 P. mirabilis에 대한 항균활성은 pH 12.0에서도 대조구와 거의 대등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소저해농도는 E. coli가 5 mg/mL로 가장 낮았으며, P. mirabilis는 7.5 mg/mL, S. aureus, S. enteritidis, K. pneunoniae 및 V. parahaemolyticus 균주에서는 15mg/mL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HS 25 균주가 생산한 항균물질을 E. coli, S. enteritidis 및 P. mirabilis에 각각 처리하였을 때 균체의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변형되어 심한 형태적 변화가 일어났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B. subtilis HS 25균주가 생산한 항균물질은 papain에 의해서는 분해되지 않지만, A. orzae 유래의 protease과 pancreatin 및 pepsin의 효소에 의해서 완전히 분해되어 항균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