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교사

검색결과 7,739건 처리시간 0.033초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Study for understanding the Pre-Service Teachers' View about Middle School Teacher's Role)

  • 이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00-512
    • /
    • 2014
  • 본 연구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등교사의 역할을 분석,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과정을 이수 중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중등교육의 의미를 공감과 발견으로, 중등교사의 역할을 공감과 소통을 통한 꿈의 발견과 이의 실현을 위한 교과전문가로 여기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 형성은 경험과 이상의 불일치라는 과거 학교교육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예비교사들의 중등교사 역할 인식은 기존 교직관에 비추어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삶의 맥락에 주목한 지속적인 인식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등교사 역할은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역할과는 다르며 이로 인해 이들이 학교현장에서 겪게 될 정체성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등교육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성찰자로서의 면모는 교사전문성을 위한 정체성 확립 및 교육개혁의 근간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임용고시준비로 운영되는 현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자, 예비교사들의 반성과 함께 제도적 차원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MBTI 성격유형검사의 선호경향에 따른 보육교사의 교사신념과 자기효능감 (Childcar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Psychological Preferences of the MBTI Test)

  • 김효은;이소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1-185
    • /
    • 2016
  •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검사를 통해 보육교사의 주된 선호경향을 도출하고 교사의 선호경향과 교사신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으며 최종 141부를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MBTI 선호경향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보육교사의 MBTI 선호경향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감각형(S)에 가까울수록 난이도가 쉬운 과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사고형(T)에 가까울수록 행동주의 교사신념은 낮고 상호작용주의 교사신념은 높은 경향이 있으며, 자기조절효능감 및 전반적인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아울러 판단형(J)에 가까울수록 상호작용주의, 성숙주의 교사신념이 높고, 자기조절효능감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MBTI 선호경향과 교사신념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에게 우세하게 나타나는 MBTI 선호경향이 있으며, 특정한 MBTI 선호경향과 상호작용주의 교사신념이 교사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직장어린이집 교사헌신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mmitment and Teacher Efficacy in Workplace Child-Care Center)

  • 문연심;강경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73-190
    • /
    • 2015
  •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헌신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헌신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ANOVA), Scheff$\acute{e}$ 사후검증, 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헌신과 교사효능감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헌신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에 대한 헌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학력과 경력 및 담당학급 영유아의 연령과 기관의 전체 교사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내적 특성으로서 교사헌신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에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교사헌신과 효능감을 연계지어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r Enhancing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Competence for Child Care Teachers)

  • 김민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11-332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 29명(중재집단 12명, 통제집단 17명)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0회기로 구성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를 조사함으로 써, 이러한 변인들의 사전-사후조사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는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로 구성되고, 모든 척도는 교사의 자기보고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중재집단의 경우 보육교사의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중 교사자신과 관련된 어려움이 증가되었고, 그 외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이 보육교사 자신의 심리적 안정감과 더불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Teacher Efficacy for Childcare Teacher)

  • 변은경;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982-3990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서 보육교사로 근무하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21.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분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3.59{\pm}0.38$점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연령(F=3.493, p=.016), 경력(F=5.654, p=.001), 직위(F=6.681, p<.001), 학급연령(F=2.759, p=.043), 자녀양육경험(t=5.269, p=.02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교사효능감은 자아존중감과 순상관관계(r=.236, p<.001),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역상관관계(-.25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11.7%로 설명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반복연구를 통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중재들이 요구된다.

담론 분석을 통해 살펴본 4세 반 유아의 교사와의 관계 이해 (Understanding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a Classroom of 4 Year Olds Through Discourse Analysis)

  • 정가윤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에서의 훈육과정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형성 과정 및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국에 위치한 대학부속 유치원에 재학중인 만 4세 학생 32명과 지도교사와의 대화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지도교사와의 심층면접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아동간의 관계 형성 유형은 크게 친밀, 독립, 갈등적 관계의 세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대부분의 아동들은 교사와 친밀 또는 독립적 관계를 보였다. 단지 3명의 학생이 교사와의 갈등적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교사의 차별적 처사 때문이 아니라 교사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교사의 암시적인 단서를 놓치거나 무시함에 따라 부정적 상호작용이 반복되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학생들의 미성숙한 사회적 기술로 인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생과의 갈등적 관계 형성 과정을 인지하고, 그들을 위해 명시적인 훈육방법을 제공해야할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전문성의 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eacher-Expertise in Kindergarten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 Self-efficacy)

  • 최미애;김순영;최양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48-258
    • /
    • 2019
  •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하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 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 17일부터 28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 유치원 교사 총 325명에게 방문 조사를 통해 설문을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성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유선택활동을 교육하는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도 교사의 전문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 전문성에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셀프리더십과 교사 전문성 간의 관계를 간접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셀프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수준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업무환경에 대해 교사들에게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등을 제공하고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촉진자 및 조력자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지구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진단 프로그램 개발

  • 김동영;안희수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3-21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영역의 한 부분인 학생 평가 전문성을 교사 스스로 진단해 보고 진단 결과에 대해 적절한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학생 평가 전문성 진단 도구를 구안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구성 요인은 1990년에 미국의 AFT(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 NEA(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CME(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가 공동으로 발표한 ‘학생 평가를 위한 교사의 평가전문성 기준(Standards for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7가지를 연구자가 진단 도구 개발에 적합하도록 ${\circled1}$평가 방법의 선정, ${\circled2}$평가 도구의 개발, ${\circled3}$평가 실시?채점 및 성적 부여, ${\circled4}$평가 결과의 해석?분석?활용?의사소통의 4개 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진단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전문성 구성 요인별로 설문 형식의 질문에 답하고 이를 종합하여 점수를 매기는 방식보다는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를 제시하고 이에 대해 평가를 해보게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평가 능력을 실질적으로 진단할 수 있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사가 외부로부터 평가 받는데 소극적인 점을 감안하여 교사 스스로 자기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자 했으며, 진단 도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에 대해 처방이나 안내를 함께 제공하여 교사가 자신의 평가 전문성을 제고하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려 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교사가 활용하는 과정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외부 지원이 무엇인지 추출하고 이러한 지원 체계와 교사가 능동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teacher efficacy to their burnout)

  • 강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02-4909
    • /
    • 2013
  • 본 연구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유아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은 각각 소진에 영향력이 있었는데, 회피-분산적 양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소진이 많았고,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소진이 적었다. 이 결과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교사가 효과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사용하도록 돕고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 임용 및 자격시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Teachers'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in the Korea and U.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7-149
    • /
    • 2011
  • 교사는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적정 수준의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학교 현장에 배치하기 위해서 교사 양성과 자격, 임용에 관한 사항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법령에 의거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임용시험을 거쳐 학교에 배치한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주교육부와 교사인증기관에서 Praxis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의 교사 임용시험은 1차, 2차,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1차 시험은 교과 전공 지식을 평가한다. 반면, 미국의 교사자격시험인 Praxis는 I, II, III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Praxis II는 교과 지식과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는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를 위한 자격, 임용 제도를 고찰하고, 한국과 미국의 객관식 시험 문항을 비교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