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r Enhancing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Competence for Child Care Teachers

보육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 김민정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5.08.31
  • Accepted : 2015.09.24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 care teachers. Twenty-seven teach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ith 12 and 17 teachers in each group. Teac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ter termination of the program,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were examined in regards to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efficacy, parent-teacher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re were four major findings. First, self-reported teachers'emotional regulation, teachers'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Second, parent-teacher communication difficul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intervention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positive characteristics in improving the outcome of preschool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 29명(중재집단 12명, 통제집단 17명)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0회기로 구성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를 조사함으로 써, 이러한 변인들의 사전-사후조사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는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로 구성되고, 모든 척도는 교사의 자기보고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중재집단의 경우 보육교사의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중 교사자신과 관련된 어려움이 증가되었고, 그 외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이 보육교사 자신의 심리적 안정감과 더불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란 (2002). 교사효율성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사들의 대인간 의사소통 교직태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현경, 조형숙 (2011).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과정에서의 원장의 어려움 및 바람직한 역할 모색. 유아교육연구, 15(6), 353-376.
  3. 구수진 (2002). 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명연 (2014).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능력 향상을 위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민정 (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신영 (1998).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 김오남, 류윤석, 이유미 (2002). 유능한 부모와 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경기 : 양서원.
  8. 김종한 (2011). 부모교육 요구조사 관련 논문 내용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5), 2115-2123.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115
  9. 김태인, 조형숙 (2010). 부모.아동상담교육 및 외부지원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요구. 유아교육학회지, 14(5), 436-438.
  10. 김현정 (2000).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현정 (2010). 보육교사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희진 (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에 대한 조사 연구. 교육학연구, 20(6), 239-260.
  13. 나종혜, 김수연, 안영규 (2005).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부모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05-519.
  14. 노상경 (2012). 유아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저해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73, 211-232.
  15. 도현심 (2012). 첫 부모역할 책. 서울: 지식채널.
  16. 도현심, 권정임, 박보경, 홍성흔, 홍주영, 황영은 (2003). 또래괴롭힘 피해아의 특성에 기초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4), 103-121.
  17. 도현심, 김민정, 신나나, 박보경, 최미경 (2013). 아동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을 기초로. 아동학회지, 34(3), 151-177. https://doi.org/10.5723/KJCS.2013.34.3.151
  18. 도현심, 유명희 (1996).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의 개발 및 실시. 대한가정학회지, 17(1), 39-55.
  19. 문수경, 박상희, 이무영 (2007). 아동상담에 대한 보육교사와 유아기 어머니의 인식 및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82-184.
  20. 박수연 (2013).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학령후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향아, 제경숙 (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 일 비교연구. 敎育理論과 實踐, 12(3), 67-80.
  22. 배율미, 조유진 (2014). 유아교사의 교사-부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연구: 의사소통 어려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8(1), 323-340.
  23. 배지희, 이윤영, 조연경 (2013).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부모면담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유아교육연구, 33(5), 89-114.
  24. 손금옥 (2000).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공감 및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송승민, 도현심, 김민정, 김수지, 윤기봉, 김정은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참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133-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133
  26. 신현경 (2012). 유치원 초임교사 교직역량개발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안희정 (2005). 부모효능감과 가족응집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오유진 (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우민정, 김지혜, 한지희 (2009). 초임교사의 부모면담에 대한 어려움과 교사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2), 59-80.
  31. 유지민 (1999). 어린이집 부모와 교사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윤석빈 (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사라, 박지숙 (2010).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8(1), 1-14.
  34. 이영희, 안현미 (1997). 초등학교 상담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서울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 23(1), 65-89.
  35.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진희, 홍혜경 (2011).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233-260.
  37. 이효영 (2013).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소통 수준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임지윤 (2011). 교사의 정서노동과 정서조절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조영실 (2012).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조절방략이 클라이언트와의 정서적 유대감 유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최미경, 신나나, 김민정, 도현심 (2013). 부모-자녀 관계치료(CPRT) 매뉴얼: 10회기 부모-자녀 놀이치료 모델. 서울: 학지사.
  41. 최은희 (1997).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홍미정 (2009). 유치원 교사의 유머감각과 사회적 지지 및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44. Dishion, T. J., & Kavanagh, K. (2003). A multilevel approach to family-centered prevention in schools: Process and outcome. Addictive Behaviors, 25(6), 899-911. https://doi.org/10.1016/S0306-4603(00)00126-X
  45. Friedlander, M., Keller, K., Peca-Baker, T., & Olk, M. (1986). Effects of role conflict on counselor trainees' self-estimate, anxiety level, and performanc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1), 73-77. https://doi.org/10.1037/0022-0167.33.1.73
  46.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47. Gross, D., Fogg, L., Webster-Stratton, C., Garvey, C. W. J., & Grady, J. (2003). Parent training with multi-ethnic families of toddlers in day care in low-income urban communi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2), 261-278. https://doi.org/10.1037/0022-006X.71.2.261
  48. Herman, K. C., Borden, L., Reinke, W. M., & Webster-Stratton, C. (2011). The impact of the Incredible Years Parent, Child,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children's co-occurring internalizing symptom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6(3), 189-201. https://doi.org/10.1037/a0025228
  49. Kim, M., Doh, H., Hong, J., & Choi, M. (2011). Social skills training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aggressive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6), 838-845.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0.12.001
  50. Korthagen, F. A. J. (2004). In search of the essence of a good teacher: Towards a more holistic approach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1), 77-97. https://doi.org/10.1016/j.tate.2003.10.002
  51. Kuczynski, L. (2003). Handbook of dynamics: Parent-child relations. London, Sage.
  52. Landreth, G. L., & Bratton, S. C. (2006). Child parent relationship therapy: A 10-session filial therapy model. New York: Routledge.
  53. Lason, L., Suzuki, L., Gillespie, K., Potenza, M., Bechtel, M., & Toulouse, A. (199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105-120. https://doi.org/10.1037/0022-0167.39.1.105
  54. Moffit, T. E. (1993). Adolescent-limited and life course 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4), 674-701. https://doi.org/10.1037/0033-295X.100.4.674
  55.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56. Sharpley, C., & Ridgway, I. (1993).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trainees' counseling skills performance.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21(1), 73-81.
  57. Tschannen-Moran, M., & Woolfolk-Hoy, A. (2001). Teacher-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36-1
  58. Tschannen-Moran, M., Woolfolk-Hoy, A.,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https://doi.org/10.3102/00346543068002202
  59. Venn, J. J. (2000). Assess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60. Webster-Stratton, C., Reid, M. J., & Hammond, M. (2001). Preventing conduct problems, promoting social competence: A parent and teacher training partnership in Head Sta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3), 283-302.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003_2
  61. Zeichner, K. M., & Teitelbaum, K. (1982). Personalized and inquiry-oriented teacher education:An analysis of two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field based experiences.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8(2), 95-117.