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BTI 성격유형검사의 선호경향에 따른 보육교사의 교사신념과 자기효능감

Childcar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Psychological Preferences of the MBTI Test

  • 투고 : 2015.08.15
  • 심사 : 2016.02.04
  • 발행 : 2016.02.29

초록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검사를 통해 보육교사의 주된 선호경향을 도출하고 교사의 선호경향과 교사신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으며 최종 141부를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MBTI 선호경향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보육교사의 MBTI 선호경향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감각형(S)에 가까울수록 난이도가 쉬운 과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사고형(T)에 가까울수록 행동주의 교사신념은 낮고 상호작용주의 교사신념은 높은 경향이 있으며, 자기조절효능감 및 전반적인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아울러 판단형(J)에 가까울수록 상호작용주의, 성숙주의 교사신념이 높고, 자기조절효능감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MBTI 선호경향과 교사신념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에게 우세하게 나타나는 MBTI 선호경향이 있으며, 특정한 MBTI 선호경향과 상호작용주의 교사신념이 교사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vasive MBTI psychological preferenc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MBTI psychological preferences an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on childcare teachers'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1 childcare teachers.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MBTI psychological preferences trends in childcare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econd, personality type Sensing(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ference for easy tasks. Personality type Thinking(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ehavioral education belief,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actional education belief, self-regulated efficacy and total score of self-efficacy. Personality type Judging(J)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actional/maturational education belief and self-regulated efficacy. Third, interactional education belief and MBTI psychological preferences of childcare teachers had a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은미 (2004).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창길 (1998).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발달 수준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경래 (2008).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미 (2012). 어린이집교사의 보육신념, 행복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영 (1992).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승자, 김진선 (2011).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전문성인식이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모교육학회, 8(2), 31-52.
  7. 김연희, 신인숙, 최성열 (2013).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2(3), 69-89.
  8. 김정택, 심혜숙 (1990).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3(1), 44-72.
  9. 김정택, 심혜숙 (2013). MBTI Form 매뉴얼. 서울: 어세스타.
  10. 김현미 (2013).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보육신념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단현국 (1998).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교사 신념. 한국유아교육연구, 18(1), 205-222.
  12. 단현국 (2005).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교사신념(II-A). 한국유아교육연구, 7, 5-31
  13. 박성미 (2003). 예비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영유아보육연구, 9,1-23.
  14. 박은혜 (200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5. 신진영 (2011). 유아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유아교사의 창의성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호 (1994).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중앙승가대학논문집, 3, 277-302.
  17. 이병래 (1998). 유치원 교사의 성격 유형과 자아상태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3(2), 217-241.
  18. 이진화 (2014).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수업 (2012). 보육교사의 MBTI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리경.고희선.박선해 (2013). 예비보육교사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양성과정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3, 103-124.
  21. 차정은 (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하수진 (2012).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AP)을 활용한 집단 상담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한국 MBTI 연구소 (2014). MBTI 전문자격교육 보수과정 자료집. 서울: 한국 MBTI 연구소.
  24. 한국 MBTI 연구소 (2014). MBTI 전문자격교육 초급과정 자료집. 서울: 한국 MBTI 연구소.
  25. 허정혜 (2004).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교사의 역할 수행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Bandura, A. (1977).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st, 37(2) 122-147.
  2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8. Briggs, W. (1980). Transitions: Making sense of life's changes. Reading, MA: Addison-Wesley.
  29. Cole, A., & Knowles, J. G. (1994). Emerging as a teacher . NY: Routledge.
  30.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88).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 of experience. NY : Teachers College Press.
  31.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32. Jung, C. G. (1976). Psychological type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Kohlberg, L & Mayer, R. (1972). Development as the Aim of Education. Harvard Education Review, 42(4), 449-496. https://doi.org/10.17763/haer.42.4.kj6q8743r3j00j60
  34. Myers, I. B. (1977). In M. H. McCaulley, The Myers longitudinal medical study (Monograph II). Gainesville, FL: Center for Applications of Psychological Type.
  35. Noddings, N. (1984).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Pajares, E.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3307
  37. Peters, D. L. (1977).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overview and evaluation. In M. Hom & P. Robinson (Ebs.), Psychological processes in early education. N.Y. Academic Press.
  38. Peters, D. L., Neisworth, J. T., & Yawkey, T. D. (1985). Early Childhood Education : From Theory to Practice. Monterey, CA : Brooks and Cole Publishing Company.
  39. Verma, S., & Peters, D. L. (1975). Day care teacher's practice and beliefs. The A I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1), 4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