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함수 영역

Search Result 1,91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Fast Scattered-Field Calculation Using Windowed Green Functions (윈도우 그린함수를 이용한 고속 산란필드 계산)

  • 주세훈;김형동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1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방사 적분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하여 파수영역 웨이블릿 변환개념에 기반을 둔 윈도우 그린함수를 사용하여 파수영역에서 고속으로 산란필드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린함수에 적용된 파수영역 웨이블릿 변환은 공간영역에서 동일한 Q를 갖는 윈도우를 사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등가적으로 구현하였다. 고유함수를 이용하여 관찰점을 중심으로 전개된 그린함수를 푸리에 변환한 후 파수영역에서 방사 적분을 계산함으로써 계산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관찰영역에서만 정확한 값을 갖는 고유함수로 전개된 그린함수는 그린함수에 윈도우 함수를 씌운 형태로 방사 적분방정식의 파수영역 표현에 적용하면 기존의 고속멀티폴법과 동일한 산란필드 공식을 얻을 수 있다.

  • PDF

An Application of k-domain Discrete Wavelet Transform for the Efficient Representation of Green Function (파수영역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효율적인 그린함수 표현에 관한 연구)

  • 주세훈;김형동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2 no.7
    • /
    • pp.1110-1114
    • /
    • 2001
  • The discrete wavelet concept in the k-domain is applied to efficiently represent Green function of integral equations. Application of discrete wavelet concept to Green function in the k-domain can be implemented equivalently by using spatial domain variable-sized window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constant Q-filtering, changing the center of coordinates, and transforming spatially filtered Green functions into those in the k-domain. A mathematical expression of Green function based on the discrete wavelet concept is deriv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 PDF

A study on loss combination in time and frequency for effective speech enhancement based on complex-valued spectrum (효과적인 복소 스펙트럼 기반 음성 향상을 위한 시간과 주파수 영역 손실함수 조합에 관한 연구)

  • Jung, Jaehee;Kim, Woo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1
    • /
    • pp.38-44
    • /
    • 2022
  • Speech enhancement is performed to improve intelligibility and quality of the noise-corrupted speech. In this paper, speech enhancement performance was compared using different loss function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This study proposes a combination of loss functions to utilize advantage of each domain by considering both the details of spectrum and the speech waveform. In our study, Scale Invariant-Source to Noise Ratio (SI-SNR) is used for the time domain loss function, and Mean Squared Error (MSE) is used for the frequency domain, which is calculated over the complex-valued spectrum and magnitude spectrum. The phase loss is obtained using the sin function. Speech enhancement result is evaluated using Source-to-Distortion Ratio (SDR),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 and Short-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 (STOI).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 of speech enhancement, resulting spectrograms are also compared. The experimental results over the TIMIT database show the highest performance when using combination of SI-SNR and magnitude loss functions.

Fast Scattered-Field Calculation using Windowed Green Functions (윈도우 그린함수를 이용한 고속 산란필드 계산)

  • 주세훈;김형훈;김형동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2 no.7
    • /
    • pp.1122-1130
    • /
    • 2001
  • In this paper, by applying the spectral domain wavelet concept to Green function, a fast spectral domain calculation of scattered fields is proposed to get the solution for the radiation integral. The spectral domain wavelet transform to represent Green function is implemented equivalently in space via the constant-Q windowing technique. The radiation integral can be calculated efficiently in the spectral domain using the windowed Green function expanded by its eigen functions around the observation region. Finally, the same formulation as that of the conventional fast multipole method (FMM) is obtained through the windowed Green function and the spectral domain calculation of the radiation integral.

  • PDF

A Linear Stability Analysis of Unsteady Combustion of Solid Propellants (고체추진제 비 정상연소의 선형 안정성해석)

  • 이창진;김성인;변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29-29
    • /
    • 1998
  • 고체 추진제 연소불안정에 관한 해석은 준-정상 1차원 해석인 QSHOD(Quasi-Steady Homogcneous One-Dimension)에 의하여 단순화된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응축영역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외부교란에 대한 기체영역과 표면반응 영역의 응답은 화학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고체영역의 응답에 비하여 매우 빠르므로 준-정상적인 거동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사열전달에 의한 열속(heat flux)이 고체 추진제의 표면에 존재하며 이 중의 일부가 고체영역에서 흡수될 때 표면에서의 선형교란을 고려한 ZN(Zeldovich-Novozhilov) 방법을 이용하여 연소불안정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여 연소불안정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연소 응답함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응답함수를 해석함으로써, Zebrowski등$^{(5)}$ 에 의하여 얻어진 복사열 교란에 대한 응답함수가 과소 평가된 응답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응답함수의 고유불안정성을 판별하는 민감계수 r과 k의 영역의 해석으로부터 SOn등$^{(6)}$ 에 의하여 밝혀진 안정 경계선의 안정한 영역보다 본 연구에서 구한 안정 경계영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6)에서 과소 평가된 복사열전달의 영향을 수정한 결과 때문이다.

  • PDF

복소주파수면상의 직교함수근사법에 의한 시간영역에서의 회로망구성법

  • 김영조
    • 전기의세계
    • /
    • v.10
    • /
    • pp.10-18
    • /
    • 1963
  • 본 논문은 Laguerre함수의 Fourier변환에 의한 Wiener와 Lee의 회로망구성법을 일반화한 것이다. 즉 Laplace변환을 사용하여 시간영역에서 임의의 과도특성을 나타내는 회로를 구성하는 문제를 복소주파수면상의 직교함수계에 의한 근사문제로 귀착시켰으며 이때 얻어진 근사함수의 물리적실현성을 확인하고 실제구성예를 들었다. 이때 근사함수로는 복소극이 포함되었을 때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방법이 일반화되었다.

  • PDF

SEM에 의한 전자파 펄스 반응의 해석

  • 이택경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4 no.2
    • /
    • pp.82-90
    • /
    • 1993
  • 전자파에 의한 산란현상의 해석은 지금까지 주로 시간조화함수의 형태를 지닌 전원에 의한 정 상상태의 산란에 관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레이다나 피파괴 검사, 전송선로 점검 등의 응용에서는 주로 펄스형태의 전자파를 사용하며, 따라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형태의 전원에 의한 전자파의 산란해 석이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또한 통신선로에서 외부의 잡음에 대한 혼신 등을 해석하거나, 낙뢰가 송 전선로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는 데에도 펄스신호의 산란해석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함수의 형태를 지닌 전원에 의한 산란현상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전원함수를 Fourier 변환하 여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을 구하고, 주파수영역에서의 산란해를 이용하여 Fourier 역변환을 하여 시간 영역의 해를 구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산란판의 해를 Fourier 역변환 하기 위해서는 적분을 행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적분과정에서 매우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고, 산란체의 구조가 복잡하여 해석 적인 해를 구할수 없는 경우에는 해석적으로 시간영역의 해를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시변 함수에 의 한 산란파를 구하기 위한 수치해석적 방법으로는 모멘트방법이나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경계요소법(Boundary Element Method),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등이 있으며, 해석적 해 를구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반면에 많은 계산량이 요구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Active Control Algorithms through Weighting Functions (가중함수에 따른 능동제어 알고리듬의 비교 연구)

  • Min, Kyung-Won;Kim, Jin-Koo;Kim, Sung-Choon;Chung, La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173-179
    • /
    • 2001
  • 성능지수는 제어 대상이 되는 구조물의 응답과 제어기의 성능에 관한 가중함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중함수의 설계에 따라 성능지수가 변화되며 제어 효율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 능동제어 알고리듬의 일종인 시간 영역에서의 성능지수를 고려한 LQR기법과 LQG기법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성능지수를 고려한 H₂기법에 대하여 동일한 가중함수를 적용하여 제어 성능인 제어율과 제어력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LQG기법은 모든 상태 변수를 알아야 하는 LQR기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LQR기법과 동일 수준의 제어율과 제어력을 보이고 있고 출력 제어라는 장점을 고려하면 현실적인 기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물 응답과 제어기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주파수 필터의 가중함수를 설계하는 H₂기법을 분석하였다. H₂기법은 제어력을 저주파수 영역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응답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Unconditionally Stable Analysis of Transient Scattering from Conductors Using Time-Domain Combined Field Integral Equations (시간영역 결합적분식을 이용한 도체 과도산란의 무조건 안정된 해석)

  • 정백호;서정훈;이원우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0 no.8
    • /
    • pp.340-348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formulation to solve a time-domain combined field integral equation (CFIE) for analyzing the transient electromagnetic scattering response from closed conducting bodies.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arching-on in time (MOT) technique, tile solution metho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moment method that involves separate spatial and temporal testing procedures. Triangular patch vector functions are used for spatial expansion and testing functions for three-dimensional arbitrarily shaped closed structures. The time-domain unknown coefficient is approximated as a basis function set that is derived from tile Laguerre functions with exponentially decaying functions. These basis functions are also used as the temporal testing. Numerical results computed by the proposed method arc stable without late-time oscillations and agree well with the frequency-domain CFIE solutions.

The Time-Domain characteristics of Elliptic Filter Functions (Elliptic 필터 함수의 시간영역측성에 대한 고찰)

  • 한병성;김형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0 no.5
    • /
    • pp.37-42
    • /
    • 1983
  • The elliptic functions have transmission zeros on the imaginary axis and exhibit equal ripples in the stopband as well as in the passband. As a consequence they can be made optimal in the sense that the transition band is minimal. However the time domain behaviors turned out to be inferior to those of Chebyshev and Butterworth respons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nit step responses and impulse respons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passband attenuation, stopband frequencies M. etc., The following are the prominent features. Step responses of elliptic filters rise faster and produce larger overshoots and undershoots with higher natural frequencies. In the case of even functions, the initial values are non-zero which decreases as $\omega$s increases. Unlike Butter-worth or Chebyshev cases the impulse responses start with nonzero valses which also decrease as $\omega$s or order of the function increases. Eight figures are included to illustrate above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